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27 22:58
전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 이번 롤드컵 경기력 기준으로만 봐선 팀원 조합자체가 우지만 서포팅하는 그런 조합이던데
그럼에도 그렇게 캐리력있는 모습은 못보여준거 같아요.
17/10/27 23:06
예전 롤드컵부터 꾸준하게 잘해줘서 그런거 아닐까요?
잘은 기억안나지만 예전에 로얄클럽시절 꽤 인상깊었던 장면이 몇개있었던거같은데.. 찾으려하니 잘 못찾겠네요 ㅠ
17/10/27 23:09
중국선수중에 롤드컵 성적 계속 잘내고 있는 편이니 말이죠.... 생긴것도 그렇고 뭔가 소년만화 주인공 같긴해요. 사고뭉치 소년이 성숙하는 스토리랄까
17/10/27 23:10
4시즌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중체원 폼 보여주었고
예전에 말 많던 인성 문제도 본인이 고치기 시작하면서 호감형 선수로 거듭나고 있죠. 작년 롤드컵에서도 skt 다전제에서 뱅울프 상대로도 봇라인전에서 우지마타가 이기진 못했어도 비교적 선방하는 모습까지 보여주면서 평가가 더 올라갔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원딜캐리 메타인 롤드컵에서 원딜 중에선 최고의 폼을 보여주고 있으니 중국팬들에게 우지 선수에 대한 기대감은 엄청날 것 같습니다.
17/10/27 23:11
잘하는건 맞는데 그렇게까지 기사에서 푸쉬해줄 정도로 특출난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페이커처럼 유아독존도 아니고 말이죠.
뱅,룰러,프레이,데프트등등 잘하는 원딜들 많은데 라인전은 걍 상성따라 서로 이기고 지고 할 실력은 된다고 봅니다. 결론은 외국인 원딜중엔 가장 잘한다 정도...
17/10/28 06:50
뭐 중국있을때도 투탑이었고 딱히 커리어가 뒤지는것도 아니니까요 우지가 매번 lpl도 준우승만 해서.. 뭐 선수마다 등락은 있는거고요
17/10/27 23:11
전 중국선수중에 클럽, 우지 이 둘은 진짜 최고라생각하는데
특히 우지의 경우 자존심쌔고 승부욕강하면서도 자신보다 객관적인 강자(=lck)를 철저하게 인정하고 배우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멋지더군요. 또 14년까지만해도 진짜 유아독존이던 이미지였는데 15년 OMG에서 보낸 이후 달라진것같기도 하고.. 매력적인 선수죠.
17/10/27 23:24
중국 lol을 못믿는 이유야 포스는 마치 lck를 넘어설 최강리그인 것처럼 해놓고 15 롤드컵부터 전세계에 비웃음만 샀기 때문이죠.
한국 관계자 인터뷰는 입 잘못놀렸다가 지면 하이퍼극딜 당하는걸 몇 번 겪었으니 최대한 겸손하게 상대를 높이는거구요. 우지가 세체원임을 증명하려면 이번 롤드컵을 우승해야 합니다. skt와 삼성을(혹은 we를) 연속해서 이긴다면 현 메타 특성상 우지가 세체원이라는걸 아무도 부정 못할 것이고, 우승을 못하면 우지 고평가는 tsm고평가 만큼이나 사그러들 겁니다. +물론 우지가 8강까지 보여준 퍼포먼스는 절정의 기량입니다
17/10/27 23:25
이번 롤드컵에서 되게 잘하고 있지 않나요??
저는 RNG경기 볼때마다 감탄하고 있어요. 페이커가 뒤에 있는 팀원들의 든든함을 RNG도 간이체험 정도는 하고 있지 않나 싶을 정도로요. 물론 원딜계의 페이커냐 그러면 당연히 아니고요. 한국 S급 원딜하고 동급에 둬도 전혀 안뒤진다 그정도인거 같아요. 그정도만 되도 리스펙할 이유는 충분하니까요.
17/10/27 23:27
일단 롤드컵 준우승 2회 출신이고
확실히 잘 합니다. 제가 보기에는 현재 폼으로는 이동기 없는 하드캐리형 원딜은 프레이, 뱅 선수보다 잘 하는 것 같아요.
17/10/28 00:20
이동기가 있는 원딜은 좀 애매하긴 한데, 이동기가 없는 하드캐리형 원딜은 확실히 잘합니다. 애초에 우지가 들어간 팀은 무조건 우지를 중심으로 그런 조합이 짜이는게 기본이고요. 이런 특성이 현 향로 메타랑 이보다 더 잘 맞을 수가 없을 정도로 잘 맞아서 훨씬 잘해보이긴 합니다. 다만 꾸준함은 인정하지만 사실 데프트가 중국에 있었을때만 해도 만년 콩라인(...)이었고, 페이커처럼 독보적인 세체원 이런 느낌은 아닙니다. 물론 한국에 와도 충분히 먹힐만한 수준은 맞아요.
17/10/28 00:27
글쎄요. 중국내 위상은 우승횟수같은거만 봐도 EDG시절 데프트에도 밀리지않나요?
데프트, 프레이, 뱅, 룰러가 한수 위라봅니다. 중국선수 중에서는 잘한다 정도...
17/10/28 00:34
잘하는건 맞는데 세체원인지는 잘... 요즘 폼 내려간 뱅은 몰라도 룰러보다 나은지 모르겠네요. 롤드컵 우승 하면 그땐 17 세체원이라고 주장할수는 있겠네요.
17/10/28 00:39
우지가 대단한건 진 경기에서도 딜량 1위한 적이 많다는게 대단..
그만큼 많이 짤리기도 하지만요 크크 딜량 스텟 150 안정감 80정도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17/10/28 01:00
1. 롤드컵 원딜중 제일 잘하는중
2. 커리어는 얼추 프레이급 3. 중국인중에 젤잘함 그들의 희망 그냥 띄워주는게 당연한데요. 어그로소재로 쓰시려는건지
17/10/28 09:54
LPL 탑클래스이긴 한데 4강을 넘어 결승 올라가서 우승한다면 17시즌 세체원으로 평가받겠죠.
4강에서 결국 무너진다면 본인이 설령 잘 했다 하더라도 중체원 정도의 평가로 남을거고..
17/10/28 12:12
당연히 리스펙 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좋은 커리어의 원딜과 달리 우지의 팀은 언제나 바텀 위주의 플레이를 통해 롤드컵에 매번 진출했고, 비록 SKT에 번번히 고배를 마셨지만 준우승 2회 등의 좋은 성적을 거둬왔으니까요. 커리어로 우지와 비슷한/혹은 우지 이상의 원딜들이 몇 없을뿐더러 그들 대다수 다른 캐리 롤 (페이커,마린,스맵) 이 더 돋보이거나 조직력 (14 화이트) 에 묻힌 반면 우지의 팀의 성적은 정말 바텀에서 일궈냈다고 평가받는게 대단한 점이죠.
17/10/28 12:29
현재 메타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잘 이용하는 원딜러입니다. 메타빨이건 뭐건 이번 롤드컵을 먹는다면 역대급 원딜러 중 한명으로 올라가기에 손색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17/10/28 13:05
중국에서 보면 최강급이지만 세계급은 아니라고 봅니다
롤드컵 기록들도 한국팀 피해다니며 준결승까지 쌓아본 정도라 보고요 이번에 SKT를 이기면 평가가 세계급으로 올라가겠지만 지금으로는 거품으로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