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05 11:31
블럭배팅을 하신다면 과거 통계가 있을텐데
3% 추매에 대한 스스로 만드신 통계가 있으신지요?? 올 상반기에는 일관적인 매매방법만 있었다면 손실을 보기 힘든구조였고 지금의 배팅 방식으로 작년과 재작년에 어떤 통계가 나왔는지를 먼저 살펴보시는게 우선인것 같습니다
17/07/05 11:40
음 3~4일내로 매매를 하다보니 가격이동 평균이 3프로내외 더군요. 그래서 3프로를 이탈할경우 다시 올라오는데 3~4이상 소요되기때문에 종목 교체를 합니다.
17/07/05 12:04
종목선정에 어느 필터링이 있으신지 모르겠네요
손절군들의 공통점을 먼저 찾아보시는게 우선이겠네요. 바닥대비 어느정도 올라온 종목들이 있다면 변동폭 자체가 커져서 평균을 위협하는 구간이 많을 것 같습니다.
17/07/05 11:58
전 가진 돈의 1/7 정도로 매수를 합니다. 보유종목은 4~5개이고 결국 가진 돈의 1/3정도는 현금 보유합니다.
종목선정은 가치보다 상당히 내려왔다고 판단되는 것이나 최근 악재가 터졌다가 바닥이 확인되었다고 생각되는 것으로 합니다. 아무리 하락했어도 가치가 없거나 위험하다고 생각되는 종목은 투자하지 않습니다. 5%빠지면 1/20을 물타기 합니다. 더 하락하여 -7%가 되면 1/20을 더 물타기 합니다. 더 하락하여 -10%가 되면 1/20을 더 물타기합니다. 3번 물타기 했으면 전체금액대비 1/3정도가 되기 때문에 추가 물타기는 없고 그냥 버팁니다. 수익이 나면 10%이상에서 절반 매도, 15~20% 구간에서 잔량 매도합니다. 특별히 호재가 있는 종목은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매매합니다. 그래서 보유기간은 짧아야 2~3주, 길면 1년까지도 갑니다. -_-;;; 지금 호되게 물린 종목은 1년 3개월째 들고 있습니다. 좋은 것은 끝까지 버티기때문에 회사가 망하지 않는 한 손해는 보지 않습니다만.. 물릴 경우 답이 없습니다. 물론 기막힌 호재를 들었고 스스로 판단하기에 수익이 확실히 날 것 같으면 어느정도 손실을 보고 있다고 해도 팔고 넘어가기도 합니다.
17/07/05 17:48
하시는방법은 장이 좋을때만 통하는 방법이죠...
조정장이나 하락장에서는 어떻게 하실건지에 대한 고민이 없네요 저야 중장기투자라 그 정도 변동성은 무시하거나 오히려 매수타이밍이네요
17/07/05 19:16
개인적으로 매수 매도 방식의 옳고 그름 보다는 왜 그종목을 샀는지 왜 손절을 해야만 했는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이종목 많이 내렸으니 오르겠지하고 매수후 물타기 매수가 아닌 정확한 이유에 따른 매수 그에따른 정확한 매도(손절) 이유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혹 작성자님의 매수및 매도 이유의 문제가 있는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정확히는 종목 선정의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단순하게 기계적인 매수 및 매도를 좋아하신다면 개인적으로 1년단위로 끊어 (10년간) 통계를 내보는걸 권해드립니다. 10년이 너무 많다하면 단순하게 코스피, 코스닥의 하락장에 따른 통계, 상승장에 따른 통계를 내서 평균이 수익이 나오는 매매방식을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마지막으로 주식을 매매하시면서 손절이 생기는날에는 매매를 쉬면서 해보는걸 권해드립니다. 혹 자신도 모르게 손해를 복구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뇌동매매를 하는 경우가 생김을 방지 + 더 정확한 판단을 하시길 바라기 때문입니다. 또한 손절 및 이익실현을 하신뒤에는 해당 종목에 따른 분석을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꼭 성공 투자하셔서 수익 많이 내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