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4/30 16:14
정석적인 프로그래밍 기획이면 적어도 취미 이상의 프로그래밍 실력 + 실무 경험이 있어야 합니다. 평범한 프로그래머 보다는 당연히 요구 수준이 높습니다.
일단 저런 것을 갖추기 어렵다고 생각하시고 개발자와 협업은 꼭 하셔야 한다고 생각하시면, 만들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라도 갖출수만 있다면 됩니다.
17/04/30 16:36
논리적이고 깔끔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다만 개발자분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어떤 분야들을 공부해야하나 궁금합니다 고견 감사드립니다
17/04/30 16:32
질문이 좀 막연해서 막연한 답변 밖에 못 드릴 것 같은데, 본인이 원하는 프로그램의 기획서를 작성해보세요. 그 기획서가 나오면 그 다음엔 프로그래머를 구하고 그 다음엔 그 프로그래머와 협의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관심법도 좀 쓰고 글에서 느껴지는 느낌적인 느낌에 근거해서, 본인이 원하는 기능을 어떻게 프로그래머에게 설명해줘야하는지조차 막연하신 것 같으니 약간 첨언해보겠습니다. 1. 세무/가계부 등의 통합 관리 시스템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계부 기능을 구현해주세요'라는 말로는 프로그래머가 구현해줄 수 없습니다. 해준다고 해도 본인이 원하는 기능이 아닐 가능성도 있고요. 구체적으로 모든 기능을 정의해줘야합니다. - 매우 단순한 금전 출납부를 만드려고 해도 프로그래머는 계산식은 어떤걸 써야하나요를 물어볼겁니다. 2. 공개되어 있는 웹상에 데이터를 취합해서 새로운 데이터로 변환 - 어떤 사이트(정확히는 어떤 페이지)에서 어떤 형태의 데이터를 취합해서 무엇으로 변환해야하는가. - 그 데이터는 어떤 기준으로 유의미하게 자료화를 해야하고 어떻게 보여져야하는가. - 이런 질문에 답변할 수 있어야합니다. 기술적인 부분까지 커버해줄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게 힘들면 본인이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 설명해줄 수 있어야합니다. 의도가 명확하면 프로그래머도 아이디어를 줄 수 있습니다.
17/04/30 16:38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담기에는 아직 막연하기도 하지만
공개하기도 조금 어려운 사항이라 두리뭉실하게 글로 풀었습니다. 의도를 명확히 설명하고 어떠한 결과물을 원한다를 아주 명확이 해야겠습니다. 또 개발자분과 소통하기 위해 알아야할 점이나 분야가 있으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7/04/30 17:12
앱 기획과 사업계획은 아예 다른 분야니 저는 조언해드릴 것이 없군요. 흐흐.
소통을 위해서 프로그래밍을 알면 좋겠지만 일부러 공부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좋은 프로그래머 만나시길!
17/05/01 00:09
기획이라하면 최소한 화면 단위로 기능 묘사하는건 기본이고, 각 버튼이나 컴포넌트의 동작과 요구사항, 그리고 전체 사용자 시나리오에 대해서 정말로 그냥 생각하시는 것 이상으로 자세하게 명세하는게 프로그래머한테 좋습니다. 그리고 그 외에 BM까지 설계해서 어떻게 수익을 낼 것인가도 고민하셔야되거요. 만약 한명의 프로그래머하고만 협업하고자 하신다면 기획자가 기본적인 디자인이나 UX 디자인이나 모바일이나 멀티플랫폼 고려한다면 UI에 대한 고려까지 해야되고요. 어떠한 기술분야도 자신이 없다면 차라리 기획자(PM), 프로그래머, UX디자이너 이렇게 세명을 고용해서 본인은 뒤로 물러나있는게 더 좋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시장조사도 잘 하셔야됩니다. 어지간한 프로그램은 찾아보시면 큰 틀 안에서 거의 다 있을거기 때문에 어떠한 고객들이 어떠한 특장점으로 인하여 살 것인가 수익성이 있을 것인가 고민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상용화 말고도 인하우스 용도로 본인의 시간을 벌고 업무를 효율화하는 용도만이라도 만들고 활용하는게 수익성이 좋을수도 있으니 단순히 상용화 하겠다 이외에도 다양하게 고민해보사면 좋을 것 같습니다.
17/05/01 10:06
보통 그런 복잡한 프로그램을 짜기 위해 프로그래머/디자이너들을 고용하는 것 보다 벌써 잘 만들어져 잇는 다른 회사 재품을 돈 주고 사용하는게 더 빠르고 돈 작게 들긴 하더라고요.
그런 부분도 잘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17/05/01 11:51
저희 쪽 업계가 좀 특수?해서 기존 제품이 알맞게 호환되는 경우가 없습니다 ^^;;
저도 기성품을 사용하다가 불편해서 제가 만드려고 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