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31 22:38:10
Name 더 잔인한 개장수
Subject [질문] 국가지원교육으로 그나마 취직이 잘되는 곳이 어딜까요? (수정됨)
예전에 하던 사업이 망했던 30대 중반입니다.

하고싶었던 일은 몇가지 있지만 이젠 정말 여유가 없기에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교육으로 살아야가야할 길을 찾아야할 것 같은데요.

다른 것보다 무경력자에 늦은 나이가 입사하기에 그나마 확률이 높은 곳을 찾습니다.

용접이나 기타 기술쪽도 생각했지만 제가 손재주가 드럽게 없습니다...
그래서 한때 기술 계열쪽에서도 일했었지만 무릎관절은 작살나고
기술의 숙련도가 늘지않아 결국 1년만에 퇴사했었습니다.

일단 IT쪽으로 자바 계열을 생각하고
전산회계, 영상편집, 웹개발, 캐드, 디자인 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말 벼랑 끝이라고 생각하고 취업률이 가장 높은 길을 선택하려는데
어떤 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31 23:12
수정 아이콘
방송쪽이 돈은 안줘도 일은 계속 있습니다..만 추천하고 싶지는 않네요
더 잔인한 개장수
17/10/31 23:48
수정 아이콘
일하는 사람들은 경력을 위해 계속 하는건가요?
17/10/31 23:50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흥미와 만족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직원이 되면 대우는 좋지만 국비지원교육만으로 올라가긴 힘든 단계고요
김태동 No.1
17/10/31 23:22
수정 아이콘
공무원 시험은 어떨까요?
더 잔인한 개장수
17/10/31 23:46
수정 아이콘
사실 가장 이상적이지만 그 수백, 수천, 수만명 중의 경쟁률을 뚫을 자신이 없습니다.
나이도 많아 머리도 굳은 것도 있구요.
수정비
17/10/31 23:30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분야 쪽으로는 캐드가 제일 나을 것 같아요
더 잔인한 개장수
17/10/31 23:48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17/10/31 23:32
수정 아이콘
hrd넷에서 교육과정 살펴보면 취업률이 나오는데 취업률 높은 직종은 실제로 취업 거진 된다고 보심 됩니다. 근데 처우가 상당히 안 좋죠. 계속 취업률 높을 수 있는 이유가 이직률이 높기 때문인 경우가 많아서요. 그렇다고 취업이 힘든 직종이 처우가 좋은 것도 아닙니다. 국비지원교육 후 취업 하는 직장은 거의 고졸도 바로 할 수 있는 일입니다. 몇달 배워서 취업하는 거니까요. 당연히 박봉입니다. 아이티 쪽은 적성에 맞지 않으면 정말 힘드실 거예요. 박봉에 월화수목금금금을 버텨야하니까요. 오래 버티고 능력을 인정 받을 수 있으면 좋겠지만 쉽진 않죠.

말씀하신 거 중에 전산 회계는 아이티 쪽은 아니고요. 세무회계 사무원인데 법률사무원과 더불어 국비지원 취업 중에는 취업률이 가장 높은 직종입니다. 다만 박봉이고 보통 남자보단 여성에게 좋은 직장인 편입니다. 캐드도 힘든 거 각오하셔야 하고요. 영상편집도 박봉인 분야인데 여긴 평균 연령이 어려서 30대가 진입하기 어려울 겁니다.

안 좋은 이야기만 썼는데 사실 이게 현실이고요. 국비지원 취업 말만 좋아보이지 질 좋은 직장 거의 없다고 보심 됩니다. 4년 대학전공자도 취업이 힘드니까요. 그래도 걔중에 늦은 나이에도 성공하는 사람들이 없는 건 아니니 본인 적성과 미래를 잘 생각해서 결정해야겠지요. 국비 교육 받기로 결정하셨으면 직접 발품 팔아서 고용센터나 학원 여러곳 상담 받아보시는 게 도움이 될 거예요. 학원 이야기는 어느 정도 걸러 들으셔야하구요. 수강생이 돈이니까요.

취업률 높은 직종은 간호조무사? 도 있긴 합니다. 남자가 드물지만 그래서 남자가 필요하기도 하다더군요.

윗분 말씀처럼 가능만 하다면 독하게 공무원 준비하는 게 나을 수 있어요.
더 잔인한 개장수
17/10/31 23:51
수정 아이콘
법률사무원 과정이 취업률이 괜찮은 편인가요?
지금와서 사실 월급 높은 건 생각도 안하고 있습니다.
연봉이 2000만 되어도 감지덕지라는 생각이....
17/10/31 23:58
수정 아이콘
취업률은 상당히 높죠. 특히 서울 사신다면요. 근무 환경도 좋은 편이고요. 하지만 연봉 상당히 박합니다. 보통 작은 변호사나 법무사 사무실 가는데 2000만 되어도가 아니라 턱도 없을 거예요. 진짜 법률 공부가 적성에 맞고 작문 능력이 있거나 영업력이 좋으면 연봉 상승 가능성은 있지만요. 영업력은 세무회계 쪽도 도움은 됩니다.
네파리안
17/10/31 23:51
수정 아이콘
일단 고용노동부가서 상담을 받아보세요. 국비교육도 취업성공패키지로 할것인가 내일 배움카드로만 할것인가 또 다르고 가서 상담 받으면서 어떤분야 교육을 받는게 좋을지 찾아보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금 취업성공패키지로 웹표준개발과정 듣고있는대 취업을 못했으니 취업시 어떤지까진 알수가 없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1204 [질문] 동대문 근처에 간단하게 볼만한거 있을까요? [7] 포이리에2148 17/11/01 2148
111203 [질문] 조금의 흔들림도 없는 책상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스타듀밸리19992 17/11/01 19992
111202 [질문] 가방을 하나 사려 합니다. [4] Scarecrow1841 17/11/01 1841
111201 [질문] 그림화일에서 문서를 추출하여 문서 화일로 바꿔주는 프로그램 있을까요? [2] Sith Lorder2367 17/11/01 2367
111200 [질문] [하스스톤] 하린이 덱 좀 봐주세요 [8] Sebastian Vettel3346 17/11/01 3346
111198 [질문] 닌텐도 스위치 재미있을까요? [13] 교자만두4066 17/11/01 4066
111197 [질문] 컴퓨터 파워 문의입니다. [6] 좋은 샘물1548 17/11/01 1548
111196 [질문] 회사 소풍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6] 파급효과2738 17/11/01 2738
111195 [질문] 롤이 끊깁니다!!이유가 뭘까요... [12] Fanatic[Jin]2547 17/11/01 2547
111194 [질문] 교통사고 합의금 질문입니다 [5] The)UnderTaker3774 17/11/01 3774
111193 [질문] [연애] 전화 안받는 여자 심리? [13] arigato16467 17/11/01 16467
111192 [질문] [LOL] 롤드컵 결승 경기 언제 시작하나요? / 휴면강등 질문... 코돈빈1759 17/11/01 1759
111191 [질문] 가정에서 스핀바이크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4] This-Plus2029 17/11/01 2029
111190 [질문] 뉴 서피스프로 쓰시는분 계신가요? [8] mcmc5251 17/10/31 5251
111189 [질문] 국가지원교육으로 그나마 취직이 잘되는 곳이 어딜까요? [11] 더 잔인한 개장수4254 17/10/31 4254
111188 [질문] 배그에서 넓은 화면을 보려면 어떤 모니터를 사야할까요? (그림 첨부) [8] 미캉4321 17/10/31 4321
111187 [질문] . [9] 삭제됨5520 17/10/31 5520
111186 [질문] 방탄유리필름쓰면 폰 떨궈도 조금 나은가요? [11] 진인환2048 17/10/31 2048
111185 [질문] 여러분의 복근운동은?? [5] Celtics3578 17/10/31 3578
111184 [질문] i7, 1060급 노트북 이 중에서 뭐가 젤 나을까요? [3] opscar2383 17/10/31 2383
111183 [질문] 뮤지컬 노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드워프는뚜벅뚜벅6263 17/10/31 6263
111182 [질문] 휴대폰에서 컴퓨터로 파일 주고받는 가장 편한 방법은 뭔가요? [14] 채연2663 17/10/31 2663
111181 [질문] 우리나라에선 현재 오버워치보다 스1이 인기가 더 많나요? [16] Jecht3678 17/10/31 36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