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27 22:55:52
Name StarLoL사랑
Subject [질문] [LOL] 우지 선수에 대해
우지 선수에 대한 궁금중입니다..

중국쪽 LOL은 언론 플레이가 심하고 믿을게 못된다 하던데..

한국쪽 관계자들은 그중에 우지선수 만큼은 리스펙해야 한다고 하던데..
그이유가 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마타 선수가 인터뷰 하길 한국에 와도 통한다고 하던데.. 그건 그냥 단순한 립서비스인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27 22:58
수정 아이콘
전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 이번 롤드컵 경기력 기준으로만 봐선 팀원 조합자체가 우지만 서포팅하는 그런 조합이던데
그럼에도 그렇게 캐리력있는 모습은 못보여준거 같아요.
문지기문지기문열
17/10/27 23:06
수정 아이콘
예전 롤드컵부터 꾸준하게 잘해줘서 그런거 아닐까요?
잘은 기억안나지만 예전에 로얄클럽시절 꽤 인상깊었던 장면이 몇개있었던거같은데..
찾으려하니 잘 못찾겠네요 ㅠ
쿼터파운더치즈
17/10/27 23: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지 잘해요 피지컬은 진짜입니다
다만 세체원 넘사벽 이런건 절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멘탈적으로 리스크가 엄청 커요
불타는로마
17/10/27 23:09
수정 아이콘
중국선수중에 롤드컵 성적 계속 잘내고 있는 편이니 말이죠.... 생긴것도 그렇고 뭔가 소년만화 주인공 같긴해요. 사고뭉치 소년이 성숙하는 스토리랄까
구구단
17/10/27 23:10
수정 아이콘
4시즌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중체원 폼 보여주었고
예전에 말 많던 인성 문제도 본인이 고치기 시작하면서 호감형 선수로 거듭나고 있죠.

작년 롤드컵에서도 skt 다전제에서 뱅울프 상대로도
봇라인전에서 우지마타가 이기진 못했어도 비교적 선방하는 모습까지 보여주면서 평가가 더 올라갔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원딜캐리 메타인 롤드컵에서 원딜 중에선 최고의 폼을 보여주고 있으니
중국팬들에게 우지 선수에 대한 기대감은 엄청날 것 같습니다.
17/10/27 23:11
수정 아이콘
잘하는건 맞는데 그렇게까지 기사에서 푸쉬해줄 정도로 특출난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페이커처럼 유아독존도 아니고 말이죠.
뱅,룰러,프레이,데프트등등 잘하는 원딜들 많은데 라인전은 걍 상성따라 서로 이기고 지고 할 실력은 된다고 봅니다.
결론은 외국인 원딜중엔 가장 잘한다 정도...
신공표
17/10/28 05:21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썸머~선발전 즈음의 경기력 기준으로, 데프트 보다는 훨씬 잘하는 듯 하네요.
카바라스
17/10/28 06:50
수정 아이콘
뭐 중국있을때도 투탑이었고 딱히 커리어가 뒤지는것도 아니니까요 우지가 매번 lpl도 준우승만 해서.. 뭐 선수마다 등락은 있는거고요
다크템플러
17/10/27 23:11
수정 아이콘
전 중국선수중에 클럽, 우지 이 둘은 진짜 최고라생각하는데
특히 우지의 경우 자존심쌔고 승부욕강하면서도 자신보다 객관적인 강자(=lck)를 철저하게 인정하고 배우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멋지더군요.
또 14년까지만해도 진짜 유아독존이던 이미지였는데 15년 OMG에서 보낸 이후 달라진것같기도 하고.. 매력적인 선수죠.
17/10/27 23:24
수정 아이콘
중국 lol을 못믿는 이유야 포스는 마치 lck를 넘어설 최강리그인 것처럼 해놓고 15 롤드컵부터 전세계에 비웃음만 샀기 때문이죠.
한국 관계자 인터뷰는 입 잘못놀렸다가 지면 하이퍼극딜 당하는걸 몇 번 겪었으니 최대한 겸손하게 상대를 높이는거구요.
우지가 세체원임을 증명하려면 이번 롤드컵을 우승해야 합니다. skt와 삼성을(혹은 we를) 연속해서 이긴다면 현 메타 특성상 우지가 세체원이라는걸 아무도 부정 못할 것이고, 우승을 못하면 우지 고평가는 tsm고평가 만큼이나 사그러들 겁니다.

+물론 우지가 8강까지 보여준 퍼포먼스는 절정의 기량입니다
피지알중재위원장
17/10/27 23:25
수정 아이콘
이번 롤드컵에서 되게 잘하고 있지 않나요??
저는 RNG경기 볼때마다 감탄하고 있어요.
페이커가 뒤에 있는 팀원들의 든든함을 RNG도 간이체험 정도는 하고 있지 않나 싶을 정도로요.

물론 원딜계의 페이커냐 그러면 당연히 아니고요.
한국 S급 원딜하고 동급에 둬도 전혀 안뒤진다 그정도인거 같아요.
그정도만 되도 리스펙할 이유는 충분하니까요.
곰그릇
17/10/27 23:27
수정 아이콘
일단 롤드컵 준우승 2회 출신이고
확실히 잘 합니다. 제가 보기에는 현재 폼으로는 이동기 없는 하드캐리형 원딜은 프레이, 뱅 선수보다 잘 하는 것 같아요.
사유라
17/10/28 00:05
수정 아이콘
저도 인상이 중체원을 넘어서 걍 중국에서 가장 롤을 잘하는거 같아요. 페이커가 세체미지만 걍 세계에서 롤을 젤 잘하는것처럼요.
kartagra
17/10/28 00:20
수정 아이콘
이동기가 있는 원딜은 좀 애매하긴 한데, 이동기가 없는 하드캐리형 원딜은 확실히 잘합니다. 애초에 우지가 들어간 팀은 무조건 우지를 중심으로 그런 조합이 짜이는게 기본이고요. 이런 특성이 현 향로 메타랑 이보다 더 잘 맞을 수가 없을 정도로 잘 맞아서 훨씬 잘해보이긴 합니다. 다만 꾸준함은 인정하지만 사실 데프트가 중국에 있었을때만 해도 만년 콩라인(...)이었고, 페이커처럼 독보적인 세체원 이런 느낌은 아닙니다. 물론 한국에 와도 충분히 먹힐만한 수준은 맞아요.
17/10/28 00:27
수정 아이콘
글쎄요. 중국내 위상은 우승횟수같은거만 봐도 EDG시절 데프트에도 밀리지않나요?
데프트, 프레이, 뱅, 룰러가 한수 위라봅니다. 중국선수 중에서는 잘한다 정도...
피카츄백만볼트
17/10/28 00:34
수정 아이콘
잘하는건 맞는데 세체원인지는 잘... 요즘 폼 내려간 뱅은 몰라도 룰러보다 나은지 모르겠네요. 롤드컵 우승 하면 그땐 17 세체원이라고 주장할수는 있겠네요.
pppppppppp
17/10/28 00:39
수정 아이콘
우지가 대단한건 진 경기에서도 딜량 1위한 적이 많다는게 대단..
그만큼 많이 짤리기도 하지만요 크크
딜량 스텟 150 안정감 80정도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아마존장인
17/10/28 01:00
수정 아이콘
1. 롤드컵 원딜중 제일 잘하는중
2. 커리어는 얼추 프레이급
3. 중국인중에 젤잘함 그들의 희망
그냥 띄워주는게 당연한데요. 어그로소재로 쓰시려는건지
그 닉네임
17/10/28 01:59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 엄청 띄워줄만하죠. 중국에서 가장 롤을 잘하는 선수인데요.
17/10/28 07:30
수정 아이콘
임프 상위호환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늘보다 나은 내일
17/10/28 12:54
수정 아이콘
크크 멘탈까지 어쩌면 상위호환이네요
17/10/28 09:32
수정 아이콘
이건 우지의 경기를 찾아보시는 게 낫지 않을까요.
17/10/28 09:54
수정 아이콘
LPL 탑클래스이긴 한데 4강을 넘어 결승 올라가서 우승한다면 17시즌 세체원으로 평가받겠죠.
4강에서 결국 무너진다면 본인이 설령 잘 했다 하더라도 중체원 정도의 평가로 남을거고..
17/10/28 12:12
수정 아이콘
당연히 리스펙 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좋은 커리어의 원딜과 달리 우지의 팀은 언제나 바텀 위주의 플레이를 통해 롤드컵에 매번 진출했고,
비록 SKT에 번번히 고배를 마셨지만 준우승 2회 등의 좋은 성적을 거둬왔으니까요.

커리어로 우지와 비슷한/혹은 우지 이상의 원딜들이 몇 없을뿐더러 그들 대다수 다른 캐리 롤 (페이커,마린,스맵) 이 더 돋보이거나
조직력 (14 화이트) 에 묻힌 반면 우지의 팀의 성적은 정말 바텀에서 일궈냈다고 평가받는게 대단한 점이죠.
생겼어요
17/10/28 12:29
수정 아이콘
현재 메타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잘 이용하는 원딜러입니다. 메타빨이건 뭐건 이번 롤드컵을 먹는다면 역대급 원딜러 중 한명으로 올라가기에 손색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17/10/28 12:47
수정 아이콘
우승하면 늦지않아도 보네여. 리스펙까진 모르겠네요.
Randy Johnson
17/10/28 13:05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 보면 최강급이지만 세계급은 아니라고 봅니다
롤드컵 기록들도 한국팀 피해다니며 준결승까지 쌓아본 정도라 보고요
이번에 SKT를 이기면 평가가 세계급으로 올라가겠지만 지금으로는 거품으로 생각합니다
whenever
17/10/28 14:14
수정 아이콘
롤드컵 2회준우승팀의 에이스
지금까지 충분히 보여줬다고 생각해요. 거품소리 들을 정도는 절대 아니라고 생각함
17/10/28 16:08
수정 아이콘
그냥 중국에서 잘하는 원딜정도라고 생각하지 무슨 슈퍼스타니 뭐니 이런건 납득못하겠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1027 [질문] 제노트북 사양인데 베그 돌아갈까요? Dante2111 17/10/28 2111
111026 [질문] [lol] 롤알못인데 페이커4명+일반인1명 vs 프로팀 [41] HesBlUe4305 17/10/28 4305
111025 [질문] PC맞추기 좋은 쇼핑몰이 어디인가요? [8] 자판기냉커피3836 17/10/28 3836
111024 [질문] 노트북 선택 질문드립니다. 알파카3309 17/10/28 3309
111023 [질문] 체코에서 three 유심칩을 끼웠습니다. 급. ㅜ [2] 절름발이리오너라2422 17/10/28 2422
111022 [질문] [PC] 램가격에 대해 궁금합니다. [11] 차밭을갈자2581 17/10/28 2581
111021 [질문] CCM 피아노 교본 혹시 좋은거 아시는분 있나요? [1] cluefake1648 17/10/28 1648
111020 [질문] 해외출장시에 주말 숙박비 일비 지급 안하는게 정상인가요? [32] MirrorShield4099 17/10/28 4099
111019 [질문] 부모님이 백억대 자산가라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85] 그 닉네임7317 17/10/28 7317
111018 [질문] 노래 질문입니다! [4] 로랑보두앵1296 17/10/28 1296
111017 [질문] 게임 찾는 질문입니다 [3] 체크카드1845 17/10/28 1845
111016 [질문] wd 외장하드 인식이 안 됩니다. [1] 1123582364 17/10/28 2364
111015 [질문] 집을 살 때 전세보증금 문제 [1] 별헤는밤1624 17/10/28 1624
111014 [질문] 외계인, 신, 마법의 존재는 각각 무슨 영역일까요? [9] 펩시콜라2953 17/10/28 2953
111013 [질문] homm3 참고할만한 bj 없나요? [6] 삭제됨3285 17/10/28 3285
111012 [질문] 공기업의 채용비리가 저 정도라면 사기업은 어느정도인가요? [37] 무가당6874 17/10/28 6874
111011 [질문] 더비슈즈 추천 부탁드립니다 [1] it's the kick2423 17/10/28 2423
111010 [질문] 실제로 분노 조절 장애가 있나요? [6] 트레인플3354 17/10/28 3354
111009 [질문] 오늘 홍대나 이태원 근처 괜찮은 칵테일바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여자친구2153 17/10/28 2153
111008 [질문] 만약 불법적인 경로로 천문학적인 돈이 생기게 된다면? [7] patio2860 17/10/28 2860
111007 [질문] 배구 팀 전술 약속에 대해 궁금합니다 [2] SaiNT1683 17/10/28 1683
111006 [질문] 친구 전여친이 제 결혼식에 꼭 오겠다고 합니다. [34] 안경5409 17/10/28 5409
111005 [질문] 5만원 이하 오버워치 배그용 헤드셋 추천 부탁드립니다 나이스2098 17/10/28 20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