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30 14:44:30
Name 칼퇴추구자
Subject [질문] 주식 단타는 안좋은건가요?
작년 말부터 공부겸 소액으로 주식을 하고 있습니다.
20%정도 오른 주식 하나를 장기 보유할 생각이고 나머지는 단타로 삿다가 조금 오르면 팔고 있습니다.

단타는 그날 하락폭이 큰 주식중에 네임벨류가 있는 주식을 골라서 단타로 먹고 빠지는 방식으로 하고 있는데 크게 돈 욕심을 많이 내지 않으면
안정적으로 돈을 꾸준히 먹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주식에는 격언처럼 '장투해라'라는 말이 있지않습니까?

근데 장투는 종목 보는 눈에 여러가지 미래상황 등 너무 어려워서.. 단타 이렇게 하면 왜 안좋은건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llionaire
17/05/30 14:47
수정 아이콘
단타도 기계적으로 할 수만 있다면 돈을 벌 수는 있지만, 보통은 거래비용(수수료+세금) 을 감당하면서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기도 하고... 짧게 매매하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좋은 매매를 하는 분들이 아니기 때문이죠. 어떤 매매든 거래비용을 이길 수 있고, 기계적으로 원칙대로 할 수만 있으며 그것이 돈을 벌 수 있는 로직이라면 무조건 나쁜 매매방법은 없다고 봅니다.
목화씨내놔
17/05/30 14:47
수정 아이콘
아니요 안 좋은 거 없습니다

돈 벌면 좋은 거고 못 벌면 나쁜 겁니다

단타가 승률이 높냐 중장기가 승률이 높냐라고 하면

케바케입니다
17/05/30 14:48
수정 아이콘
멘탈이요.
예쁜여친있는남자
17/05/30 14:48
수정 아이콘
보통 따로 전념해야할 생업이 있기에 개인투자자에게 안 좋다는 겁니다. 상상 이상으로 시간과 정신적 에너지를 잡아먹으니까요. 또 단타일수록 손절매가 중요한데 개인투자자들은 막상 주가가 떨어지면 물타기에 집착하는 경향도 있구요.
게다가 코스피는 예외지만 보통의 유가증권 시장과 상품 시장은 시계열을 따라 우상향이 일반적인 추세이기 때문에 시장을 이길 수 없는 개인투자자들은 오히려 장투가 더 예측가능성이 높습니다
RedDragon
17/05/30 14:50
수정 아이콘
10개 단타하다가 하나만 쭉 떨어져도 물리게 되는게 최대 단점인 것 같습니다.
원칙 지켜서 몇% 손해시 바로 칼손절 하면 좋은데 사람 심리라는게.. "이제 바닥이겠지? 이젠 오를거야" 하는 마인드로 버티다가 왕창 손해보게 되서... ㅠㅠ
순뎅순뎅
17/05/30 14:53
수정 아이콘
단타라는것은 결국 사고 파는것의 주기가 짧다는 것인데 그렇게 했을 때 안좋은 한가지가 수수료 입니다.

주식 거래 수수료야 뭐 사용하시는 증권사 마다 다르지만

주식을 매도 했을때 [세금]이 쎕니다. 무려 0.3%입니다. 매도 한번할때마다 0.3% 손해 보신다고 생각하면 빠르겠네요.

만약 주식이 순전히 확률 게임이라고 가정하면 장투보다 단타가 먹기 어렵습니다.
17/05/30 18:53
수정 아이콘
수익이 - 일때도 세금 내나요?
순뎅순뎅
17/05/30 19:14
수정 아이콘
17/05/30 14:57
수정 아이콘
직업 따로 있는 사람이 증권사 수수료 내가면서 단타로 +-0 을 계속 유지한다면 꽤 실력자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칼퇴추구자
17/05/30 15:01
수정 아이콘
그동안 한 10개 종목을 단타로 먹고 빠지면서 한번도 손해를 안봤는 운이 좋았군요. 조금 더 조심조심해야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치키타
17/05/30 15:03
수정 아이콘
돈만 벌수 있다면 나쁜 주식거래 방법은 없죠. 하지만 멘탈에 안 좋고, 전업이 아니라면 본업에 영향을 줄수도 있으니까요.
로하스
17/05/30 15:03
수정 아이콘
위에서 말씀하셨다시피 주식 단타는 매도할때마다 0.3% 세금을 내야해서 수익내기가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꼭 단타를 하실거라면 세금이 없는 ETF(ex KODEX 200 등등)를 매매하시길 추천합니다.
김연우
17/05/30 15:26
수정 아이콘
제가 개인투자자가 어떤지, 또는 주식이 어떤지 그런거 전혀 모르긴 하는데, 단타로 돈을 벌 수 있다는게 좀 신기해요.


요새 말많은 AI까진 아니라도, 이미 꽤 오래전부터 컴퓨터가 알아서 통계와 공식에 따라서 매매를 하고 있었거든요.

전문가들이 만들고, 오랜 시간동안 개량해온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동시에 여러가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면서
증권 거래소가 따로 확보해준 망과 함께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동시에 수많은 주식을 보면서
규모를 바탕으로 낮게 측정된 수수료만 내면서

돌아가는 녀석들을, 개인이 적은 돈, 적은 정보, 느린 속도로 이겨서 시세차익을 먹을 수 있다는게 이해가 안가서요.


장기투자라면 시세차익이 아니라 기업이 낸 수익을 바탕으로 제로섬 아닌 주식 시장에서 먹는거니 이득 볼 수 있고,
또 자기가 잘 아는 분야, 그래서 소수만 아는 지식으로 주식을 산다면, 그것은 주식 전문가들도 갖지 못한 무기를 갖는거니 이득을 볼 수 있을텐데,
단타로 이득 본다는건... 요행으로 잠깐 이득보거나 대세 상승 장 바탕으로 이득 보고 그걸로 '할 수 있겠다'고 착각하거나, 또는 엄청난 재능이 있는 것이거나, 그런거 아닐까 싶어요.
F.Nietzsche
17/05/30 15:30
수정 아이콘
단타의 문제점
주식시장에서 한 종목의 단기적 예측은 장기적 예측에 비해 훨씬 어렵습니다
개인이 주식투자에 들여야 하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잦은 거래로 인해 수수료 부담이 증가합니다
돈을 적게 투자하면 한 5% 이내 먹고 빠진다 해도 돈이 얼마 안됩니다
반대로 엄청난 돈을 5% 먹겠다고 투자한다면 그건 투기가 되겠죠
자유의영혼
17/05/30 15:31
수정 아이콘
[안정적으로 돈을 꾸준히 먹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이와 같이 비이성적인 판단을 바탕으로 매매에 뛰어들기 때문에 대부분 실패하지요.
참고로 작년말부터는 장이 좋았습니다. 특히 대형주 위주로요. 그러니까 하락한 종목 중에서 이름있는 주식 매수하는 전략이 잘 통할 수 밖에 없었겠죠.
대니얼
17/05/30 15:53
수정 아이콘
상승장에서는 단타 잘 됩니다. 지금이 그 시기죠?
일명 개잡주만 아니면, 수익내기 어려운 장은 아닙니다.

하지만... 하락장에서 단타 잘못치면 계속 손절하거나 물립니다.
상승장 하락장 전부 경험하면서 단타로 전부 수익낼 수 있다면, 단타만 하셔도 됩니다.
1~3년 정도 해보면 답나옵니다.
그만큼 어려운 영역이에요
지구사랑
17/05/30 16:09
수정 아이콘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S전자가 25년 전에 1만원대 가격에서 지금은 200만원대입니다. 25년 동안 무려 100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그럼 10년만 보유한다면 상승할까요? 예, 아마도 상승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을 것입니다.
1년 정도면 어떨까요? 1년 정도면 확실하지 않습니다만, 상승할 가능성이 하락할 가능성보다는 높으리라 봅니다.
1달 정도면 어떨까요? 이 정도면 이제 상승할 확률과 하락할 확률은 크게 차이가 없어집니다.
하루면 어떨까요? 사실상 엄대엄입니다.

자유의 영혼님과 대니얼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작년말부터 대형주 위주로 상승하는 장입니다.
지금 대형주 위주로 단타가 통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바로 그 때문입니다.
주식 투자는 크게 돈 욕심을 내지 않는다고 해서 성공할 수 있는, 그런 단순한 것이 아닙니다.
단타가 반드시 실패하고야 마는 투자 방법은 아니겠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개미들에게는 그다지 권할 방법이 아닙니다.
17/05/30 16:24
수정 아이콘
이해가 똭 되는 설명이네요!
bemanner
17/05/30 16:22
수정 아이콘
하락장에서 단타로 수익낼 수 있으면 하셔도 됩니다.
17/05/30 16:37
수정 아이콘
하루단타로 한달에 백정도씩 꾸준히 수익내는데 꽤 짭잘핲니다. 이익만나면 좋은거죠머.
묘이미나
17/05/30 17:42
수정 아이콘
주식 시장에 좋고 안 좋고 없습니다.
수익 내면 좋은 거에요.
단타로 지속적으로 수익이 가능하면 좋은 겁니다.
덴드로븀
17/05/30 20:03
수정 아이콘
현재 천하제일단타대회가 펼쳐지고 있는 가상화폐판에서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보세요.

성공하면 몇시간에 2배 수익도 우습고
실패하면 몇시간만에 내돈의 절반이 날아갑니다.

자신있다면 공식도박판에 도전하세요!
어린시절로망임창정용
17/05/30 20:51
수정 아이콘
단타 자신 있으시면 소액으로 몇년 해보세요 어차피 말려도 하고싶은 사람들은 다 하게 돼있어요
장의 출렁임과 상관 없이 꾸준히 돈이 벌리는 매매법을 정립했다면 금액을 키워서 하면 되겠구요
참고로 단타로 시장에 입문한 사람들은 꼭 한 번은 깡통을 차더군요..
아스날
17/05/30 21:40
수정 아이콘
매매기준만 확실히 정하면 상관없는듯한데 보통의 경우 단타하시는분들은 투자가 아닌 투기를 하는거죠.
처음에는 조금씩 수익나다가 한번 매도타이밍 못잡으면 망하는거죠.
17/05/30 22:23
수정 아이콘
주식 수수료로 가랑비에 옷젖는? 현상이 있기도하고
집중을 계속 해야되니 멘탈이 쉽게 깨지는것도 있지요
다 잘쓰면 좋고 잘못쓰면 나쁜거지 단타 자체에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17/05/30 22:35
수정 아이콘
돈따면 장땡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3464 [질문] 니로와 스포티지 중에 선택 고민입니다 [10] 꼬비8468 17/05/31 8468
103463 [질문] 강경화에게 제기되고있는 의혹들은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2] ppii2191 17/05/31 2191
103462 [질문] SSD 포맷하면 속도가 많이 느려지나요? [1] beloved4068 17/05/31 4068
103461 [질문] 트위치 코리아 입사와 관련해서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3] Lovely Rachel10231 17/05/31 10231
103460 [질문] 짧고 간결한 영어 사이트 있을까요? Veneta1661 17/05/31 1661
103459 [질문] 복붙이 간편한 블로그 사이트 있을까요? [1] 이슬먹고살죠2134 17/05/31 2134
103458 [질문] 현재 국회 재적의원수가 왜 299명인가요? [9] 골드똥5157 17/05/31 5157
103457 [질문] 아이폰 유저인데 기어 S3를 쓰시는 분이 있나요? [2] Alchemist12523 17/05/31 2523
103456 [질문] [영어] 문장 Listen and repeat를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작된 컨텐츠 있을까요? [2] 김철(32세,무직)2260 17/05/31 2260
103455 [질문] 제 뒷담화를 하고 다니는 직장상사(팀장), 가서 제대로 얘기해보는게 맞겠죠?? [30] 삭제됨6341 17/05/31 6341
103454 [질문] 폰이 완전히 죽었습니다.., 어디 가서 사죠? [16] 비공개3081 17/05/31 3081
103453 [질문] [나눔완료] 지니 스트리밍권 [20] 유나1807 17/05/31 1807
103452 [질문] 향방기본훈련에서 부분대장이 하는 역할이 있나요? [20] FRONTIER SETTER4611 17/05/31 4611
103451 [질문] 동원훈련(6월 7일~9일) 연기 질문입니다. [4] Climber2854 17/05/31 2854
103449 [질문] 오픽/토스 질문입니다. [1] 틈새시장2286 17/05/31 2286
103448 [질문] 트럼프와 영어교육의 상관관계? [4] 삭제됨2240 17/05/31 2240
103447 [질문] 크킹2 과제깨기 좋은 인물이 뭐가 있을까요? [5] 8년째도피중2529 17/05/31 2529
103446 [질문] [LOL] 롤 노말 5인큐 할만한 곳 없나요? ㅠㅠ [1] Beyond2431 17/05/31 2431
103445 [질문] [야구] 오늘이 시즌 마지막 경기라면??? [5] SKYCEN2644 17/05/30 2644
103444 [질문] 남자들끼리 놀러 갈 만한 국내 여름휴가지 추천해주세요 [7] 마션4928 17/05/30 4928
103443 [질문] 50대의 어머니가 좋아하실 미드나 영화? [22] 자몽맛오렌지2821 17/05/30 2821
103441 [질문] 눈썹 문신 업소 추천좀 해주세요 태엽감는새2015 17/05/30 2015
103440 [질문] 결혼후 집안일에대해 궁금한 점 [21] 오빠언니3933 17/05/30 39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