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30 21:58:45
Name 잔 향
File #1 KakaoTalk_20171030_214804180.png (1.38 MB), Download : 20
Subject [질문] 모바일게임 과금 가격이 왜 이런식이죠?


요즘 이중과세 의혹으로 핫한 붕괴3의 수정 가격입니다.
이게 이중과세인지 아닌지는 제쳐두고 그냥 수정 가격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저는 처음봤을때 수정의 가격이 전부 11의 배수인걸 보고, 당연히 10%의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을거라 예상을 했는데요.
막상 실제로 과금하려고 하니, 여기에 10%가 더 붙어서 과금이 되더라구요. 그러니까 1,100원짜리는 1,210원으로요.


그래서 저는 이걸 보고 마치 부가세가 포함된것처럼 유저를 기만해서 결제를 유도하려고 이런식의 가격을 책정한게 아닐까 생각을 했어요.
추가로 다른 모바일게임의 과금방식도 몇개 찾아봤는데 이런식의 11배수이면서 부가세를 또 받는 모바일게임이 꽤나 있더라구요.

앱스토어 앱의 경우에 부가세가 추가로 반영되어서 10달러 하던게 11달러로 오른 경우는 있지만, 붕괴3같은 경우는 런칭이 된지 한달도 지나지 않았거든요? 그러니까 결국 처음부터 이 가격을 책정한것이죠.

보통의 홈쇼핑에서 판매를 유도하는 29700원같이 3만원에서 약간 뺀 가격이 아닌 이런 11배수의 과금모델이 제가 생각하는 것처럼 유저들을 기만하려는 이유일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아시는 분들 계시면 알려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30 22:02
수정 아이콘
저게 원래 앞에부터 0.99달러 4.99달러 19.99달러 49.99달러 이런식으로 달러기준금을 환산해서 10의자리수 버림해버리고 책정한 가격아닌가요? 이게 다 들어맞지는 않겠지만 국내위주나 국내온리 서비스 게임이라면 딱딱 떨어져서 올리고 부가세를 받고, 글로벌한 게임이면 저런 위의 가격이 나오는거 같더군요.
전자는 리니지m 후자는 서머너즈워가 좋은 예가 될수 있겠네요.
17/10/30 22:03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도 40000원, 50000원등의 가격대를 책정하고 있습니다. 중국이랑 우리나라의 화폐가치가 딱 10배수로 차이가 나지 않는 이상 저런식으로 책정될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17/10/30 22:05
수정 아이콘
앗 그런가요? 그럼 모든 게임들이 제가 생각하는 분류에 들어가지는 않겠네요. 아무튼 요지는 저런 위의 가격대를 아예 못본게 아니라서 딱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모르겠네요. 3만원이든 3만3천원이든 결제시에 부가세 10%로가 추가되는 부분은 동일하니까요
17/10/30 22: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네 큰 문제는 없죠. 단지 저는 저런 가격책정이 게임회사측에 이득이 되니까 저렇게 했을거라고 생각을 해요.

그런데 왜 일반 상품들은 29700원 또는 30000원같이 일정 가격에서 약간 모자르거나 정가로 가격책정을 하는데,
왜 유독 모바일게임 과금에서만 저런식의 가격 책정이 이득이 될까 생각해보니 그냥 유저들을 기만해서 과금을 유도하려는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17/10/30 22:21
수정 아이콘
정가의 의미가 제가 알기로는 그냥 정해진 가격일테니 가격자체를 책정하는것 자체에는 유저를 기만하려거나 과금 유도의 속셈이 있다고는 생각이 안드네요.

예를드신대로 29700원이 33000원보다는 보통 소비자 입장에서 구매가 당기는 금액일테니까요.

단지 추가적으로 11의 배수로 책정된 가격에 저도 처음에는 부가세포함인가 했지만, 실제 결제시에 마지막에 부가가치세 포함되서 나오기도하고, 조금 주의하기만 한다면 문제는 없을것 같네요.
사악군
17/10/30 22:59
수정 아이콘
보니까 조금이라도 유저 금전감각흔들려고 이런 보석류의 가격을 현금과 10배수단위로 만들지 않고 비틀어 설정하더라고요. 어떤 아이템이 현금으로는 얼마구나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어렵게하려고..
부비부비트랩
17/10/31 12:50
수정 아이콘
쉬운 암산으로 현금으로 바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저렇게 사용할 때가 많습니다.
추가로 보너스로 지급되는 다이아로 인한 낱개당 할인율 등이 고려되어 금액이 책정됩니다.
물론 처음에 저렇게 책정한 회사는 꽤 고민했겠지만 잘나가는 게임을 벤치 마킹해서 그대로 가져다 쓸 때도 많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1135 [질문] 60대 부모님 실비 보험을 들려고 하는데... [2] 오징어와 말미잘2069 17/10/30 2069
111134 [질문] 심근경색 관련 질문입니다. [12] 재입대3465 17/10/30 3465
111133 [질문] 로잉머신을 사려고 하는데요, 질문이 있습니다. [4] JJakjin6028 17/10/30 6028
111131 [질문] 깊이 70에 너비 80인 책상 없을까요 [6] 스타듀밸리3579 17/10/30 3579
111130 [질문] 집주인이 갑자기 전세보증금 반환을 오후에 해주겠다는데요... [4] 트위스터3783 17/10/30 3783
111129 [질문] 모바일게임 과금 가격이 왜 이런식이죠? [7] 잔 향3050 17/10/30 3050
111128 [질문] 1080TI, 파워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마롱7111 17/10/30 7111
111127 [질문] 그외장비 dlna와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미니 앰프(dac?)을 찾습니다. 귀여운호랑이1720 17/10/30 1720
111126 [질문] 엑셀에서 특정 셀값들 일괄 바꾸기 [5] halogen18296 17/10/30 18296
111125 [질문] 문과가 취업 힘든거 진실인가요? [22] 삭제됨5783 17/10/30 5783
111124 [질문] CK2 질문있습니다. 게임종료 관련. 먹뚱1562 17/10/30 1562
111122 [질문] 요새 가요 음원 비수기 맞죠? [8] Healing3308 17/10/30 3308
111121 [질문] C언어와 데이터구조론 독학하려는데 책이나 강의 추천부탁드립니다. [10] 유수프2091 17/10/30 2091
111120 [질문] lol) 최근에 자유랭 배치 보신분 계신가요? [12] 이은영5117 17/10/30 5117
111119 [질문] 혼자 제모할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2] 코인괜히시작2591 17/10/30 2591
111118 [질문] 헬스 초보 질문드립니다. [11] 삭제됨3079 17/10/30 3079
111117 [질문] [환갑] 분당, 용인, 이천 좋은식당 추천좀 부탁드려요 꾸벅 [11] 크 헝2582 17/10/30 2582
111116 [질문] 중고 컴퓨터를파려고 합니다. [16] 기승전정2944 17/10/30 2944
111115 [질문] GOG vs STEAM, 어느 플랫폼에서 게임 구매하는 게 나을까요? [13] 써니7770 17/10/30 7770
111114 [질문] 7호선 근처 신도시 질문입니다. 신이주신기쁨1355 17/10/30 1355
111113 [질문] 도쿄 숙소 위치 질문입니다. [3] Dr.덴마3157 17/10/30 3157
111112 [질문] 글로(glo)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8] 꿈꾸는사나이5031 17/10/30 5031
111111 [질문] 컴공쪽은 수도권에서 직장 잡기 쉽나요? [8] 삭제됨2842 17/10/30 28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