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6/22 12:52:55
Name tjsrnjsdlf
Subject [질문] 헬스 지식좀 있는분들 데드리프트 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저랑 친구랑 선배 셋이서 헬스 3개월 끊어서 다니는 중인데 셋다 솔직히 허접입니다.
그런데 선배 한분은 고시공부를 굉장히 오래한 분이라 허접들 사이에서도 특출나게
약골이신데, 이분이 데드리프트 포즈 자체에서 고통을 느끼시더라구요.

저나 친구도 허접이라 거의 빈봉에 약간만 무게 달아서 하는 편인데 선배분은 봉이 문제가 아니고 그 봉을
들고 내리는 과정에서 등을 편채로 구부렸다 숙이는 과정에서 등~허리 부근에서 통증을 느낍니다.

이러니까 우리(저+친구)는 헬스 트레이너가 아니라서 이걸 계속 하시라고 해야할지 말아야할지 모르겠네요.
전 그 동작을 취하는걸로 통증이 그리 오진 않았거든요.

보통 이렇게 데드리프트 포즈(등을 편채로 봉을 쥐는 자세) 자체에서 통증을 느끼면 뭘 해야되나요?
그렇다고 이분이 무슨 척추에 이상이 있진 않습니다. 아마 등근육이 과하게 없는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간_개놈
17/06/22 12:57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ZLI-YPO3OKM

이렇게 유연성 부터 시작하시면 될듯 합니다
tjsrnjsdlf
17/06/22 13:01
수정 아이콘
허리가 구부러지는 지점에선 더 내리면 안된다는걸 저도 오늘 처음알았네요. 피티 강사는 그런 설명 안해주고 무조건 거의 발목까지 내리게 했는데 ㅡㅡ,,, 역시 동네 헬스 강사란 믿을게 못되는군요.
인간_개놈
17/06/22 13:08
수정 아이콘
워낙 동네 헬스 강사의 스펙트럼이 넓죠
해부학 까지 배워서 열정적으로 하시는 분 부터 그냥 할거 없어서 동네 아는 형 가게에서 돈벌이 하는 사람까지

다치지 말고 항상 건강하게 운동 하시기를 바랍니다. 화이팅~
tjsrnjsdlf
17/06/22 13:10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저도 뭣도모르고 선배보고 무작정 더 내리라고 했네요. 진짜 헬스는 잘 알아보면서 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인간_개놈
17/06/22 13:14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user/changwoo8105
최창우 선생님

https://www.youtube.com/channel/UCRuP-M3sAeFeISCn3xAonaw
ABS 온라인핏

https://www.youtube.com/user/dropzone96
김정민 PT스튜디오

제가 알고 있는 유툽에 괜찮은 사이트들 링크입니다. (물론 이 외에도 많지만, 초심자들을 위한 개념 잡기에 좋은 채널들이라고 생각해서 추천드려요)
동네형
17/06/22 16:19
수정 아이콘
abs는 괜찮은데 시범보인 선생님들도 컨벤데드는 안하는 분들입니다. 보디빌더라서.

다른 두영상은 찾지를 못하겠네요.

https://youtu.be/b6OCV91KvAM
이영상이 제일 낫습니다.

지도자는 태릉있는분이고 시범보이는분은 역도 선출일겁니다
태엽감는새
17/06/22 15:16
수정 아이콘
저도 운알못인데 최창우 트레이너 영상 강추합니다.
공승연
17/06/22 14:05
수정 아이콘
운동이란게 개인적으로 구동가능 범위와 자극점이 다르기 때문에 자세가 미묘하게 다릅니다.
프로들 사이에서 조차 동작이 조금씩 다르고요. 저 같은 경우도 여러 영상을 찾아보고 제게 맞는 방법을 몇년째 찾고 있습니다.

데드리프트는 종류가 3가지입니다. 컨벤 시티푸 루마니안 이렇게 3가지가 있는데 보통 사람들은 루마니안을 많이 하죠.
그런데 저를 비롯한 데드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는 루마니안과 컨벤을 구분하지 못하고 두가지를 동시(?)에 하는겁니다.
그렇게 되면 질문자께서 말씀하시는 거 처럼 허리나 엉덩이의 위치에 비해 봉을 너무 내려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데드리프트도 봉을 발목까지 내리기도 합니다. 시티푸나 컨벤은 그런식으로 하는데 정확히는 시티푸는 엉덩이는 내려가지 않고 자기 몸이 허락하는 최대한으로 봉을 내리고 컨벤 같은 경우는 엉덩이도 내려와서 봉을 놓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하지만 보통 헬스장은 그런식으로 하기엔 주위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봉의 위치를 최대한 내려와서 유지를 하고 다시 올라오는 식으로 운동을 하죠.
아마 트레이너가 컨벤을 가르치려하다 보니 발목까지 내려오라고 한게 아닌가 싶네요.

데드 같은 경우는 유투브에 엄청 많은 영상이 있는데 저는 강경원님의 강의를 촬영한 영상과 몬스터짐에 있는 트레이닝 영상도 꼭 보라고 추천드리고 싶네요. 그리고 개인적 견해는 자기 몸이 아프지 않는 구동범위안에서 천천히 구동범위를 늘려가며 무게는 최대한 천천히 올리시는걸 추천하고 싶습니다. 운동은 하는게 가장 중요하지만 공부가 동반되지 않으면 몸을 망친다고 생각됩니다. 많이 공부하시고 득근하세요.
17/06/22 12:57
수정 아이콘
무조건 유연성이 제일 먼저에요
구치리
17/06/22 13:00
수정 아이콘
진단과 처방은 전문가에게 맡겨야 겠지요...

제 돌팔이 지식으로 설명드리자면
허리근육은 고정만 하고 다른 근육쪽에서 버텨줘야 하는데 버티지 못하여
허리에 다이렉트로 자극이 가는걸로 사료됩니다. 허리근육으로 보상이 간다라고 하더라고요
데드리프트시에 허리에 자극이 가는걸 줄이려면 그 위 아래 근육들을 강화 해야 할것 같습니다

제 얕은 지식으로는 등허리 위는 하승모근. 이랑.. 등허리 아래는 엉덩이랑 허벅지 아래쪽 근육입니다.
이 근육에 대한 단련법은 제가 말로 어찌 설명드리기는 힘들것 같고
트레이너 붙잡고 진단받아서 단련 방법 문의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전문가는 아니니까요
17/06/22 13:11
수정 아이콘
헬스에도 준비가 필요합니다. 데드리프트, 스콰트, 각종 프레스는 미적분같은 심화과정인데 이걸 하기에 앞서 사칙연산부터 알아야겠죠?

스트레칭, 맨몸운동, 바벨컬, 트레드밀 달리기같은 운동이 그거에요.

저는 최소 정자세로 푸쉬업 50개 이상은 해야 헬스를 할 준비는 되었다고 봅니다.
tjsrnjsdlf
17/06/22 13:13
수정 아이콘
저도 거의 빈봉으로밖에 못하는데 아무래도 다짜고짜 봉운동 하기 전에 맨몸운동부터 필요하겠네요. 감사합니다.
17/06/22 13:24
수정 아이콘
일단 디스크 등의 질병 수준의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척추중립을 유지한 채로 힙힌지 동작을 하는 패턴 자체에 문제가 있으신 분 같은데, 가동성/안정성 운동과 함께 맨몸으로 힙힌지 동작 연습부터 해야겠죠. 스쿼트와 달리 데드리프트는 크게 유연성을 요구하는 동작은 아니니 가동범위 자체가 안나올것 같진 않네요.
그런데 공부 오래하신 분들 중에 어릴 때 운동 안 좋아하셨던 분들은 비상식적이다 싶을 정도로 몸이 약한 분들도 있어서, 일단은 전문 트레이너나 의사와 상담을 해야하지 않나 싶네요. 제가 한다리 건너 아는 분 중에는 러닝머신 뛰다 발목에 금간 분도 있어요.
목허리곧추세우기
17/06/22 13:28
수정 아이콘
헬알못인데, 유연성 문제가 아닐까 했는데 맞는 듯 하군요. 뿌-듯
TheLasid
17/06/22 13:33
수정 아이콘
데드리프트나 스쿼트 같은 운동이 좋은 운동인 건, 신체의 어떤 부위에 문제가 있을 경우 그것을 드러내줘서 그렇습니다.
가령, 스쿼트를 해서 무릎이 아프다 보다(X) 보다는 원래 무릎이 안 좋았다(O)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데드리프트도 마찬가지에요. 구체적으로 허리의 어떤 부분이, 어떤 식으로 아프신지는 모르겠는데 당연히 문제가 있으실 겁니다. 운동 안하면서 오래 앉아있으셨을 테니 기본적으로 골반이나 척추가 틀어져 있으실 거고요. 데드리프트 자세를 취하시는 것만으로도 아프다니 아마도 디스크가 있지 않으실까 싶습니다.

일단 병원가서 엑스레이 한번 찍어보시고요. 허리 및 등 운동은 세분 모두 플랭크로 시작하시는 편이 좋겠습니다. 부상 위험이 현저히 적어요. 그리고 비롯한 데드리프트나 스쿼트는 정자세로 했을 때 허리 재활에 도움이 되는 운동입니다. 다만, 허리에 문제가 없는 사람들도 바로 시작하긴 어려운 운동이고요. 플랭크가 비슷한 효과를 내니까 일단 플랭크로 하시고, 허리에 힘이 좀 붙으시면 데드에 도전해보시길 바랍니다.
동네형
17/06/22 16:12
수정 아이콘
영상 없아 드릴 수 있는조언은 단 한개도 없습니다. 내가 말했다가 무슨일 벌어질지 모르니;;

다만, 포즈 취하는거 만으로도 허리에 크게 무리가 있다면
조만간에 디스크 터지거나 진짜 말도 안되는 자세로 한겁니다.;;;
tjsrnjsdlf
17/06/22 16:16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에 동네형님하고 똑같이 생각해서 허리의 문제로 봤는데, 전문가들 영상에서(저 위 링크) 본 바로는 허리가 아니라 햄스트링 문제라고 합니다. 빈 봉으로 하는 저도 가만보니 햄스트링쪽에서 오전부터 강한 근육통이 느껴지는것이 전문가들 진단이 맞는듯 합니다. 분명 허리와 등에 압박이 갔는데, 실제 문제는 허리와 등이 아니라 햄스트링이 약해서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는 데에서 오는거라네요. 그 영상들을 보고 동작을 다시 잡아보니 맞는 진단인것 같습니다. 헬스의 세계도 오묘하네요.
동네형
17/06/22 16:21
수정 아이콘
일단 데드를 컨벤인지 루마인지 알수 없기때문에 제가 말하기 어렵고. 햄스트링에 문제가 있다면 데드 말고 다른동작들에서도 문제가 발생할거라서 어디다! 라고 말할 순 없습니다. 햄스트링 문제라면 스쿼트도 안될껀데요. 둔근이나 내전근 요방형근과 장요근 까지 봐야합니다.

그래서 영상 없이는 뭐라 말을 할수가 없죠
동네형
17/06/22 16:22
수정 아이콘
서울이시면 세분이 손잡고 일요일날 시간내보세용. 한번 봐드릴짬은 될거 같네요
메레레
17/06/22 17:17
수정 아이콘
현직 척추신경외과 의사입니다. 디스크 환자 대부분 자기는 디스크아니라고 말하지만 정밀검사하면 디스크 나옵니다. 그정도 운동에서 통증이 발생하면 mri찍어보세요. 참고로 x-ray 단독 검사는 아무런 의미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4609 [질문] plm-100이라는 마이크를 샀는데 소리가 너무 작아요 longtimenosee2497 17/06/22 2497
104608 [질문] 정품이 있는데 복돌을 하는것도 나쁜일일까요? [11] 밤톨이^^4401 17/06/22 4401
104607 [질문] [코인] 중국쪽 차트 관련 [13] 3049 17/06/22 3049
104606 [질문] 헬스 지식좀 있는분들 데드리프트 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20] tjsrnjsdlf6068 17/06/22 6068
104605 [질문] [법률 용어?] law's chief author를 한국어로 뭐라고 하나요? [6] TheLasid2433 17/06/22 2433
104604 [질문] 한강공원 같은 공원에서 타프 칠 수 있나요? 추가로 타프 추천도 부탁~ [5] 하루사리5439 17/06/22 5439
104603 [질문] 냉풍기 제품 추천부탁드립니다 [11] 마지막빛3835 17/06/22 3835
104602 [질문] 이 컴퓨터 케이스 어떤가요?+케이스 추천해주세요 [3] 2035 17/06/22 2035
104601 [질문] [핸드폰] 스마트폰 (아이폰, 갤럭시 모두) 교체에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5] The xian2065 17/06/22 2065
104600 [질문] [낚시] 선상?배낚시 질문입니다. [4] Vincent van Gogh2505 17/06/22 2505
104599 [질문] 방문운전연수 어떤가요? [5] 오렌지망고7745 17/06/22 7745
104598 [질문] 대기업 재직자 분들께 복지 질문드립니다. [18] 삭제됨5631 17/06/22 5631
104597 [질문] [음식] 게장/게 반찬은 어떻게+무슨 맛으로 먹는건가요?? [7] Broccoli2722 17/06/22 2722
104596 [질문] 베틀넷이나 스팀에서 산 게임 맥 윈도우 호환되나요? [4] 즐겁게삽시다4792 17/06/22 4792
104595 [질문] 갤럭시s5랑 겔노트3중 뭐가 나을까요? [5] 시지프스2092 17/06/22 2092
104594 [질문] 여자들 화장품과 가방들 가격 순위(?) 알고싶습니다. [8] Supremier8643 17/06/22 8643
104593 [질문] 술에 포함된 알코올은 무해한가요? [10] 퐌느2822 17/06/22 2822
104592 [질문] 8,90년대 음악퀴즈에 쓰면 좋을 만한 노래? [8] 다크나이트2466 17/06/22 2466
104591 [질문] 컴퓨터 수리 맡길 때 주의할점이 있을까요? [8] Hisoka3960 17/06/22 3960
104590 [질문] 뉴 닌텐도 2DS XL 살만할까요? [15] 회전목마6626 17/06/22 6626
104589 [질문] 포토샵?웹디자이너 초보가 쓸려면 PC견적을 어떻게 맞추어야 되나요 [10] 미뉴잇4104 17/06/22 4104
104588 [질문] 히오스는 고주사율 or 싱크 모니터 무쓸모인가요? [3] 성기사2915 17/06/22 2915
104586 [질문] 영화 트랜스포머 보신분들 어떠셨나요? [8] 아침바람2281 17/06/21 22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