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07 14:37
영화판이 어땠는지 정확히 기억나진 않습니다만, 책에서는 헬름 협곡에서 방어해야 한다는 데 모두 동의합니다. 애초에 백성들 피신시키고 지키면서 싸울 장소가 거기뿐이기도 하구요.
17/10/07 14:38
세오덴은 헬름협곡에선 소수로도 막을 수 있다 vs 아라곤은 못막는다, 이거 아니었나요?
헬름협곡에서 방어하기로 결정이 되자 간달프가 부랴부랴 에오메르 설득하러 가는거고요. 소설은 잘 기억이 안나긴하는데...
17/10/07 14:44
소설은 조금 다르죠 당장 소설에는 세오덴의 병력이 500이 아니라 2000명 정도 되니까요. 소설에선 에오메르가 추방 당하지도 않았고요.
근데 영화는 병력이 고작 500에 에오메르도 없고 기타 다른 로한의 주요 지휘관들 비중도 공기라서
17/10/07 15:21
영화판으로도 말이 안되는건 아닌게, 간달프는 에오메르와 그 군대를 부를수 있으니 나가서 싸워 시간을 벌자는 얘기였습니다.
다만 이러면 에도라스가 혹시 불탈까봐(+필요한 시간을 벌지 못하면 백성들이 다칠까봐) 세오덴이 후방에 있는 헬름협곡으로 피한 거죠. 간달프 입장에선 마이아인지라 정보수집이 남달라서, 그 전에 엔트들한테도 손을 써놨었고 에오메르가 어디있는지도 보이고, 나가서 어그로만 끌어주면 지원군들 착착 도착해서 싸울수 있겠다는 계산이 섰었다고 봐야겠죠. 반대로 소설판에서는 애초에 아이센가드와 에도라스 사이에 헬름협곡이 있어서 싸우러 나가는 겁니다. 이미 웨스트폴드 대영주 에르켄브란드쪽은 아이센가드의 침공에 정면으로 대항중이었고, 이걸 돕기 위해 근처의 요새인 헬름협곡으로 출동한 겁니다.
17/10/07 16:38
원작을 기준으로 하면 이미 아이센가드의 오르크들과 전쟁이 벌어지고 있었죠. 거기서 세오덴의 장남이자 왕자인 세오드레드가 전사하기도 했구요. 패잔병 + 웨스트폴드 쪽의 군사들을 이끌고 에르켄브란드가 전투를 지속하고 있었고, 에도라스 뿐만 아니라 그전 전투에서 발생한 난민도 헬름 협곡 쪽으로 모이고 있었기 때문에 전장을 거기로 고른 거였습니다.
영화판에서는 약간 스토리가 꼬인 게, 이러한 사전전투에 대한 내용도 없어지고 에르켄브란드라는 캐릭터가 삭제되면서 원군을 이끌고 오는 것이 에오메르로 바뀌어서, 작성자 분께서 어? 하실만한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이 됩니다. 캐릭터 하나를 삭제하고, 원군 도착장면을 그대로 재현하려고 하다보니, 스토리 상 약간 꼬인 게 있었던 것 같아요. 소설에서는 에오메르도 아라곤, 세오덴과 같이 헬름협곡에서 방어전을 치뤘으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