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13 09:41
메이저리그는 동네에서 야구하던 사람들이 다른 동네 팀과 대결하던것에서 시작합니다.. 지역명을 우선시하는건 여기서 기원한거고요.
이렇게 자발적으로 생긴 팀이 수익사업을 하면서 팀 자체가 하나의 회사가 되었고 이렇다보니 특정 회사명을 굳이 넣을 필요가 없습니다. LA다저스란 팀 자체가 회사인데 거기에 또 회사명을 붙이는건 이상하죠..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정부에 의해 만들어진 프로리그라서 팀 역시 정부의 협박(?)을 받은 야구완 아무 관계 없는 회사에 의해 만들어진거니 홍보목적으로라도 이용하기 위해 회사명을 우선시할 수밖에 없었죠 일본 역시 실업야구단을 프로로 전환한거다 보니 기업명이 우선해서 붙습니다..
17/10/13 09:45
(수정됨) 제가 알기로 원론적으론 일단 태생의 차이가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프로축구나 프로야구 등의 한국 프로 스포츠는 전두환의 정책으로 인해 강제출범된 거라 기업이 주도해 구단을 만든 경우입니다. MLB나 유럽 축구 구단 같은 경우엔 음...예를 들어 동네야구단이 이리저리 붙는 소규모 리그에서 기업의 후원이 들어와서 커졌던 형태로 알고 있어요. 축구도 비슷할테고요. 이런 유래의 차이가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간략히 기존에 있는 A구단에 후원이 들어오는 팀(MLB) VS 아예 A구단을 만든 팀(KBO) 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여기에 더해서 MLB구단의 경우, 구단 자체가 하나의 기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야구단 기아는 기아란 모기업 아래 있는 형태지만, LA 다저스는 그 상위가 없는 그냥 기업으로 알고 있어요. 'LA 다저스'가 그냥 기업이니까 우리처럼 모기업 홍보를 위해(기아 타이거즈가 기아를 위해) 활용될 필요가 없는거죠.
17/10/13 09:47
https://namu.wiki/w/KBO%20%EB%A6%AC%EA%B7%B8#s-3.2.1
3.2.1. 팀명에 지역명이 없는 이유<-- 요부분 참조요
17/10/13 09:54
왓 다들 감사합니다. ^^ LA다저스가 자체로 하나의 기업이라는 점이나 5공이 지역감정 유발을 반기지 않았다는 점은 처음 안 의외의 사실들이었네요.
3분 모두 감사합니다.
17/10/13 14:32
이런거 저런거 떠나서 미국보다 야구 인기가 없으니까요. 구단의 이름에 기업명이 빠지면 홍보 효과는 급감할텐데 우리나라 정도의 야구 인기면 구단명이 곧 기업명이 아니면 기업들이 야구에 지금 같은 투자를 장담할 수 없죠. 그리고 국내 야구단도 기업이죠. 다른 기업과 함께 계열사를 이룰 뿐이지. 넥센 히어로즈는 그런거 없이 독립적 기업이고요. 다만 네이밍 스폰서로 돈을 벌기 위해서 저러는 거고요. 야구인기가 천조국 수준이 되면 기업명 뜯어버리고 지역명으로 버틸 수 있죠. 갠적으로 케이리그도 어줍잖게 유럽축구 따라한다고 생각없이 기업명 버려서 리그 성장이 지체되고 돈이 안모인다고 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