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8/10 19:54
    
        	      
	 https://www.kwater.or.kr/info/sub01/watersavePage.do?s_mid=1674
 [칫솔질 후 30초 동안 양치질 한다고 가정했을 때 흘려보내는 물의 양은 6L 정도입니다.] 이에 따르면 2시간 동안에는 1440L의 물이 나옵니다. 1440L는 1.44㎥이고요. http://i121.seoul.go.kr/cs/cyber/front/cgcalc/NR_cgCalcHomePurpose.do?_m=m1_3_1 서울시의 경우 상수도 요금은 구간별로 ㎥당 530~960원(물이용부담금 포함)이니 1.44㎥면 약 760~1380원 정도...라고 할 수 있을겁니다. 
	17/08/10 19:59
    
        	      
	 방금 세면대에서 10초 동안 중간 정도 수압으로 물을 받아봤습니다. 1리터쯤 되네요. 1분이면 6리터, 1시간이면 360리터, 2시간이면 720리터.
 요금으로 치면 천원은 안될거 같네요. ps. 저는 계란 삶다가 냄비 다 태우고, 계란은 훈제 계란이 된적이 있습니다. 
	17/08/10 20:06
    
        	      
	 병원 한 번 가보세요. 
 수도요금은 수도권 기준 톤당 천원 안쪽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희집이 월 30톤 정도 쓰는데 3만원정도 나와요. 수도요금은 기본료+ 상수도와 하수도를 합쳐서 내는 거라서 상수도만 생각하시면 안돼요. 
	17/08/10 20:14
    
        	      
	 다들 답변 고맙습니다. 
 대략 1톤좀 넘는다고 보면 되겠네요. 다음부턴 정말 조심하겠습니다. 물도 참 아까운데 생각보다 요금이 더 적게나오는것 같군요. 
	17/08/10 20:16
    
        	      
	 예전에 어머니가 저희 가족 모두 잠든 11시에 보리차 끓여놓아야겠다고 주전자를 가스불에 올려놓고 
 잠드시는 바람에 저희 가족 모두 죽을뻔한적이 있어서 그런가, 남일 같지가 않네요. 조심하세요. 
	17/08/11 11:38
    
        	      
	 아침에 샤워하기 전 먹다남은 닭도리탕 안 상하게 덥혀놔야지 했다가 깜빡 안 끄고 출근한 적이 있었습니다. 퇴근했을 때 온 집안이 타는 냄새로 진동을 하더군요. 인덕션 아니었으면 큰일날 뻔 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