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1/29 18:12:02
Name 설사왕
Subject [질문] 현대 기술은 과거 기술보다 무조건 우위에 있는가?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317145 을 보고 갑자기 든 의문입니다.

항간에 20톤의 무게를 가진 에밀레종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현재 기술로도 제작이 어렵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지지대가 들어가는 구멍이 15cm 밖에 안 되는데 현재 기술로는 20톤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15cm 구경을 가진 막대는 구현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제 상식으로는 사실 이해가 안 되는데 이게 사실인가요? 아니면 그냥 항간에 떠도는 낭설인가요?(선풍기 낭설과 같은)
금속공학이나 재료공학이 전공인 분들 또는 관련 업계에 종사하시는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29 18:13
수정 아이콘
저 얘기 낭설이라고 들었는데 출처를 모르겠네요.
세크리
17/11/29 18:14
수정 아이콘
17/11/29 18:15
수정 아이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패 적립....
초코궁디
17/11/29 18:22
수정 아이콘
http://news.donga.com/3/all/20160318/77064600/1

1975년 국립경주박물관 이전 당시 성덕대왕신종을 지탱할 종걸이 쇠는 기술자들에게 큰 골칫거리였다. 당시로서는 최첨단 기술로 종걸이 쇠를 만들었지만 28t이나 되는 성덕대왕신종을 감당하지 못했다. 타종이라도 하면 추가로 진동이 발행하는 만큼 실제로 종걸이 쇠가 감당해야 할 무게는 28t이 넘었다. 결국 성덕대왕신종은 새로운 보금자리에서도 옛날 종걸이 쇠에 걸렸다.

조남철 공주대 문화재보존학과 교수는 “전통 단접 방식으로 종걸이 쇠를 만들었기 때문에 옛날 종걸이 쇠가 더 튼튼하다”고 설명했다. 전통 단접 방식은 철판을 접어 수없이 두드리는 게 핵심이다. 대장장이가 수백∼수천 번 철판을 접고 두드리는 과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되고 인장 강도가 늘어난다.

조 교수는 “전통 단접 방식은 기술적으로는 뛰어나지만 칼 한 자루를 만드는 데 3개월이 걸린다”며 “제련 과정도 3, 4회 정도 거치는 등 까다로워서 소수 장인들의 전유물로 여겨져 대중화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75년 당시에는 재현하기 어려웠던 것은 사실으로 보입니다
설사왕
17/11/29 18:31
수정 아이콘
저도 이 기사를 보고 질문을 올린 건데요, 저 기사의 내용이 사실인지 좀 의심스러워서요.
그리고 사실이라면 지금은 구현이 가능한지도 알고 싶어서요.
17/11/29 18:37
수정 아이콘
기사 내용을 액면가로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힘든 것이 아니라
시간과 노력, 그러니까 결국은 돈이 많이 들어서 못한다는 얘기죠.
피카츄백만볼트
17/11/29 19:39
수정 아이콘
나무위키대로라면 75년 시점은 몰라도 지금 시점에선 애초에 지름 5.08cm짜리 쇠조각이 50톤을 버팁니다. 지름 9cm로 20톤 종 버티는거야 무난하겠죠. 또, 75년 시점에서 진짜 불가능했다 해도 그게 세계적으로 불가능했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봅니다. 그냥 70년대의 기술력이 후달리는 대한민국 기준으론 불가능했을 수 있다 정도라 여겨지네요.
설사왕
17/11/29 20:1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이해가 되네요.
귀여운호랑이
17/11/29 18:43
수정 아이콘
못 한게 아니라 안 한거겠죠.
샤르미에티미
17/11/29 18:47
수정 아이콘
기술적으로는 현재, 미래로 갈 수록 나아지는 건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보고요. 기사 내용은 지금 명품 장인이 하고 있는 일을 오래 전에는 어느 동네든 가면 어머니들이 수다 떨면서 하고 있는 것과 비슷한 이야기 아닌가 싶습니다.(반농담 입니다) 그냥 요즘은 차라리 아다만티움이나 비브라늄으로 막대 만들어서 세우겠죠. 본문처럼 제련하는 건 할 사람도 거의 없는 데다가 비용이 너무 드니까요.
17/11/29 19:33
수정 아이콘
역사적으로 모든 시대에서 그 시점에서 과거보다 우월하다고 이야기하면 그건 거짓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21세기 지금 시점에서는 과거 기술보다 무조건 우위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라플라스
17/11/29 19:36
수정 아이콘
그 유명한 다마스쿠스 강도 현대 강에 비하면 크크크
3.141592
17/11/29 20: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뭘 가져와도 현대 기술에 비하면 다 쓰레기입니다. 500년전 최고 명검보다 지금 부엌칼이 더 낫습니다. '재현이 어렵다'는건 굳이 옛날 방식이나 재료를 써서 재현하기 힘들다고 하는거지 그게 더 우월함을 뜻하는건 아닙니다. 옛날 궁수가 지금 궁수보다 수준이 높긴 한데, 옛날 군대가 지금 군대 이기는건 아니잖아요? 활따위를 연마할 이유가 없으니까 그런거지.
17/11/29 21:04
수정 아이콘
무조건 우위죠
한 1500년대꺼보다 1400년대에 발명된게 압도적일순 있어도
지금 과학력으론 과거 기술이 좋을수가 없죠
츠라빈스카야
17/11/29 21:11
수정 아이콘
제조 소재나 기술이 그 당시에 딱 완성이 되어서, 이후로도 더 이상 발전의 여지가 없었던 기술이라면 모를까...
소재기술이라는 게 그간 얼마나 눈부시게 발전했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2570 [질문] 현대 기술은 과거 기술보다 무조건 우위에 있는가? [15] 설사왕4170 17/11/29 4170
112568 [질문] 270x 과 1050의 성능질문 [10] 자판기냉커피2528 17/11/29 2528
112567 [질문] 일본어 해석 부탁드릴수있을까요 [9] Demi2130 17/11/29 2130
112566 [질문] 북미 라이엇스토어에서 한국으로 직구 가능한가요? [1] 대빵큰오리2061 17/11/29 2061
112565 [질문] 극건성 피부 화장품좀 추천해주세요 [15] 류크2714 17/11/29 2714
112564 [질문] GTX 960 vs 1050Ti 중에 어느것이 더 나을까요?? [26] 개념은?15175 17/11/29 15175
112563 [질문] 헬로모바일 가입 관련 문의드립니다. [3] Moderato'2110 17/11/29 2110
112562 [질문] 세계적으로 K팝과 J팝중 어느게더 영향력있나요? [12] 이영나영23065 17/11/29 3065
112561 [질문] 갤럭시 s7 엣지를 팔려하는데 초기화 질문 입니다. [6] 50b1792 17/11/29 1792
112560 [질문] 수경제배로 구근이 달리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17] 누구겠소1967 17/11/29 1967
112559 [질문] Pc 사양좀 추천 해주세요 [9] 자판기냉커피2898 17/11/29 2898
112558 [질문] 아이패드 시리즈중 최신형이 뭔가요? [4] 눈부신생물2826 17/11/29 2826
112557 [질문] 중근세 유럽전쟁사 책 추천해주세요. [2] 10조만들기3249 17/11/29 3249
112556 [질문] 첫회사 들어 가는것이 두렵습니다. [34] 모어모어4780 17/11/29 4780
112555 [질문] 한컴 기능 질문 [3] 스타급센스1456 17/11/29 1456
112554 [질문] 아웃룩 메일 수신이 안되네요.. [2] 최강한화2065 17/11/29 2065
112553 [질문] pc용 마비노기 gpu 성능이 많이필요하나요? [10] 삭제됨6765 17/11/29 6765
112552 [질문] [소전] K2 성능은 별로인가요? [2] 리니시아3145 17/11/29 3145
112551 [질문] 색다른 송년회 또는 모임 아이디어 있으신가요? [12] 바다로2880 17/11/29 2880
112550 [질문] 부산 상견례 장소로 일식집 추천해주세요. [6] 相変わらず 2742 17/11/29 2742
112549 [질문] 금액 변동 기록할수있는 어플이 있을까요? [1] 벗이1583 17/11/29 1583
112548 [질문] 구글 캘린더 설정 질문입니다. RedSkai1254 17/11/29 1254
112547 [질문] pc 스팀?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23] 바카스2670 17/11/29 26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