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15 17:34:52
Name 네파리안
Subject [질문] 코딩교육강사 어떨까요?
지방대 컴공과를 졸업했는대 공무원하겠다고 공시생으로 지냈는대 올해도 합격은 힘들어보이던 찰나에 메일에 코딩교육강사에 대한 내용이 있더군요.

내년부터 의무교육이라 자리가 많다고는 하는대 자세한 정보가 없어서요.

전공인대도 스크래치가 먼지도 모르겠고 교육쪽을 전혀 모르니 정규과목이 생기면 직업 안정성이 보장이 되는지도 모르겠고 코딩교육강사를 인터넷에 처봐도 학원광고뿐이고 학원 다니면 취업경로가 어떻게 되는지도 모르겠는대 유망하다는 말만 있는 상태라 그냥 코딩교육강사 자체에 대해 궁금한대요.
코딩교육강사가 실제로 준비할 만큼 괞찮은 직종인지 궁금한대 의견좀 부탁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로켓 트리스타나
17/05/15 17:45
수정 아이콘
당장 내년 6학년 교육과정에 코딩교육이 17시간 들어갑니다만 전문적인 프로그래머 양성이 목적이 아닌 사고력 신장에 중점을 둔 교육과정입니다.
한번 들어간 교육과정은 언제든 재조정 될 수 있으며 한 2~3년 일 하실 것으로는 괜찮겠으나, 컴퓨터교육의 특성상 유행이 빨리 바뀌므로 안정적인 직장으로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스크래치는 코딩을 어린이들도 쉽게 접근하게끔 만들어진 일종의 웹프로그램입니다. 현직 교사들을 상대로 연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며 방과후 컴퓨터교실 등에서도 스크래치 수업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려운 것은 아니고 프로그래밍에 문외한인 분들도 금방 익숙해 질 수 있으므로 딱히 전문성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네파리안
17/05/15 18:3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도 있다고 들었는대 스크래치가 쉽다면 중고등학교는 다른걸 배우는 건가요? 방과후 교실이란게 대학에서 교육관련 학점을 이수 안해도 가능한 직종인건가요?
17/05/15 17:49
수정 아이콘
이런건 잘 생각해볼께 정부시책에 따라 어찌 될지 모르는 분야라서요.
솔직히 정부 시책 아니면 굳이 논할 이유도 없는 분야라서요.

이런 식으로 정부 시책때문에 갑자기 흥했다가 쇠락했다가..뭐 그렇죠..
예로 안전때문에 수영장이 흥하죠..
네파리안
17/05/15 18:36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거품일까봐 해볼까 말까 하는중인대 한다고 해도 거품일거라 생각하고 해야겠군요.
신승훈
17/05/15 22:12
수정 아이콘
공기업 근무중이구요. 학생 복지프로그램 운영합니다. 밴드 같은 곳에 코딩 봐보세요..주말에 강사양성과정 가득차있습니다.
방과후 일자리나(자격증 경력) 학생 강의자리 많이 납니다. 준비해두시면 도움 될 거라 봅니다.
위에 로켓님 말씀대로 컴퓨터는 유행이 빨리 바뀌므로 스마트 관련해서 vr/ar활용 등도 준비해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술한잔 한 상태라서 잘 썼는지 모르겠네요
궁금하신 점은 또 댓글 남기겠습니다.
네파리안
17/05/15 22:5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고용노동부에 국비지원교육 프로그램 보니까 vr/ar 프로그램도 있던대 이쪽이 유망한가 보군요. 한번 알아봐야 겠습니다.
Jannaphile
17/05/16 02:55
수정 아이콘
유망하다기보다 유행이라고 생각하시는 게 더 좋아 보입니다. 국가 여러 부처에서 VR/AR(특히 VR)
관련 지원사업이나 수주를 많이 내는데 공고를 내면서도 그들이 정확한 개념도 못 잡는 모습을 많이 보이고 있어요.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붐업되긴 했지만 현 VR 시장 상황을 볼 때, 어느 순간 맥주거품 꺼지듯 추락할 수 있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확 치고 올라가더라도 현재의 형태는 아닐 가능성도 크고요.
네파리안
17/05/16 03:24
수정 아이콘
제가 안드로이드 교육을 받았었는대 공백이 길어서 다 까먹어서 새로 먼가 교육받을려고 하는대 선택이 어렵긴 하내요. 친구들 하고 애기해봐도 iot나 흔히 4차산업혁명이라고 불리는 것들이 거품아니냐 라는 애기 많이 들어서 안드로이드 다시 하자니 늦은거 같고 고민되내요.
17/05/16 12:52
수정 아이콘
핸드폰으로 써서 오타가 날수가 있음을 감안하고 봐주세요. 작년부터 해서 미래부 주관하여 소프트웨어 예산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마 3년정도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초등 저학은 스크래치, 고학년은 아두이노를 많이 하는 추세고 중고등은 아두이노, 레고, 씨언어른 중심으로 커리큘럼을 많이들 짜시더라구요. 소프트웨어 수업 관련해서는 학교의 컴퓨터 과목 선생님이 담당하거나, 도급? 업체를 통하여 계약직 개념으로 입사하는게 현재 모습인것 같습니다. 길게 가는 방향은 교육정책의 문제라 이번 정부 교육 정책을 주의 깊게 보시가나 미래부 혹은 케리스 자료를 보는게 좋다고 생각 됩니다
네파리안
17/05/16 13:4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도대체 무슨경로로 학교로가나 했는대 업체를 통해서 가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2646 [질문] 모바일 게임 추천 좀 해주실 분 계신가요?? [12] Supremier2686 17/05/15 2686
102645 [질문] 역사,현대사 알못이 6.25 관해 질문합니다 [12] 삭제됨2349 17/05/15 2349
102644 [질문] 코딩교육강사 어떨까요? [10] 네파리안4931 17/05/15 4931
102643 [질문] 폼클렌징으로 머리 감아도 될까요? [10] 삭제됨26461 17/05/15 26461
102642 [질문] 데스크탑을 만지면 전기가 통합니다;; [3] 맥쿼리1967 17/05/15 1967
102641 [질문] 수업용 빔프로젝터 추천좀 해주세요 [3] 사랑총2972 17/05/15 2972
102640 [질문] 김택용 선수 질문 [7] 알토이스2540 17/05/15 2540
102638 [질문] 윈도우 업데이트 확인이 너무 오래 걸리네요 [2] 달토끼2785 17/05/15 2785
102637 [질문] [컴퓨터] GTX 1060과 제온 CPU 질문입니다. [2] 키리하3495 17/05/15 3495
102636 [질문] 랜섬웨어 워너크라이 대처 질문 [2] Love.of.Tears.2490 17/05/15 2490
102635 [질문] 아이폰 동영상 앱, 플레이어 엑스트림 (PlayerXtreme) 파일 삭제가 안 되네요. [3] 동아중공업4550 17/05/15 4550
102634 [질문] [랜섬웨어 예방] 윈도우7 업데이트 확인하는 방법 [5] 드림4573 17/05/15 4573
102633 [질문] 자동차 사고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2] 마산아이돌나스타1771 17/05/15 1771
102632 [질문]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8] Clayton2104 17/05/15 2104
102631 [질문] 유투브 영화리뷰 구독관련 [4] possible2282 17/05/15 2282
102630 [질문] 현정부의 의료정책 (간호관련)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2] 시미군1778 17/05/15 1778
102629 [질문] 해외로 가족여행을 갑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5] 유포늄2419 17/05/15 2419
102628 [질문] 단기간에 돈 벌려면 공장 들어가라는 말 있잖아요 [14] 범일동8991 17/05/15 8991
102627 [질문] 약정끝나면 바로 폰 바꿔도 되나요? [3] 칼퇴추구자1704 17/05/15 1704
102626 [질문] 미스사이공 뮤지컬 라이센스비.. [1] 따루라라랑2693 17/05/15 2693
102625 [질문] 닌텐도 스위치 구매하신분들께 질문 있습니다 [9] DSlayer2609 17/05/15 2609
102624 [질문] 테노포비어(비리어드) 약제 복용중이신분 계신가요? [8] Red Key2817 17/05/15 2817
102623 [질문] 만약에 박근혜가 이번 대선에도 나왔었다면? [16] 완뽀3191 17/05/15 31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