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4/20 22:27:44
Name MiguelCabrera
Subject [질문] 무리뉴 감독하에서의 박지성
안녕하세요

제 기억이 맞다면 고3 때 박지성 선수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했을 겁니다. 그 후 피지알에 계신 여러분들과 마찬가지로 치맥과 함께 박지성 선수를 응원하게 됐죠. (리버풀 팬인것은 비밀입니다)

그리고 전역 후 해외축구에 관심을 거의 가지지 않았는데 조세 무리뉴 감독이 지금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이더라구요. 깜짝 놀랐습니다.

만약 무리뉴 감독이 박지성 선수의 활동기인 08~12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이었다면, 퍼거슨 감독처럼 박지성 선수를 아끼고 좋아했을까요? 문득 궁금해져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무리뉴 감독의 성향은 잘 몰라서...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4/20 22:33
수정 아이콘
아마 무리뉴가 퍼거슨보다 먼저 영입하려고 했는데 퍼거슨 감독이 스틸한걸로 압니다.
유용하게 썼겠죠..
그리고 박지성 별명 중 하나가 모든 감독이 좋아할 선수 아니였던가요?
성실 유능하고 멘탈 짱짱하고 큰경기에 강하고 활동량, 팀워크, 축구지능, 시야, 수비가담 능력이 좋은 미드필더죠..
그 당시 최저성기 맨유에서도 버텼는데 어딜가도 주전이었을 겁니다..
MiguelCabrera
17/04/20 22:37
수정 아이콘
지금 맨유에 박지성이랑 비슷한 유형의 선수가 있다고 들었는데, 그 선수도 무리뉴가 에시앙만큼 아끼는 선수인가요?
17/04/20 22:45
수정 아이콘
하드워커라는 점에서 스타일상 비슷한 부분은 있는데, 포지션은 완전히 다르죠.
에레라 맨유 온 이후 이번 시즌 가장 중용받고 있고, 포그바랑 같이 시즌 초부터 쭉 주전이었으니 그렇다고 봐야겠죠.
알카즈네
17/04/20 22:37
수정 아이콘
히딩크가 처음 박지성의 맨유행을 만류했던 게 본인이 좀 더 키워서(써먹고) 첼시 보내주려 했었다는 이야기가 있었죠.
무리뉴의 박지성에 대한 평가도 좋은 편이었고, 스타일상 궁합도 상당히 잘 맞아 보입니다.
붙박이 주전은 몰라도 최소한 퍼거슨만큼의 신임과 경기출전은 보장받았을 듯 하네요.
MiguelCabrera
17/04/20 22:41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는것보다 박지성 선수의 평가가 훨씬 높네요. 축구를 단지 스코어로만 보는 팬이어서 그런가봐요 흐흐. 왠지모를 뿌듯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17/04/20 22:41
수정 아이콘
지금 맨유에서는 안어울려서 자주는 안쓰지만 무리뉴가 제일 잘쓰던 전술이 숏카운터였고, 박지성이 이 전술에 딱 맞았기 때문에 중용되었을 것 같네요
MiguelCabrera
17/04/20 22:43
수정 아이콘
숏카운터 전술이 어떤건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축구보는게 막눈이라...
17/04/20 22:49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카운터, 즉 역습전술이라고 하면 수비라인을 내리고 상대의 공격을 막다가 롱볼로 전방 공격수에게 보내는 전술입니다.
숏카운터 같은 경우에는 전방 압박을 통해 팀의 수비지역이 아닌 상대 진영 및 중원에서 볼을 탈취하여 상대가 수비를 갖추기 전에 재빠르게 공격수에게 전달하는 역습 전술이죠.
무리뉴가 숏카운터 전술을 많이 사용했기에 공격수와 미드필더의 활동량과 수비 가담에 대해서 상당히 중요시 여겼죠. 이를 생각해볼때 활동량, 수비능력이 뛰어나고 준수한 역습 능력을 갖춘 박지성 선수는 무리뉴의 사랑을 받았을 것 같아요
아칼리
17/04/20 22:43
수정 아이콘
무리뉴 감독은 수비력 좋은 윙어를 매우 선호했기 때문에, 상당히 많이 기용됬을 것 같습니다.
17/04/20 22:47
수정 아이콘
무리뉴가 좋아할 만한 스타일이긴 한데, 그 무리뉴가 첼시에 오래 있지를 못해서 이후는 어찌됐을지 모르죠.
결과적으로는 감독이 오랫동안 믿고 기용해줄 수 있었던 맨유에 갔던게 좋은 선택으로 보여요. 실제 박지성 선수 있던 기간 동안 맨유가 첼시보다 성적이 낫기도 했구요.
꿈꾸는사나이
17/04/20 23:01
수정 아이콘
박지성 전성기 기량이면 마샬이랑 린가드 줄빠다 칠 듯...
2선을 박지성-미키타리안-마타로 구성하면 밸런스도 잘 맞고 좋을 듯 싶어요.
SooKyumStork
17/04/20 23:05
수정 아이콘
축만없이지만 첼시에 무리뉴와 함께 있었다면 확실히 한 두 시즌은 정말 빛났을 거라고 생각합니다.(커리어하이시즌이었던 10-11시즌 이상으로) 무리뉴 감독의 스타일과 거의 완벽하게 부합하는 선수니까요.

다만 맨유에서만큼 롱런할 수 있지는 않았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첫번째 이유로는 무리뉴 감독이 곧 첼시를 떠났었던 점이 있겠고, 두번째 이유로는 퍼거슨과 무리뉴의 차이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리뉴는 어느 팀에 가도 선수 한 명을 네다섯 시즌 이상 진득하게 써본적이 없죠.(네다섯 시즌 이상 머물렀던 팀도 없지만) 로테이션을 잘 돌린다고 평가받는 감독도 아니구요.

반면 퍼거슨의 로테이션은 업계 넘버1이라고 해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고, 긴 무릎부상을 당했어도 믿어줬을 정도로 박지성 선수에 대한 믿음이 깊었기 때문에 맨유에서 롱런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박지성 선수가 QPR로 이적할 때쯤 팀내 연봉 3위였고, 박지성 선수보다 짬이 높은 선수가 몇 없었죠. 다른 팀도 아닌 맨유에서 8년이나 뛸 수 있었던 건 박지성 선수의 성실함과 그런 자세를 높이 사는 퍼거슨의 믿음이 합쳐진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첼시에서도 8시즌 뛰면서 롱런했을 거라고는 확신 못하겠네요.
외계인
17/04/20 23:57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고 있던것과 완벽히 일치하는 의견이군요...
반니스텔루이
17/04/20 23:28
수정 아이콘
워낙 감독 말 잘듣고 빠릿빠릿 열심히 잘하는 선수라 무리뉴가 아주 좋아했을것 같아요.

가물가물하긴 한데 한창 전성기때 빅클럽들 이적설 뜰때 무리뉴가 직접적으로 영입하길 원했었다는 보도도 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결국 맨유로 가긴 했지만
보라도리
17/04/20 23:28
수정 아이콘
원래 맨유 단장이던 피터 캐년이 psv랑 친분이 있었는데 피터 캐년이 첼시로 이적 하고 퍼거슨이 점찍어뒀던 아르옌 로벤을 첼시가 하이잭 하고 나서 케즈만 알렉스 같은 선수들이 다 첼시로 이적 했죠 첼시-psv 커넥션이 있었고 히딩크도 맨유 오퍼가 온 그 당시에는 1년 정도는 지키고 싶어서 너 이번에 안가면 내가 첼시 보장 하고 이적 시켜줄게 했는데 박지성이 무조건 이적 신청 해서 맨유로 이적 했죠..

첼시 에서 박지성은 딱 윌리안 정도의 롤이지만 그당시 테베즈-크날두-루니 나 맨유 미들진이 넴벨류가 빵빵해서 맨유에서 이적이 최고의 활약 이었다고 봅니다 첼시에서도 박지성 은 어느 정도 쓰임새는 있었겠지만 로테이션 신봉자 수준의 퍼거슨 과는 달리 무링요는 확실한 베스트 11은 구축 하고 쓸놈쓸 스타일이라 아무래도 맨유 이적이 더 나아 보이네요
MiguelCabrera
17/04/21 07:47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1476 [질문] 대기업 협력업체(용역)에서 아주 X같은일을 당했습니다.어떻게 해야?? 선동가2217 17/04/22 2217
101475 [질문] 미니오븐 레시피 질문 [3] 레이스티븐슨2181 17/04/22 2181
101474 [질문] 최저시급 8000원이면 사업주가 망할 가능성이 높나요? [27] 사쿠라기루카와4903 17/04/22 4903
101473 [질문] 제갈공명 같은 사람을 직접 본 적 있으신지요...? [4] nexon3294 17/04/22 3294
101472 [질문] 근무환경을 알고 싶습니다 [10] 빅푸우4787 17/04/22 4787
101471 [질문] 고졸 검정고시 수학 대비를 위해 필요한 중학수학 공부량 질문입니다. [3] 조조1706 17/04/22 1706
101470 [질문] [하스스톤] 어떤팩을 구매해야 하나요? [7] 다미3090 17/04/22 3090
101469 [질문] 지금 7700k CPU 구매는 별로일까요? [7] Ahri3245 17/04/22 3245
101468 [질문] 아기가 보챈다는게 어떻게 하는 걸 말하나요? [4] habsburg1954 17/04/22 1954
101467 [질문] 조카(20개월) 어린이날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살려야한다2274 17/04/22 2274
101466 [질문] 문과 컴알못이 조립 견적 질문드립니다. [4] 행복을 찾아서2394 17/04/22 2394
101465 [질문] 예전에 같이 했던 유저의 오버워치 배틀태그를 알 수 있나요? [2] 나율1842 17/04/22 1842
101464 [질문] 박지성 선수는 맨유에서 주전이라고 볼 수 잇엇나요? [36] 아끼자8713 17/04/22 8713
101463 [질문] 50대 남자 화장품(아버지 선물) [2] 71억4017 17/04/22 4017
101462 [질문] 관절 통증에 좋은 음식, 영양제가 있을까요? [3] 오렌지망고1773 17/04/22 1773
101461 [질문] 프리싱크로 롤 문의 1q2w3e4r!3030 17/04/22 3030
101460 [질문] [LOL] 마스터리 3번째줄을 1/4 4/1 이런식으로 찍는 이유가 뭔가요? [20] 지수3797 17/04/22 3797
101459 [질문] 노트북 알지 못하는 사람의 질문입니다. [7] 신이주신기쁨2747 17/04/22 2747
101458 [질문] 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참글2317 17/04/22 2317
101457 [질문] 윤식당 같은 예능은 어디까지 '리얼'이라고 생각하세요? [17] 도연초5506 17/04/22 5506
101456 [질문] 갑자기 블루스크린이 뜹니다 [4] 이워비2096 17/04/22 2096
101455 [질문] 집안청소 업체써보신분 질문드립니다. [5] 동네형2915 17/04/22 2915
101454 [질문] 4K 60Hz로 게임 원활하게 즐기기 위한 CPU/글카 최소 사양이 어느 정도일까요? [8] giants6743 17/04/22 67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