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4/11 14:09:36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4/11 14:16
수정 아이콘
세금을 소비자가 전부 부담하지는 않습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각각 부담하게 됩니다. 간접세를 직접세로 부과해도 조세의 귀착은 같습니다. 그 비율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의 영향을 받습니다.
17/04/11 14:18
수정 아이콘
소비세가 부가가치세아닌가요? 따로 소비세란 게 있는지를 모르겠네요.
그러나 생산자가 결국에는 이 세금을 국가에 내야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생산자에게 냈으나 그것은 생산자것이 아니고 국가가 가져가는 것인데 생산자가 잠시 맡아두는거죠.
17/04/11 14:4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가 '내국'소비세의 일종이죠.
17/04/11 16:08
수정 아이콘
넵 요새말로는 국내소비세라고 하지 싶습니다. 같은 말인 것같네요.
opxdwwnoaqewu
17/04/11 14:26
수정 아이콘
1. 생산자의 입장

1)부가세가 없을때
제가 1억원어치 재료를 사서 2억원어치 물건을 만들어 팝니다
그럼 1억원이 남죠?

2)부가세가 있을때
1억원어치 재료를 부가세를 주고 1억1천에 삽니다
2억원어치 물건을 팔아서 2억2천만원을 받습니다
그럼 제 수중에 1억1천이 남아있죠?
소득신고하면서 1억1천사고 2억2천 팔았으니
1억1천을 벌었구나 부가세10%내렴 하고 1천만원짜리 고지서가 날아옵니다
그걸 내면 1억원이 남죠?
부가세 없던때와 똑같죠?

2. 소비자의 입장
물건을 사면 10% 비싸게 사죠?
그 돈이 생산자에게 가서 국가가 세금을 떼죠?
결론은 소비할때 낸 10%를 국가가 가져가는 소비세였네요
17/04/11 14:33
수정 아이콘
전 기업의 매출 매입를 소득세 걷기 전에 공개시켜서 세수를 좀 원활히 걷기 위한 방식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정부기관, 정책, 조직, 제도는 그냥 역사적으로 있으니까 있는 경우가 많죠..
사실 부가세 없애고 소득세 3개월마다 걷게 시키고 연말정산하듯 소득세, 법인세 할때 정산해도 크게 문제는 없을듯하네요(총세수는 동일하게 유지한다는 가정하에)
17/04/11 14:5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이유도 있고 추가로 '간접세'의 조세저항이 직접세보다 적다는 이유도 있구요.
부가가치세를 없애고 소득세를 주기적으로 징수하는 방식은 (납세자의) 납세협력비용 및 (정부의) 조세행정비용이 과도해져서 어렵습니다.
17/04/11 16:36
수정 아이콘
세금은 사회가 만들어질 때부터 있었던 세금같은 존재죠.
그런데 말입니다. 생각을 해보면 과거에는 지금처럼 세금을 걷는게 가능했을까요.
소득세 증명하고, 신용카드 쓴거 공제해주고.....
절대 못합니다.

세금을 거두는 방법론 중에 중요한 것은 그 세금을 거두면서 얻을 수 있는 부의 재분배 효과, 세금 부과로 인한 부작용 최소화 등도 있겠지만 '편의성'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너무 어렵거든요. 오늘날같이 기술이 발달하고 행정력이 높은 사회에서도 수많은 탈세자들이 존재하는데 과거에는...
한가지 생각난 세금 관련 재밌는 점은 관세 같은 것들 비중이 과거로 갈 수록 커진다는 겁니다. 그 이유가 관세는 세금을 거두기가 매우매우 쉽기 때문이거든요. 무역할 항구 몇개 지정해서 사무소랑 사람들 몇명 가져다 놓으면 대부분 통제할 수 있거든요.
17/04/11 22:37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합니다. 소비세면서 행정 편의 차이가 큰거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897 [질문] [스타1] 투혼과 서킷중에 어느맵을 더 선호하시나요? [13] 시비르6467 17/04/11 6467
100896 [질문] 혹시 일본 여행 중이신 분중 일회용카메라 구매 가능하신분 부탁드려도 될까요? [2] 람보르기니2703 17/04/11 2703
100895 [질문] 차사고를 당했습니다 보험처리관련 질문드립니다 [5] 해피바스2144 17/04/11 2144
100894 [질문] 연세대에 외국인커뮤니티나 외국인들 자주 접하는 게시판 있나요? [6] 풋사과2857 17/04/11 2857
100893 [질문] 서울 종로구/중구 근처에 롤챔스 결승전 볼만한 장소 아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하얀갈매기2672 17/04/11 2672
100892 [질문] 아침 출근길 광교에서 서울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2] 은은한페브리1871 17/04/11 1871
100891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이장님2484 17/04/11 2484
100890 [질문] [하스스톤] 비성핀자 질문입니다 [8] 재입대2015 17/04/11 2015
100889 [질문] 데스크탑 견적낸 것 평가 부탁드립니다. [3] 10년째학부생2784 17/04/11 2784
100888 [질문] 자동차사고 관련 보험(차값<수리비) [완료] [11] 주여름2692 17/04/11 2692
100887 [질문] 드라이클리닝 가격 비싼건가요? [6] 기다28457 17/04/11 28457
100886 [질문] 콜라중독일까요? [14] kongkaka5547 17/04/11 5547
100885 [질문] . [9] 삭제됨4192 17/04/11 4192
100884 [질문] 다알못인데 스팀다리미 사서 잘 쓸 수 있을까요? [7] 삭제됨3077 17/04/11 3077
100883 [질문] 게임용 안드로이드 태블랫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어빈2241 17/04/11 2241
100882 [질문] 카메라 포커스 잘 맞추는 법 있을까요? [8] 칼퇴추구자2358 17/04/11 2358
100881 [질문] 다이어트 잘하고 있는지 봐주세요~ [1] OneDayMore2195 17/04/11 2195
100880 [질문] 3살 딸과 도쿄여행 조언 부탁드립니다. [14] 시오리2590 17/04/11 2590
100879 [질문] 쿼드비트3 어떤가요 [2] EPICA2094 17/04/11 2094
100877 [질문] 봉고3 넥센타이어로 교체할려고 합니다. [5] 회전목마2223 17/04/11 2223
100876 [질문] 대전/액션 게임에서 사이토라는 분이 유명한가요? [2] 삭제됨2720 17/04/11 2720
100874 [질문] 테란 건물 수리할 때 SCV로 건물 연타하면 더 빨리 수리하나요? [17] 모커리5214 17/04/11 5214
100873 [질문] 외국인이랑 함께 갈만한 서울 여행지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3] 새롭게시작3031 17/04/11 30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