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15 08:18
제가 예전에 주유소에서 일했을 때 들은 이야기가 맞다면...
별 상관 없습니다. 고급휘발유 차량은 웬만하면 고급휘발유를 넣기를 권장하지만 급하면 일반휘발유 넣어도 된다고 합니다. 하하하하하하
17/07/15 09:25
정확한 옥탄가가 기억안나지만 각각의 차마다 적정 옥탄가가 있는데 그게 일반유에 수치가 들어간다면 고급유와 일반유 체감차이가 거의없습니다
17/07/15 09:30
여러가지 논란이 항상 이어지는 주제입니다. 특히 자동차 관련 포럼이나 커뮤니티에서도 항상 말이 많은 주제입니다.
말이 많을수 밖에 없는게 제조사 메뉴얼과 각자 개인경험(예= 나는 일반유 넣어도 아무 이상 없더라), 자동차 제조사별, 엔진 종류 등등 여러가지 변수가 많아서 논란이 끊이지 않습니다. 차 하나 사서 오래타실 예정이면 메뉴얼대로 고급유 넣는게 맞습니다. 특히 스포츠성능을 강조한 퍼포먼스카는 고급유가 정답입니다. 하지만 이 차로 5년 이상 탈 생각 없는 분들은 생각이 좀 다른데요. 제 주위에 E클 타면서 일반유 넣은 사람도 있는데 이런 분들은 어차피 몇년 타다가 결국 바꿀건데 굳이 고급유 넣고 애지중지 탈 필요가 있어? 이런 생각이신분들 입니다. 트랙이나 와이딩도 안하고 과격한 엑셀링도 전혀 안하는 사람이니까요. 저 같은 경우는 E클이나 5시리즈 같은 독일제 편한 세단 종류는 일반유넣다 고급유 넣다가 그랬습니다. 메인터넌스 비용때문에 독일차는 5년 이상 타는건 아니라고 생각하는 편이어서요. 10년 탈 생각이었다면 아마 고급유만 넣었을겁니다. 하지만 더 저가 모델이었던 폭스바겐의 퍼포먼스카였던 GTI 타던 시절에는 고급유만 넣었습니다. 일반유 넣으면 바로 표가 났었거든요. 엔진 떨림이 심해지면서 제 성능이 안나옵니다. 이건 BMW 의 M 모델이나 아우디의 RS 종류면 설명할 필요도 없구요.
17/07/15 11:23
고급유는 옥탄가가 높은 휘발유를 말합니다. (고급 디젤유도 있음)
가솔린 엔진은 점화플러그를 사용해 연소시키는데 고급유와 일반유는 옥탄가가 다르기 때문에 점화 시기가 달라야 합니다. 그래서 고급유 권장 엔진에 일반유를 넣으면 노킹이 일어나고 ECU가 이를 감지해 점화시기를 조절합니다. 근데 이러면 스펙상의 출력을 내지 못 하게 되는거죠. 결론은 일반유를 넣으면 ECU가 조절해서 제 성능을 못 낸다는 겁니다.
17/07/15 14:03
댓글 달아주신 분들께 모두 감사드리며,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엔진이 제 성능을 발휘 못하거나 엔진에 피해가 갈 "수도" 있다는 정도로 정리 해야겠군요.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