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8/06 22:56:32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몇번의 사건사고? 때문에 운전하는게 두렵습니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토이스토리G
17/08/06 23:12
수정 아이콘
운전을 긴장을 안하고 타시는거 같네요.
운전은 잘하고 못하고가 있는게 아니고;; (레이싱게임이 아닙니다) 안전하게 운행하는게 중요한점이죠.
운전대 잡았다고 너무 들뜨지마시고요..제가볼때 본인이 운전을 잘한다고 생각하는거 자체가 문제가 있네요...
운행시 각종 변수를 생각하시면서 타시면 사고가 날수가 없습니다..
태엽감는새
17/08/06 23:21
수정 아이콘
운전은 저도 초보라 뭐라 말씀드리기 어렵고..
발목은 평소에 스트레칭이라도 하세요. 저도 요새 나이쬐끔먹고 운동하려니
고관절이고 어깨고 삐끄덕하네요. 꾸준히 스트레칭 하셔서 가동성 확보해야
두려움이 좀 사라지지 않을까하네요
This-Plus
17/08/06 23:33
수정 아이콘
일단은 본인 차와 혼연일체가 먼저가 아닌가싶습니다.
무조건 많이 타서 차 앞뒤양옆 폭을 거의 감으로 체득하시고...
그 다음은 침착. 마이페이스 유지 정도...
발목 문제는 답이 없어보이는데...
양발운전을 하셔야 할까요?
17/08/06 23:42
수정 아이콘
그냥 편하게 생각하세요
사고 2건 내긴 했지만 결국 금전적으로 손해본게 끝입니다
최신폰 사자마자 잃어버리면 금전적으로 100만원 가까이 날아간거지만 세상 살아가는데 지장 없잖아요
극~뽁 하시길
이블린
17/08/06 23:53
수정 아이콘
잘됫네요
항상 그기분으로 운전하시면 자연스럽게 안전운전 될겁니다
연수 1달하고 나서 들떠있을때보다 지금이 훨씬 나아요
좋은게 좋은거라고
한창 운전경력도없는데 자신감있을때 사람안친게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생각하세요
발목은 안좋으실때 운전해서 그런거지 자세가 말도안되게 부담스러운거 아닌이상 걱정 크게안하셔도 되구요
엑셀 브레이크 왓다갓다하는걸로 멀쩡한 발목이다치면 택시기사님들 다 깁스하고 다녀요
애초에 뒷꿈치 붙이고 앞꿈치만 까딱까닥 하면서 운전하는거 아닌이상 발목에 무리가 갈일도 없을거 같은데..
혹시 그렇게 운전하고 계시다면 위험하니 바꾸시구요 양발운전 축운전은 고치시는게 좋아요
17/08/07 01:42
수정 아이콘
저는 발꿈치가 브레이크 밑에 있습니다. 발을 일직선으로 하면 브레이크를 밟게되고 발끝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엑셀을 밟구요 그러니깐 엑셀 밟을땐 8자걸음 형태가 되는..
브레이크랑 엑셀을 번갈아 밟을때마다 발꿈치를 들었다놨다 하면 너무 피곤하지 않나요?
이블린
17/08/07 02:34
수정 아이콘
본인이 가장 편하면 되긴하지만 말씀하신게 축운전인데
양발운전(왼발 브레이크 오른발 엑셀)처럼 급작스러운 사고시 대처하기가 힘들다고 합니다
물론 이미 익숙해지거나 오래 운전을 해온분이면 몰라도
글쓴이분같은 경우엔 이왕이면 안전하게 하는게 좋을거 같아서요
발꿈치 들엇다 놧다보단 운전자체가 긴장해야하고 집중해야되서 피곤하죠..
칠리콩까르네
17/08/06 23:56
수정 아이콘
운전에 재미를 붙이시는게 중요합니다.
Alcohol bear
17/08/07 00:10
수정 아이콘
딴건 모르겠고 앞차랑 차간격 많이 띄우시고 신호 정차 하실때 앞차 다 와서 브레이크 밟는 것이 아닌 멀리서부터 브레이크 나눠서 천천히 정차 하는 습관만 들이시면 됩니다
예리美
17/08/07 00:28
수정 아이콘
음, 운전을 하실때 방어운전을 기본으로 운전하시는 좋은 습관을 들이셔야 합니다.
지금같이 살짝 두려운 마음을 가지고 긴장하면서 운전하시는 습관을 들이시면 됩니다.
17/08/07 02:20
수정 아이콘
(1)사고를 낸 만큼 오히려 안전운전 더 잘할 수 있습니다.
(2)조금은 억지스럽더라도 운전을 해야 할 이유를 만드세요. 누군가를 만나러 갈 약속을 잡는다, 어디론가 장소를 정해서 가본다. 운전하는 그 자체를 궁극적인 목표로 두지 마시구요.
17/08/07 02:50
수정 아이콘
주차 연습추천요
예쁜여친있는남자
17/08/07 05:36
수정 아이콘
저도 운전경력은 짧지만 오히려 운전 조심히 할 습관이 생기신 것 같습니다. 두려움을 극복하는건 아예 한강에 한번 드라이빙을 나가시는게 좋을수도..
도토루
17/08/07 08:27
수정 아이콘
앞차와 부딪치는 것은 옆사람과 대화를 하되 시선은 항상 앞을 향하고 있어야 합니다. 아니면 최소 옆으로 돌리는 몇초 동안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안전한 상황&거리가 확보된 후 돌려야 겠지요.
저는 앞차와의 거리를 생각보다 많이 두는 편인데(앞차의 반응에 물론 반응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끼어들기도 어느정도 막을 수 있고) 그렇게 하면 그만큼 운전할 때 피로가 올라가서 하지 않습니다. 애초에 습관을 그리 들이지 않은 것 같아요.
주차는 후방카메라에 너무 의존하지 마시고 들어가는 안쪽의 사이드 미러를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본적으로 PAS 경고음이 들리기 때문에 너무 급진적으로 들어가지 않으면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보면 조심성은 있지만 전혀 조심히 운전하지 않네요. 안전운전하시길 바랍니다!!
솔지은
17/08/07 10:00
수정 아이콘
기둥에 박으신 건 빨리 주차해야겠다는 조바심때문에 사고 나신 것 같고..
이야기 하다가 사고 나신건 그냥 본인 주의 부족으로 사고 나신 것 같은데.. 그냥 조심성이 없으신 것 같아요
17/08/07 10:07
수정 아이콘
초보+부주의+자신감 3위일체였네요. 최악의 드라이버.
일단 허황된 자신감은 제거에 성공하신거 같은데
안전운전 하려면 하나 더 제거하셔야 될것 같네요. 그러면서 키로수 쌓으시면 안전운전 가능하실듯.
피아노
17/08/07 11:51
수정 아이콘
면허 딴지 13년 됐는데 기둥 같은 정지해 있는 물체를 박은 적은 한번도 없고, 추돌을 한 적도 한번도 없네요.
내가 잘해도 사고난다 이런 의미없는 두려움 보다 나라도 안전운전, 방어운전 해야겠다는 마인드로 더 조심성있게 하셔야할듯 싶네요.
각성제
17/08/08 00:15
수정 아이콘
조심성이 많으신데 급하게 주차를 하다가 기둥을 박고 이야기를 하면서 가다가 추돌사고가 나는군요? 후자는 글쓴분이 100프로 잘못한 사항인데 상대방이 진상이라는 것은 아무 상관이 없죠. 운전이라는게 무서운게 아무리 조심한다고해도 사고날 확률이 0프로가 아니라는 점 입니다. 게다가 축운전까지...운전이라는 걸 좀 더 진지하게 생각해보셨음 하는 바 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6895 [질문] 노트북 결정 장애 좀 도와주세요. 그램 대 올웨이즈 입니다. [17] 이청준2491 17/08/08 2491
106894 [질문] 사용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한 것 같습니다 [8] memo3015 17/08/08 3015
106893 [질문] 컴잘알 님들 도와주세여.. 장미베개4580 17/08/08 4580
106892 [질문] 내년에 집을 구입할까 하는데, 거치기간 있는 대출 상품이 있을까요? [4] 이쥴레이2318 17/08/08 2318
106891 [질문] 무릎에 좋은 운동 추천부탁드립니다. [6] aSlLeR2183 17/08/08 2183
106890 [질문] 일주일전 꾼 꿈이 지금도 저를 너무 괴롭힙니다. [3] 삭제됨2957 17/08/08 2957
106889 [질문] 저희집 강아지 질문드려요 [3] 잠이오냐지금1661 17/08/08 1661
106888 [질문] 버피만 해도 체력이 올라갈까요? [5] 카별3611 17/08/08 3611
106887 [질문] 컴퓨터를 사서 집에 컴터가 2대가 됬는데 인터넷은 어떻게 하나요? [6] 레너블2380 17/08/08 2380
106886 [질문] 비행기티켓 가격 스페인 왕복 130만원 수준이면, 적절한가용? [8] LG.33.박용택2984 17/08/08 2984
106885 [질문] 요즘 개콘 너무 노잼아닌가요? [17] 막나가자4925 17/08/08 4925
106884 [질문] [if]김택용 선수에 대한 질문 [11] cs2631 17/08/08 2631
106883 [질문] 셀프주유소에서 IC카드.. [2] Outstanding1569 17/08/08 1569
106882 [질문] 스타1 apm 얼마 정도 나오시나요?? [35] 계란말이5443 17/08/08 5443
106880 [질문] 이번 부동산 정책 지방 1주택자는 큰 영향없겠죠? [2] YAN2156 17/08/08 2156
106879 [질문] 와이파이 접속 방법 질문입니다. [1] 1llionaire994 17/08/08 994
106878 [질문]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관련 질문드립니다. [5] 하드한인생3180 17/08/08 3180
106877 [질문] 혹시 카카오뱅크 대출이나 마통 막혔나요? [12] 이혜리4639 17/08/08 4639
106876 [질문] 롤챔스에서 전용준 캐스터를 어떻게생각하시나요? [46] 하연수5076 17/08/08 5076
106875 [질문] 하드디스크 배드섹터 관련 질문 [2] 후치네드발1284 17/08/08 1284
106874 [질문] 전쟁이 나서 아파트가 파괴되면 아파트의 소유권자는 어떻게 되나요? [12] 고양이맛다시다3472 17/08/08 3472
106873 [질문] 패스 오브 엑자일 어떤가요? [14] 안개곰3977 17/08/08 3977
106872 [질문] 수학 타원 방정식 [2] 와우하는노인1812 17/08/08 18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