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1/27 17:34:23
Name 알트라
Subject [질문] 게임 스트리머는 어떻게 돈을 버나요?


저는 게임 방송을 안보는데 요즘 게임 스트리머들 수익 이야기를 들으니

대체 어떻게 돈을 버는건가 궁금해지네요.

유튜브에서 게임 스트리머들 동영상을 찾아봐도

조회수 만단위던데요.

유튜브 동영상 광고 수익이 조회수 1당 1원인가로

알고 있는데  이러면 유튜브 동영상으로 돈이 될까 싶어요.

저처럼 광고차단을 쓰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럼 돈을 더 못벌거고.

그럼 인기 스트리머들의 수익은 유튜브보다는 별풍선이나 광고수익 같은 것일텐데

인기 스트리머들은 그렇게 별풍선이 쏟아질 정도인가요?

그 사람들 방송을 안봐서 잘 모르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27 17:37
수정 아이콘
후원은 게임만 해서는 잘 안 터지구요. 그사람한테 후원하는 것 자체를 게임처럼 만들면 잘 터집니다.

잘 버는 사람들은 잘 벌드라구요
펩시콜라
17/11/27 17: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몇몇 본 경우에서 설명하면, 전업 인기 스트리머의 경우는 당연히 말씀하신대로 도네이션(별풍선, 쿠키 등), 광고수익, 유튜브 수익이 주된 수입원입니다. 예컨데 트위치에서 순위권을 다투는 풍X량님의 경우, 도네이션은 둘째치고, 구독자만 2000여명을 돌파한지 꽤 지난걸로 아는데, 구독중 가장 저렴한 4.99$로만 계산해봐도, 천만원이 넘죠. 물론 수수료니 세금이니 제하면 저거보다 훨씬 적겠지만, 그외 도네이션 수입도 꽤나 크고, 광고방송으로 받는 돈도 있을거고, (사람, 플랫폼에 따라 배너를 방송에 삽입해서 방송하는 경우도 있죠) 수익은 먹고살만큼 이상은 충분히 나올겁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저같은 경우 고전게임을 좋아해서 고전게임 방송을 종종 보는데, 그 분들은 대부분 직장인이시고, 여가시간을 활용해 게임방송을 하시더군요.(그래봐야 몇 분 안되지만), 아프리카 TV에서 200~500여명 규모로 방송하시는 모 BJ분의 말에 따르면, 별풍선, 광고, 유투브 수익을 합쳐도 한달 생활비에는 많이 못미치는 정도의 수익이 들어온다고 하네요.
Supervenience
17/11/27 20:09
수정 아이콘
구독은 월 5불일테니 천만원은 월 천이란 말이 되겠죠? 크
크림샴푸
17/11/27 17:44
수정 아이콘
전문 게임bj 분들은 스폰서(광고)가 있습니다.
유튜브 광고 말고 그냥 비제이화면에 어딘가에 광고가 붙어 있습니다. 비제이도 자주 언급하구요
가령 해물파전 님은 준시스템 이라는 조립컴퓨터 판매사이트 광고가 늘 붙어있고 해물파전님이 컴퓨터는 준시스템에서 사라고 끊임없이 언급합니다.
키리하
17/11/27 17:48
수정 아이콘
도네이션(별풍선)
유튜브 수익
스폰 수익
광고
공개방송 출연 등등으로요.
그래서 보통 전업으로 시작하기 보단 직장 있는 상태에서 취미 정도로 하다가
정말 포텐이 확실할 때 전업으로 하라고들 하죠.
스카야
17/11/27 17:50
수정 아이콘
유튜브는 이제 선점한 스트리머들이 다 먹어치워서
지금 인기스트리머들은 먹을것이 없죠. 고생한 인건비도 안나올 수준..
도네하고 스폰뿐인데 게임을 잘 선정해야죠..
위쳐3 이런거하면 답이 없..
순규성소민아쑥
17/11/27 18:00
수정 아이콘
우리 위쳐3가 왜요! ㅠㅠ
니어 : 오토마타 자막 올라갈때 다른 유저 도움 없이 혼자 클리어하기 이런거 성공하면 별풍 대폭발할듯.
스카야
17/11/27 22:16
수정 아이콘
물론 역대급 게임입니다만
보는 입장에서는 ㅜㅜ
레몬커피
17/11/27 17:53
수정 아이콘
스트리머도 한두명이 아니고 아마 들으신 수익은 그 분야에서도 상위1% 특급의 수익일 가능성이 높죠
본업이 있으면서 방송을 하는 경우도 있고, 전업으로 해도 통상적인 직장 월급정도의 수익만 내는 스트리머들도 많고요.

광고의 경우 해당 분야에서 어느정도 유명해지면 화면에 통상으로 배너를 거는 경우도 있고, 게임3~40분하고 15~20초정도
광고영상 쉬는타임에 한번 틀면 돈이 들어오는 경우도 있고(시청자수에따라 금액은 다르겠죠), 정말 유명하다면 아예 회사에서
새로운 게임 출시할때 미리 불러서 이 게임 미리 체험해보고 일정시간 방송한다면 얼마만큼 주겠다 하는 경우도 있고 아예 같이
광고모델로 광고를 찍는 경우도 있고

또 도네이션은 플랫폼에 따라 분위기가 다르지만 짤짤이 여러명보다 큰손 몇명이 더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세상은 넓고 돈많
은 사람은 많다고 일반 상식선에서는 잘 이해가 안가지만 단순히 자기가 좋아하는 방송의 애청자, 관리자 혹은 해당BJ가 자신
을 확실하게 인식(입장만 해도 인사해주고 등등)하기위해 상상이상의 금액을 쉽게 후원하는 부자들도 세상에 생각보다 많아요.
아프리카 BJ의경우 시청자수 3~400명정도여도 돈 엄청나게 써주는 큰손 한명만 있으면 그냥 어마어마하게 들어옵니다.

트위치같은경우는 시청자수에 따라 그냥 기본으로 방송 규정시간을 주고 이 이상 방송하면 아예 회사에서 월급을 줍니다.

이쪽도 극 최상위 몇명이 대부분 독점하는 구조라서...당연하지만 최상위급 BJ몇명보고 스트리머하면 다 저정도인가?라고 생각하는건
맞는 판단이 아니죠.
두부과자
17/11/27 17:55
수정 아이콘
트위치 같은경우는 구독시스템이 있어서 대기업들은 1000명이 넘고 풍월량님 같은 원탑은 2000명도 넘습니다.
최소금액이 4.9달러인데 1000명으로 잡아도 4900달러..500만이 넘네요. 거기에 4달러 구독만 있는게 아니라 9달러,25달러짜리 구독도 있어서 훨씬 넘겠죠.
그외에 짤짤이로 계속 터지고..
수박이박수
17/11/27 17:58
수정 아이콘
구독 시스템보고 감탄했다는....
Cazellnu
17/11/27 18:30
수정 아이콘
최상위 그룹들의 특수한 경우는 어떤 분야에 갖다 놓아도 보편적이지 못합니다.
17/11/27 18:31
수정 아이콘
도네,별풍
방 입장시 들어오는 광고료
유투브
광고협찬
17/11/27 19:09
수정 아이콘
트위치 구독은 트위치에서 50% 가져가서 생각보다 돈이 안되고 사실상 수입의 가장큰 부분은 도네이션이죠 광고배너도 돈이 안되는건 아니지만
정공법
17/11/27 19: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상 유튜브는 스트리밍할때 도네이션같이 직접쏴주는거 말고는 몇백만뷰 몇천만뷰 이런거 아닌이상 광고를 스킵하지않고 다 봐야 돈이 들어오는거기 때문에 영상재생으로는 돈버는게 없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거의 홍보용이죠
밤의멜로디
17/11/27 19: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튜브는 대다수 중소 스트리머는 돈보다는 홍보용으로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유튜브 관리자 고용하는것도 당장의 수익보단 미래가치를 보고 투자의 개념으로 보더라구요.
그리고 스트리머들 보면 학생이 아닌 이상 다른 직업이 있는 경우도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 전업으로 바로 하기엔 수익이 너무 없어서...
17/11/27 21:09
수정 아이콘
유튜브 수입도 많습니다. 많은 분들은요. 최근 동영상 몇 개 조회수만 볼게 아니라, 예전것들도 계속 올라가는거라서 연금마냥 쌓이면 돈이 꽤 됩니다. 그래서 수익이 월1천 넘는 게임스트리머도 꽤 존재하죠. 단가도 조회수 1당 1원씩이라는 말은 맞지 않는 것이고, 영상 길이랑 보는 시청층에 따라서 0.01원이 되기도 하고 10원이 넘어가는 등 차이가 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2495 [질문] 비트코인 거래소 중에 sell limit있는 거래소있나요? [2] cs1972 17/11/28 1972
112494 [질문] usb 슬롯 인식 문제 TheLasid1976 17/11/28 1976
112493 [질문] 트레이닝바지 추천해주세요. 하카세1469 17/11/28 1469
112492 [질문] 인강용 태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7] Jecht5141 17/11/28 5141
112491 [질문] 보통 사람들의 중산층?은 어느정도를 이야기하나요? [15] pppppppppp3181 17/11/28 3181
112490 [질문] 이사한 후 전에 살던 집 수리비 관련해서 질문드려요 [8] 0013256 17/11/28 3256
112489 [질문] 스트레스 어떻게 푸시나요? [14] 세이프존3307 17/11/28 3307
112488 [질문] 오사카 교통편 문의드립니다 [8] 맛있는우유2627 17/11/27 2627
112487 [질문] 인천공항공사 정규직 전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6] SaiNT2235 17/11/27 2235
112486 [질문] 내가 만약 이재용이라면 어떻게 행동했을까요...? [14] nexon2805 17/11/27 2805
112485 [질문] 같은 사무실 여자분이 그만두시는데 무슨 선물이 좋을까요? [8] will4919 17/11/27 4919
112484 [질문] 공산당(사회주의)가 내건 다같이 잘먹고 잘사는 세상을 만들자가 무슨이유때문에 모순이란 말을 듣는건가요?? [26] 잘가라장동건2957 17/11/27 2957
112483 [질문] 종합 비타민은 만능인가요? [7] 텔레토비3285 17/11/27 3285
112482 [질문] 디아3용 컴퓨터 가격대 어느정도 일까요? [4] 비상의꿈2892 17/11/27 2892
112480 [질문] 윈도우 재설치시 ssd초기화 꼭 해야하나요? [3] 가을의전설4174 17/11/27 4174
112479 [질문]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 토티 퇴장장면은 오심 아닌가요? [17] 핀토리키오7650 17/11/27 7650
112478 [질문] 노래를 못부르는데 부르기 쉬운 노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삭제됨2813 17/11/27 2813
112477 [질문] ‘너무 먼길을 돌아오는 것 같아 안타깝고...’의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7] 각키2833 17/11/27 2833
112476 [질문] 회사에서 쓸만한 화면 캡쳐 프로그램 있을까요? [14] NoPainNoAgain3681 17/11/27 3681
112475 [질문] 해외 취업시 학력 질문 (학점은행제 관련) [1] Unknown Verses3154 17/11/27 3154
112474 [질문] 스피커 이어폰 질문 2개입니다 [2] 삭제됨1404 17/11/27 1404
112473 [질문] 부산 서면 소개팅 장소 or 코스 추천 부탁 드려요 [5] 지니어스7038 17/11/27 7038
112472 [질문] 게임 스트리머는 어떻게 돈을 버나요? [17] 알트라6336 17/11/27 63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