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18 20:49:33
Name 사고회로
Subject [질문] bbk가 당시 노 전대통령의 야당 집권을 막기위한 정치공격인가요?
아버지 친구중에 구의원 하고계신분이 있습니다. 소속은 말하지 않겠으나 저희 아버지랑 친해서 밥을 잘 얻어먹는데 그분이 하시는 말씀이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한나라당 집권을 막기위해 당시 대통령 후보자를 이례적으로 bbk에 엮어 특검조사까지 했다고 하고 이명박 전 대통령의 당선후 노 전 대통령을 향한 강압적인 조사는 예견되있었다고 하는데

정말 위 내용이 이명박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의 정치싸움이었던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푼수현은오하용
17/05/18 20:51
수정 아이콘
노무현 대통령이 알면서 대선에 영향을 주는 것은 옳지 않다며 건드리지 않았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IRENE_ADLER.
17/05/18 20:58
수정 아이콘
애초에 먼저 제기한 쪽이 박근혜 당시 대선경선후보측이었을텐데요....?
IRENE_ADLER.
17/05/18 21:03
수정 아이콘
이 질문글보니 갑자기 그게 생각나네요. 홍준표 왈 자기가 BBK 막아줘서 MB가 대통령되었다고 한 거..
forangel
17/05/18 21:08
수정 아이콘
경선때 박근혜가 bbk 들췄고 ,이명박이 최태민을 들췄죠.

이게 다 노무현때문이다..
라는 전제하에 이것저것 노무현이랑 연관시켜서 사실관계를 왜곡시킨 그런 찌라시가 많고
카톡등으로 유포되고 있고 그걸 곧이 곧대로 믿는 어르신들이 많습니다.

그냥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려요.
어차피 그정도로 세뇌?된 분들은 매일보는 사이가 아니면 설득이 안됩니다.
17/05/18 21:14
수정 아이콘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중립을 지켰죠. 그래서 정동영이 자신이 대통령이 될 수 있었던 걸 노무현이 막았다라고 생각한다고...
바스테트
17/05/18 21:21
수정 아이콘
정동영은 무슨 자신감일까요 그건..크크크
치토스
17/05/18 21:14
수정 아이콘
전혀 근거없는 사실입니다.
사고회로
17/05/18 21:18
수정 아이콘
아 낭설이었군요.. 감사합니다
arq.Gstar
17/05/18 21:20
수정 아이콘
당시 노통이 bbk로 털어도 대통령은 정동영이아니라 503이 되었을텐데요..
독수리의습격
17/05/18 21:33
수정 아이콘
애초에 이명박 비리 중에 민주당계 정당이 밝혀낸거 거의 없어요. 거의 다 503호가 들춰내거나 재임 중 해먹은게 대부분.
정동영의 네거티브가 안 통한 이유도 BBK가 이미 자기 선거운동 할 때 쯤에는 사실 여부와는 별개로 유권자들 입장에서 쉰 떡밥에 가까운 내용이라서죠.
17/05/18 22:07
수정 아이콘
권력이나 제대로 휘둘러보고 당했으면
노무현 지지자들이 이리도 한에 사무치지는 않았을겁니다.
17/05/18 22:10
수정 아이콘
당시에 떠돌던 설은 오히려 반대예요.
노무현 대통령이 퇴임이후를 보장받는 대신 bbk를 묻어줬다는 설이 훨씬 그럴듯하게 떠돌았어요. 노건평, 이상득 형님 밀약설 검색해보세요.
이거 때문에 정동영은 노대통령이 자신이 대통령 못되게 막았다고 믿는 계기가 되기도 했구요.(물론 이 문제만 가지고 그렇게 생각한 건 아니고)
지금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소리지만 이 설이 얼마나 파급력 있었냐면, 일반인도 아닌 정봉주가 당시에는 이 걸 믿었다고 고백하기도 했었습니다.
노건평과 이상득을 연결해준 국회의원이름까지 꽤나 구체적으로 나왔다고 했으니..

그러니까 노대통령이 억지로 MB을 엮었다는 건 당시기준으로도 말도 안되는 소리였고, 형님밀약설 역시 이후 사정을 보면 전혀 근거없는 개소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2850 [질문] 모니터 구입(선택) 질문드립니다. [1] April Sunday1981 17/05/19 1981
102849 [질문] 중고 노트북 판매시 주의할 점이 뭐가 있을까요? [3] FastVulture3288 17/05/19 3288
102848 [질문] 스타벅스 커피 집에서 마시는 방법 질문합니다 [13] Sebastian Vettel3304 17/05/19 3304
102847 [질문] 동유럽 화폐 질문드려요 [5] 뽕뽕이2755 17/05/19 2755
102846 [질문]  기물손괴죄&사기죄 관련하여 질문합니다 [1] 주본좌2785 17/05/19 2785
102845 [질문] 실업급여 질문입니다. [5] 비형시인2432 17/05/19 2432
102844 [질문] 친구에게 어떻게 해야 될까요? [5] 미다스2629 17/05/19 2629
102843 [질문] IT 직업은 원래 이런가요? [27] 삭제됨4160 17/05/19 4160
102842 [질문] 혹시 오늘 점심 구내식당이 윤식당 따라잡기였던 회사 있나요? [5] 삭제됨3749 17/05/19 3749
102841 [질문] 면접에서 이렇가면 어떤 상황일까요? [6] 마제스티3065 17/05/19 3065
102839 [질문] 다이렉트게임즈 철권 7 구매 질문 [2] Love.of.Tears.3434 17/05/19 3434
102838 [질문] 부모님이 보실만한 종이신문 추천 부탁드려요. [12] 로켓3792 17/05/19 3792
102837 [질문] 30대 남자 운동화 브랜드 추천해주세요. [18] 레너블16991 17/05/19 16991
102836 [질문] 요새 시부야케이 들을만한 뮤지션 있나요? [2] 박용택1694 17/05/19 1694
102835 [질문] 영화 달콤한 인생에서 스르륵 내려가는 팬 뭔가요??? [2] 냉면과열무2833 17/05/19 2833
102834 [질문] 청일전쟁 관련 질문입니다! [5] Genius2175 17/05/19 2175
102833 [질문] 신도림 SKT 갤7 기변 할원 얼마 정도 생각하면 될까요? [5] 캐리커쳐2745 17/05/19 2745
102832 [질문] 망가진 노트북의 하드를 살릴 수 있을까요? [8] 먼산바라기2279 17/05/19 2279
102831 [질문] 하드디스크를 추가구매하려는데요 필요한게 뭔가요? [4] Cea1866 17/05/19 1866
102830 [질문] 데이터쉐어링용 유심을 다른 기기에 꽂아도 되나요? [2] 귀여운호랑이1970 17/05/19 1970
102829 [질문] 전세집 빌트인 가전 교체비용을 집주인이 반반 부담하자고 합니다 [12] 앙버터5195 17/05/19 5195
102828 [질문] 에어프라이기 하나 구매하려는데 저가형이랑 고가형 차이많이날까요? [5] 선동가2915 17/05/19 2915
102827 [질문] 신도림에서 기기변경을 하려면 어떤 걸 고려해야할까요? [9] 델핑3732 17/05/19 37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