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4/25 22:14:09
Name 계란
Subject [질문] 운전 할만할까요?
허허허허 이거 참 우문인 거 아는데 하게 되네요.



올해 곧 이사를 해야할 것 같아 어디로 이사갈 지 고민중인데 확실히 차가 있어야만 출퇴근이 가능한 지역은 전세값이

그리 비싸지 않은 편이라 차라리 차를 사고 그런데로 이사갈까를 심각하게 고려중입니다.



면허는 04년도에 1종 보통으로 취득했습니다. 오토바이 탈려고.... 이후 04년 10월부터 입대전까지 1년 정도 바이크는 잘 몰고 다녔고요.

뭐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바이크는 수동으로 탔습니다 하하. 자동차 운전이 겁나는 지금 지금 생각해 보면 어떻게 타고 다녔나 싶네요;

왼손이 클러치, 오른발이 기어변속, 오른손 스로틀이 액셀이고, 오른손 브레이크, 왼발 브레이크...
(와 어떻게 탔지 정말; 젊음이란 건 대단하군요!)

그 후로 현재까지 핸들을 잡아본 시간이 아마 3시간이 채 안될 겁니다.;

즉 오른쪽이 엑셀, 가운데가 브레이크, 왼쪽이 클러치 인 것 정도만 아는 상태인데요.


만일 차를 산다고 하면 운전에 어느 정도 익숙해질 때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까 궁금하네요.

우선 기본적인 운전 연수는 업체를 통해서 받아볼 생각이고, 보통 20시간 정도면 된다고들 하는데 강사분이 좀 더 하셔야겠다고 하면
(장삿속인 게 티나더라도) 30시간까지도 의향은 있습니다.


운전 까이꺼 하면 되지 뭐 하던 시절에는 인터넷 커뮤니티나 블박 사고 영상 같은 게 유행은 아니었기 때문에 근자감이 있는 상태였다면,

지금은 하도 블박 사고 영상같은 걸 많이 봤더니 제가 피해자가 될까도 걱정이지만 그보다 앞서 제가 가해자가 될까가 더 걱정인 근걱정이 생긴 상태입니다 흐흐

추가 : 아 물론 차는 대세에 따라; 중고 차량 오토로 구입할 예정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4/25 22:15
수정 아이콘
걱정이 있어야 안전운전합니다.
운전면허를 무리 없이 따셨다면..
연수조금 하시면 금방 익숙해지실겁니다.
저도 그렇고 와이프도그롷고 연수받고 만족도가 매우 높았었습니다..(십수년전이지만..)
차에대한 고민은 연수를 받고 나시고 하셔도 늦지 않다고 봅니다
17/04/25 22:22
수정 아이콘
음네 바이크탈 때도 단 한 번의 사고도 안나긴 했습니다. 차 사이로 다니지도 않고 '난 차다' 생각하고 차 뒤에 얌전히 서 있었죠.
운전 면허도 무리없이 시험 1회, 코스 1회, 도로 주행 1회로 통과했었습니다(만, 당시 운전면허 취득 난이도가 어땠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알마님 답변은 차량 구입을 고민하기 전에 연수를 먼저 받아보시라는 말씀이신가요?
후회하기싫다..
17/04/25 22:22
수정 아이콘
경험이 최고입니다.
기본적인 운전 연수를 통해서 얻으시는것+혼자 운전하면서 얻으시는것은 결국은
시간과 경험이 모든것을 말해줄겁니다.
20시간으론 솔직한 말로 터무니 없이 적은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시간내에 과연 얼마나 어느정도의 연수를 할수있을것인가에 대한 의문도 드는게 사실이구요.
제 생각에는 시간만 채운다는 정도..
처음부터 어렵다 생각마시고 운전하세요 시간날때 멀리도 가보고 가까운곳도 가보고 운전석에 앉아서 운전해봐야 됩니다.
운전잘하는것 못하는것 고작 얼마차이 나지않습니다.
교통흐름을 잘 인지해서 운전 한다는것을 잘하는것으로 기준으로 보기에 시간이 좀 걸릴수있으나
잘하시리라고 생각됩니다.
17/04/25 22:24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주변 운전 3년차 동갑내기 친구들이 '그래도 연수는 꼭 받아라'라고 조언해 줘서;
실질적인 도움은 안될지언정 처음부터 혼자 핸들잡는 건 좀 무책임한 것 같아 연수는 받아볼 예정입니다.
고향갔을 때 한번씩이라도 아버지 차를 운전해봤어야되나 후회가 되네요 하하.

답변 감사드립니다.
17/04/25 22:32
수정 아이콘
저를 포함한 제 지인들 보면

장롱면허여도 중고차 구매하고 집에 올때 사고 안났으면

한 3개월정도는 사고 안나요...

3개월째는 자신감이 자만이 되서 그런지 3~4할 정도 사고 났구요.
17/04/26 10:26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차 사게 되면 명심하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네파리안
17/04/25 22:32
수정 아이콘
저는 겁많고 면허따고 6년인가 운전을 한번도 안해봐서 무서웠는대 확실히 연수가 도움이 많이 되더군요.
학원 같은곳이 아니라 인터넷상에서 보고 연락해서 승용차로 하고싶다고 하니 강사님이 소나타 끌고 직접 집앞까지 오시더라구요.
저는 10시간 받는건대 강사님이 1시간에 10분은 빼자는 말도 있었고 어느정도 하니 익숙해저서 8시간 교육받았는대 강사님 말로는
저도 남자 치고는 굉장히 느리다고 보통 남자는 5시간이면 혼자몰고 여자나 8시간씩 받는다고 하시던 흐흐
저는 연수 받고 인천한번 다녀오고 서울 한번 다녀오니까 고속도로 주행 시내 주행 다 편해졌습니다.
17/04/26 10:27
수정 아이콘
넵 역시 연수는 구입 직전이든 구입 직후든 받는 게 좋겠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네파리안
17/04/26 10:29
수정 아이콘
구입 직후 추천드리는게 강사가 집까지 직접오다보니 집근처 주차하는법 마지막 연수는 내차로 직접 몰아보는것도 해주고 여러모로 차가 있는 상태가 좋아보입니다.
17/04/26 10:31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렇게 되면 중고 차량 구매 후 그걸 어떻게 집까지 끌고 오느냐가 또 고민이 되긴 하네요. 듣기로는 그래도 집까지 가져다 준다는데도 있는데, 구매 시 고 부분도 챙겨야 겠네요.
Jon Snow
17/04/25 22:54
수정 아이콘
해보시면 주행은 하나도 안어렵고 주차가 좀 어렵습니다 10시간이면 충분합니다
17/04/26 10:27
수정 아이콘
역시 운전의 끝판왕은 주차...! 답변 감사합니다!
17/04/25 23:26
수정 아이콘
저 같은 경우는 앞으로 운전할 코스를 강사님과 여러번 운전하니 주행에 대한 두려움이 많이 없어졌었어요. 주차는 후방 감지 센서와 카메라만 있으면 어떻게든 되더라구요(...)
17/04/26 10:27
수정 아이콘
흐흐 중고 차량 구매 시 잘 확인해야겠군요. 감사합니다!
미메시스
17/04/26 02:48
수정 아이콘
연수는 저도 추천하고, 출퇴근에 차 쓰시면 운전 금방 하실것 같네요.
같은길을 왕복 하는게 연습이 많이되거든요.

윗분 말대로 주행보다는 주차가 어렵죠.
그런데 골목주차 말고 주차시설 잘 되어있는 집으로 구하시면 이것도 큰 문제는 안될듯
블랙박스 영상은 그만큼 드문 케이스라 올라오는 거니 너무 신경쓰진 마시구요.

그래도 정 불안하시면 아래 글 한번 읽어보세요.
좋은 조언이 많습니다.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car&page=1&divpage=118&no=277468
17/04/26 10:3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겁이 나도 일단 도전해 보는 방향으로..

집구할 때 주차 시설도 조건에 넣어봐야겠네요. (그만큼 더 어려워지겠지만ㅠ)

답변 감사합니다!
클로바
17/04/26 06:23
수정 아이콘
후방카메라 있으면 주차걱정 없고 blind spot mirror 대충 만원이하 사서 백미러에 부착하면 차선변경도 문제 없습니다! 04년이랑 기술이 다릅니다 운전 쉬어요!
17/04/26 10:29
수정 아이콘
고런 게 있군요. 사게 되면 꼭 부착하겠습니다 크

감사합니다!
클로바
17/04/26 10:39
수정 아이콘
아 백미러가 아니고 사이드 미러... 헷갈렸네요 죄송..
17/04/26 10:42
수정 아이콘
아 뭔지 알 것 같습니다 동그랗고 볼록하게 생긴 것 말씀하시는 거죠?
필리온
17/04/26 10:19
수정 아이콘
저도 면허따고 3년 정도 차를 건드리지도 않다가 연수 네시간 받고 운전했는데 만족도가 굉장히 높았습니다.
아무래도 운전이 경험이 없으면 판단을 내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그 경험에 필요한 시간을 굉장히 단축할 수 있었어요.
(연수는 참고로 3년 전에 받았습니다~)
연수 추천드립니다!
17/04/26 10:28
수정 아이콘
넵 명심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1641 [질문] 운전 할만할까요? [22] 계란3020 17/04/25 3020
101640 [질문] 구글 코드를 편의점에서 샀는데 등록이 안됩니다...... [6] 레너블2910 17/04/25 2910
101639 [질문] 피트니스 클럽 등록 믿을만 할까요? [3] 계란말이1726 17/04/25 1726
101638 [질문] 회사에 서류불합격 이유를 물어봐도 될까요? [7] 마제스티5244 17/04/25 5244
101637 [질문] 한국의 실업률 관련 질문 [8] 아름답고큽니다2167 17/04/25 2167
101635 [질문] 철제갑옷을 상대로 전격계마법을 쓰면? [6] 오분만2304 17/04/25 2304
101634 [질문] 홍대에서 남자들끼리 놀만한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1] 행신동유희열18048 17/04/25 18048
101633 [질문] 최근 패치된 스타크래프트에 자원핵이 있나요?? [3] 마른남자4003 17/04/25 4003
101632 [질문] 홍콩 아이튠즈 신용카드 등록 문제입니다. MelanCholy1537 17/04/25 1537
101631 [질문] 편지 버리시나요? [17] rollercoaster3590 17/04/25 3590
101630 [질문] 모니터 선택 부탁드립니다. [12] 가끔2883 17/04/25 2883
101629 [질문] 광주사시는 분들 518 희생자 분들이 체감적으로 얼마나 느껴지시나요? [21] 밥도둑3811 17/04/25 3811
101628 [질문] 프로야구 H2 관련 질문입니다. [6] 과연나는어떨까2789 17/04/25 2789
101627 [질문] 친구부부가 아이를 출산했는데 찾아가도 되나요? [21] Jon Snow2995 17/04/25 2995
101626 [질문] Hec-Hms 프로그램 매개변수에 관한 질문입니다! 장미베개1625 17/04/25 1625
101625 [질문] (하스 복귀) 카라잔 과금 할만 한가요?? [8] 삭제됨2546 17/04/25 2546
101624 [질문] 이정도 요금이 나오면 요금제를 바꿔야 할까요? [2] 알트라1621 17/04/25 1621
101623 [질문] 이노트북으로 스타 리마스터 가능할까요.? [1] 뒷산신령2652 17/04/25 2652
101622 [질문] 빔프로젝터 사양 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4] StondColdSaidSo2013 17/04/25 2013
101621 [질문] [LOL] SKT 각 라인의 변천사가 어떻게 되나요? [10] 파란무테2366 17/04/25 2366
101620 [질문] 5월 21일 바로셀로나 경기 예매 질문드려요! [4] 잠이오냐지금1420 17/04/25 1420
101619 [질문] SKT의 역대 탑솔 서열정리가 어떻게되나요. [39] johann4326 17/04/25 4326
101618 [질문] 탈모이신분들 머리 얼마나 빠지시나요?? [6] 모어모어2221 17/04/25 22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