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5/01 14:27:12
Name 주니뭐해
Subject [질문] 공무원 유게사진(노량진 사진)보고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단순 호기심입니다 파이어시킬 생각도 전혀없습니다

그냥 너무나 사회적인 호기심으로 질문드립니다

공무원 강의? 앞자리 들으려고 줄서는 모습을 보니 한편으로 의아하면서 씁슬한 생각이 들곤합니다

요즘세대에 (저도 요즘세대이지만) 선택지가 공무원이 최선인가요?

질문글로 약간 필터링이 들어가지만 머리로는 사실 이해가 잘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의아한 생각이 제일 큰게 사실이고요 저렇게 많은 사람들의 선택지에 공무원을 선택했다니...

물론 사회나 경제적으로 많은 이유들이 있겠지만! 공무원준비 하는 분들은 무슨 마음을 가지고 준비를 하는걸까요

저는 공무원을 거의 매일 옆에서 보는 일을 하곤 하는데 하는 업무를 보면 과연 저 직업이 최선이라는 생각이 들까하거든요

9급 되도 월급도 얼마 안된다고 하는데.. 아무리 노후가 좋더라도 그 월급받고 생활하는것은 풍요롭지도 않고요

준비하시는 분들의 선택을 존중은 하지만 궁금증은 여전합니다

수많은 직군이 있는데.. 물론 채용의 폭은 좁습니다만 공무원도 마찬가지거든요

저는 그렇게까지 공부를 열심히 했다고는 생각하지않고 한 관심분야에 대한 재미와 연습으로 이 일을 하고 있는데..

공무원을 준비하는 분들의 노력에 비해 과연 적합한 노력인지 궁금하기도 하고요

호기심을 해소시켜주실 분들 계신가요? 미리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언어물리
17/05/01 14:28
수정 아이콘
직업 안정성 면에서는 좋죠. 같은 의미로 공기업도..
주니뭐해
17/05/01 14:29
수정 아이콘
물론 안정성면에서 좋다는건 알고는 있는데 뭔가 의아한 생각이 항상있거든요 저렇게 많은 사람들이 공무원에 달려들고 있어서요 답변감사합니다
-안군-
17/05/01 14:29
수정 아이콘
지금같은 세상에선 짤릴 염려 없는 직장이 짱이죠. 삼성전자같은데도 수시로 구조조정/명예퇴직 하는 시절인데요...
안희정
17/05/01 14:36
수정 아이콘
어떤 누가시험을 봐도 뽑는 기준이 딱 성적으로 가르니까요

기업원서접수해보면 왜 떨어진지도 모르고 커트당하는게 많죠 결국 이런저런 이유따지다보면 학벌, 학교성적 같이 이미 돌이킬수없는 요소들이 발견되죠

근데 공시는 그런거 다필요없고 시험공부열심히해서 잘보면 되니까 많은 수가 몰리는거죠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못가고 중소기업가면 공무원보다 빡시게 일하면서 덜벌고 미래가 불투명하고 그에 반해 공시는 마지막 찬스같은거죠

이상은 저의 생각입니다
17/05/01 14:51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의견과 같은 생각입니다.

노력 대비 효율성은 얼마나 높을지 모르지만
그 노력이 합격으로는 이어지는 것은 확실하기 때문이죠.
물론 면접은 번외
lifewillchange
17/05/01 14:37
수정 아이콘
짤려 보면 알겠죠...나이 35만 넘어도 재취업이 힘든 세상이니..
이라세오날
17/05/01 14:39
수정 아이콘
일단 해보시면 헤어나올수가 없습니다. 근무시간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고 내가 사고치지 않으면 정년까지 월급이 보장된다는 두가지 요소만으로 삶의 질이 급격하게 높아집니다. 막상 공무원 월급 2배 받는다고 해봐야 내가 언제 그만둘지 모르는 상황이면 저축해야 되는 돈 생각하면 막상 쓸수있는돈은 큰차이 안날뿐더러 공무원 월급 2배 받으려면 일을 얼마나 해야되는가 까지 고려하면 일단 제 경험상으론 삶의 질이 비교조차 안될정도로 공무원쪽이 좋습니다.
니가가라하와��
17/05/01 15:32
수정 아이콘
뒤늦게 봤는데 정말 본질을 꿰뚫는 답변이네요.
댓글추천이 없어서 아쉽네요.
니가가라하와��
17/05/01 14:41
수정 아이콘
공무원 월급 생각보다 안 적습니다. 그리고 그정도 할만한 가치는 있어요.
그렇게 해도 안되니까 사회적 문제인거구요.
예쁜여친있는남자
17/05/01 14:42
수정 아이콘
음 너무 길게 써서,,

공무원이 장기적으로 보면 좋은 직업 O
저렇게 노력한 값을 하는 직업 X
그럼에도 하는 이유 : 요즘, 특히 문과는 대안 없음
(저런 7급9급 공무원보다 좋은 직업들이야 있지만 알고보면 그거 더 어려운 시험 합격해야함)
그리고 솔직히 회사원은 대기업이어도 사람에 따라 공무원만 못하다고 볼 여지가 많죠..
17/05/01 15:00
수정 아이콘
인문계 나오면 할게 없..
it's the kick
17/05/01 15:11
수정 아이콘
저도 이해 잘 안 갔었는데
요즘 추세를 보면 저게 최대효율임을 부정하기 힘듭니다. 절대치는 낮을지 모르겠지만요
17/05/01 15:18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에 공무원 보다 확실히 좋다고 생각할 수 있는 직장 가진 사람 10%도 안 될 겁니다. 그게 이유죠.
송하나
17/05/01 15:30
수정 아이콘
대기업 들어간 제 친구도 윗사람들 잘려나가는거 보고 진지하게 공무원 생각하던데요.
다들 안정성을 가장 크게 보고 준비하겠죠.
공무원은 법으로 신분이 보장되니까요.
17/05/01 16:00
수정 아이콘
저녁이 있는 삶

돈 많이 벌어 유에치디 티비에 플스 프로가 있음 머하나요 피곤해서 할 시간이 없는데...

문제는 공무원은 저걸 못사느냐 그건 또 아니거든요
이부키
17/05/01 16:07
수정 아이콘
노후가 정말 확실하게 보장되고, 다니는 동안의 삶의 질도 정말 좋습니다.

보통 7급이 9급보다 일의 양이 많고 야근도 많다고 하는데, 제 친구 보면 7급이라도 빡씨게 진급할 생각 없으면 퇴근 일찍 하더군요.
Arya Stark
17/05/01 16:09
수정 아이콘
31~32 넘어가면 취업이 안됩니다.

대기업 찔러보는거 아니고 중소기업이고 뭐고 사기업은 취업이 진짜 너무 미치게 힙니다.
러블세가족
17/05/01 16:20
수정 아이콘
시험만으로 취업전선에 뛰어든다는 점도 메리트일겁니다. 수능때도 정시100을 선호하지 정시+내신+논술 이런곳은 우선순위에서 밀렸죠..
주니뭐해
17/05/01 16:4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다른 방면의 이유를 알게 해주신분들 감사드립니다 다른쪽생각 있으신분들도 답변부탁드립니다~
Aragaki Yui
17/05/01 17:55
수정 아이콘
공무원 소득이 적다는것도 어디까지나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보다 적다는거지 취업시장에서 그렇게 적은 연봉은 아니에요.
그리고 저 대기업의 문턱이 얼마나 좁은가? 를 생각해보면 공무원은 정말 좋은 직장이죠(근무환경을 미고려해도)
무무무무무무
17/05/01 17:57
수정 아이콘
전 완전히 다른 생각인데 공무원 경쟁률이 저렇게 높은 이유는 좋은 직장이어서가 아니라 원서비가 싸고 별다른 요구조건이 없어서라고 봅니다.

7급 토익도 올해부터 생겼고(그나마도 700이죠) 그전까지는 학점 토익 아무것도 없어도 누구나 5천원 7천원만 내면 볼 수 있었죠. 9급은 아직도 요구조건 없고요. 다들 부담없이 그냥 한 번 찔러볼 수 있는 시험이라 경쟁률이 저렇게 높은겁니다. 뉴스에서야 이슈를 위해 항상 사상 최고의 경쟁률 이야기하지만 실제 뚜껑 열어보면 당일 안오는 사람이 응시인원의 30%에 달하고 한 과목 40점을 못맞아서 과락당하는 인원도 15-20%쯤 됩니다. 실제 합격선 근처에라도 가는 인원은 응시자의 1/10도 안되고요. 공무원이 진짜 좋은 직장이어서 경쟁률이 높은거라면 상위권 수험자가 지금보다 훨씬 많아야 합니다. 매년 몇십만씩 쏟아지는 공채 지원자들 대부분 기본스펙은 갖추고 들어가는데 공무원 시험은 그런 게 없어요. 이슈가 되고 과목이 국어 영어 국사 이러니까 나도 한 번 5천원 내고 시험삼아 봐야지 하는 인원이 태반이죠.

이렇게 접근성 높고 걸러지지 않는 시험은 당연히 지원자 수가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한 예로 서류전형 없고 토익스피킹만 제출하면 되던 14년 삼성 ssat 응시자 수는 20만에 달했죠. 지금 국가직 공무원 응시자(어차피 국가-지방직은 모의고사 삼아서라도 보는 거라 실제 숫자는 거의 동일합니다)가 한 해 30만쯤 되는데 토스조차 요구하지 않는 걸 감안하면 딱히 과열이라고 보기도 힘듭니다.
러블세가족
17/05/01 23:02
수정 아이콘
허수를 떠나서 위에 제가 썼던 리플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조건이 없는게 접근성도 좋고 메리트가 있죠
Acolyte of Pain
17/05/01 18:33
수정 아이콘
공무원(9급)이 엄청 좋다기보다 할게 그거밖에 없는 사람들이 많이 준비한다고 봐야겠죠.
대기업 공기업 취업될만한 스펙/능력 갖춘 학생들은 9급 준비 잘 안하죠.
고시(5급)준비 오래하다가 안되서 7/9급으로 돌리는 경우가 아니라면요.

특히 문과는 대기업/공기업 취업이 하늘의 별따기라서 더 공무원준비생이 많은거 같네요.
공무원이 그래도 중소기업보다는 100배 나으니까요.
판타지오
17/05/01 18:46
수정 아이콘
그나마 공평한 패자부활전이죠
초보저그
17/05/01 19:44
수정 아이콘
아까 원 글에 쓰려고 생각했다가 말았던 댓글이고 위에 많은 댓글들이 그렇게 말하고 있는데, 공무원이라는 직업이 그 정도 노력을 들일 가치는 없습니다. 다만, 우리 나라에서 노력을 들여서 가질 수 있는 최선의 직업 중 하나겠죠. 요즘처럼 인터넷 등을 통해서 정보의 비대칭이 많이 사라진 사회에서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직업이나 사람들이 줄을 서고 있는 식당은 최소한 그 한정된 사회 내에서는 그 정도 가치가 있습니다. 정보가 없다면 모를까 정보가 다 있는데 대다수의 사람들이 바보가 아니죠.
나이스후니
17/05/01 20:31
수정 아이콘
학벌등의 스펙이 제로인채로 시작한다는점이 있고, 월급이 많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중소기업들 월급을 생각해보면 괜찮은 편입니다. 거기에 정년보장이 되고요.결국 대기업이나 공기업이 아닌이상 최선의 직장입니다. 그리고 주위를 보니 집안이 좀 잘사는경우에도 많이 도전합니다. 굳이 큰돈벌필요없고 힘든 회사가서 빡세게 일할 필요없이(케바케이긴하지만) 정년만 보장되면 된다는 마음으로 도전하는거죠.
17/05/01 22:39
수정 아이콘
모두에게 공평하게 기회가 주어지니까요. 사실 대기업 취업 같은경우엔 실패할 확률도 높고 본인이 나온 대학이 좋지 못하면 대기업을 노리기는 힘들죠. 그에 비해서 공무원은 딱 준비만 잘하면 합격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니 많은 사람이 공무원에 도전하는거죠.
그리고 9급 다니는 친구 보면 공무원끼리 만나 결혼하거나, 비슷한 수준만나서 결혼하면 그냥 생활은 할 수 있을정도로는 벌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1970 [질문] L-아르기닌 복용 관련 질문입니다. [2] Good8686 17/05/02 8686
101969 [질문] 전세 대출 관련 질문입니다. [6] Eulbsyar1947 17/05/02 1947
101968 [질문] 올해 나온 남자아이돌그룹 히트곡들을 알고 싶습니다 [4] ppii1777 17/05/02 1777
101967 [질문] 여자친구가 아프다는데 어느 병원에 가야 할까요? [6] 2493237 17/05/02 3237
101966 [질문] 중고차 거래 이후 할부급 완납 질문. [1] 모쏠로메테오1812 17/05/02 1812
101965 [질문] 가성비 좋은 퀵차지 보조배터리 추천 부탁드립니다 [5] cs3666 17/05/02 3666
101964 [질문] 장트러블 잦은데 출근 1시간 이상 걸리는분들 계신가요 [53] 야근왕워킹4222 17/05/02 4222
101963 [질문] 중고 휴대폰 구입 및 배터리 [4] 전체일정안내3202 17/05/02 3202
101962 [질문] 기능론적 관점, 갈등론적 관점 잘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6] 개망이2800 17/05/02 2800
101961 [질문] 개인사업자 5월종합소득세 신고관련질문입니다 [7] 하연수2730 17/05/02 2730
101960 [질문] 5월 6일(목) 롯데월드 괜찮을까요? [18] 신용재2920 17/05/02 2920
101959 [질문] 공항에서 새벽에 유심 발급 가능한가요? [1] DSlayer1815 17/05/02 1815
101958 [질문] 아프리카로 한달 300정도 찍으려면 몇위정도 되야할까요?? [6] 모어모어3078 17/05/02 3078
101957 [질문] 옛날 한국힙합 곡 질문 [9] 이홍기1928 17/05/01 1928
101956 [질문] cj제일제당 R&D 연봉을 혹시 알 수 있을까요? [10] 삭제됨10794 17/05/01 10794
101955 [질문] 해석학 공부 방향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ski~2306 17/05/01 2306
101954 [질문] 한국이 주배경이 되는 할리우드 영화 뭐가 있을까요? 가렌1652 17/05/01 1652
101953 [질문] 디즈니 OST 같은 음악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탈리스만2665 17/05/01 2665
101952 [질문] 양떼목장에서 서울 올라오는 길에 들릴만한 곳이 있을까요?? [11] 원스2164 17/05/01 2164
101951 [질문] 싱글플레이 모바일 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5] BewhY6031 17/05/01 6031
101950 [질문] 플스4를 사려고 합니다 타이틀 추천 [8] Fall to fly2903 17/05/01 2903
101948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롯데김군2172 17/05/01 2172
101947 [질문] 평소 이용할만한 전기면도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삭제됨2409 17/05/01 24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