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30 09:21:54
Name _zzz
Subject [질문] 회식때 소고기 잘 굽는 팁 있나요?
뻘질문인데요...
회식때 소고기 잘굽는 팁있나요?
자주는 아니더라도 가끔 먹게되는데..

1. 그냥 센불에 겉에만 살짝 익힌다
2. 사람수에 맞춰서 적게올려서 관리를 강화한다

이정도는 아는데 뭐 세부적인거는 모르겠네요.

사실 집에서는 요리도 곧잘하는 편이라 밑간도하고 스테이크도 잘 구워먹고 그래서 아예 소고기를 모르는건 아닌데
회식하면서 고기먹으면은 따로 뭐 특별하게 잘 먹었던 적이 없던것 같아서요..

오늘 간만에 조촐한 인원으로 소고기집 회식이 예정되어 있는데 잘 먹을 방법 없을까요?
부위도 추천해주시면 좋쿠요. (전 집에서는 갈비살이 좋더라구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빠니쏭
17/03/30 09:25
수정 아이콘
소고기는 토시살 미만 잡이죠
순규성소민아쑥
17/03/30 09:30
수정 아이콘
살치살 무시하시면 천벌을 받습니다!
알팅이
17/03/30 09:37
수정 아이콘
살치 아닙니까? 살치가 갑이시다!
바닷내음
17/03/30 09:29
수정 아이콘
3. 계속 반복해 뒤집지마시고 적당한 시간을 두고 한번만 뒤집습니다. 정 타이밍을 모르겠으면 살짝만 들춰서 색을 본후 뒤집습니다.
부위는 총알만 있으면 불변의 진리 살치살이죠...
17/03/30 09:31
수정 아이콘
전 그냥 창고나 민소처럼 구워주는 곳이 편한거 같아요...
굽는 사람이 피곤해져서
유유히
17/03/30 09:34
수정 아이콘
사실 어려운 자리라면, 고기를 맛있게 굽는 것보단 액션이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보통 최고의 맛을 위해선 고기는 딱 한번 뒤집는건데, 보통 그러기 위해서 기다리고 있으면 누군가가 옆에서 뒤적뒤적 하면서 뭔가 하는듯한 액션(;)을 취하면 저는 멍때리는 무개념 후배가 되더군요.

편한 자리라면 맛을 위해서 딱 한번만 뒤집으시고, 고기를 익히는 게 아니라 양쪽 면을 단단하게 해서 육즙을 코팅한다는 마음가짐으로 굽는 것이 맛을 위한 길입니다.
17/03/30 09:36
수정 아이콘
한사람당 두젓가락 먹을 양만 올려서 핏기만 가실때 까지 굽고 2점씩 돌리면서
더 익혀 드실분은 조금더 구워서 드세요 ~ 합니다
그리고 저도 갈비살이 좋더라구요
덴드로븀
17/03/30 09:51
수정 아이콘
1. 가장 먼저 같은 테이블에 앉은 사람들의 소고기 먹는 취향을 물어본다
2. 고기 두께가 얇은 경우 판에 잘 들러붙기 때문에 붙는 상황을 보며 재빨리 뒤집는다. (안심도 초반에 잘 들러붙는다)
3. 일반적인 등심은 적당히 시간을 두고 미디움레어로 만든다는 느낌으로 최소한으로 뒤집으며 혹시라도 더 익혀먹는 사람이 있다면 그사람것만 따로 구분하고 됐다싶으면 한조각을 반으로 잘라서 내부에 약간 빨간기운이 돌고있는지 확인후 먹으라고 한다.
4. 등심60% - 안심20%- 갈비/살치(20%) 정도 코스로 먹는게 안정적이다. (예산이 없으면 그냥 등심만 주구장창 먹는다)
17/03/30 09:51
수정 아이콘
등심이 최고 아닙니까!!
딱 핏기 올라올때 뒤집고 반대쪽 핏기올라올때 뒤집으면 됩니다!
shadowtaki
17/03/30 10:21
수정 아이콘
이거 원래는 '육즙이 올라오면 뒤집니다.' 아닙니까?
17/03/30 10:45
수정 아이콘
살려주세여....
김호레이
17/03/30 12:15
수정 아이콘
부장님 어여 식사하세요...
정지연
17/03/30 09:52
수정 아이콘
숯불이고 망으로 된 불판은 큰 상관은 없지만 금속판으로 된 불판일 경우 불판이 얼마나 달궈졌는지부터 확인하는게 중요합니다. 손을 올렸을때 뜨겁다고 느껴지거나 작은 고기 조각을 올려봤을때 치익하는 소리가 경쾌하게 나면 적절한 온도라고 보면됩니다.. 낮은 온도에서는 육즙을 가둘수 없어서 맛있게 구울 수 없습니다..
고기를 올리고 난 후엔 자주 뒤집지 말고 고기 윗면에 물기가 올라오기 시작할때 혹은 구운면이 약간 딱딱하면서 갈색이 되는 정도까지 구워졌을때 뒤집습니다..
한번 뒤집고 나서 반대쪽도 비슷한 정도로 구워졌을때 자르고 먹으라고 하면 됩니다.. 보통 고기집에서 나오는 두께면 이정도만 해도 속에 약간 붉은 부분이 보이는 정도에서 익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먹는 속도에 맞춰서 고기 올리는 양을 정해야 하고요. 금속판일 경우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을 올리면 불판이 온도가 팍 떨어지니 기껏 맞춰놓은 온도가 의미가 없게 됩나다..
17/03/30 10:25
수정 아이콘
소고기는 육회, 육사시미로 먹어도 맛있기 때문에 대충 구워도 맛있습니다. (너무 굽지만 않으면...)

부위는 갈비살 50%이상 지방 많은 부위 50%이하로 섞어 먹는걸 추천드립니다.
17/03/30 10:29
수정 아이콘
뭐 핏기가 살짝 가실정도만 굽고... 뒤집는건 1-2 회만..
17/03/30 10:37
수정 아이콘
한번에 많이 올리면 안되고, 1인당 한조각씩 조금만 올려 핏기가 살짝 가시면, 소금만 살짝 찍어서 고기 한점에 소주 한잔 공식을 충실하게 지켜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집게를 잡은 사람은 내가 먹겠다는 마음을 내려놓고 소고기의 완성도를 추구하는 장인의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소고기는 정성입니다.
관지림
17/03/30 15:14
수정 아이콘
은근 댓글 웃기네요 크크
17/03/30 11:01
수정 아이콘
얇은거는 정말 금방이기때문에 눈을 떼시면 안되고 저는 위에 육즙이 그렁그렁 맺히면 뒤집습니다 그리고 좀 두께가 있는걸로 봤을 때 옆면에 익은부분이 반정도 올라오면 뒤집습니다 그렇게 또 반을 뒤집어 먹습니다
이성경
17/03/30 11:24
수정 아이콘
핏물이 올라오기 시작하면 한 번만 뒤집으세요.
이워비
17/03/30 12:01
수정 아이콘
많이올리지마시고
미디움수준쯤 구워지면 판위에 상추세장 올리시고 그위에 올려두세요
어짜피 회식에서 소고기굽기 신경쓰는사람 별로없고 그런사람들은 자기가 알아서 먹어요.
막내가 할건 너무질겨지지않은 소고기를 상사가 언제든 집어먹을수있게 해두는거니까요.
어처구니
17/03/30 15:43
수정 아이콘
불판 달군후 비스듬히 세워서
고기를 위쪽에 올린후 아래쪽으로 굴립니다...
소고기는 색깔 변하면 먹는거 아닙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504 [질문] 5월 연휴 휴가를 쓸지 말지 고민입니다 [19] 칼퇴추구자3178 17/04/04 3178
100503 [질문] 투블럭 커트 망했는데 복구방법 있나요? [10] 피스~16516 17/04/04 16516
100502 [질문] 초등학생 선물용 컴퓨터 견적 문의합니다. [29]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3696 17/04/04 3696
100501 [질문] LG올데이그램, 삼성 올웨이즈9 고민입니다. [22] IcedAmericano5218 17/04/04 5218
100500 [질문] 스타1 유닛생산할때 사운드 이해가 안가네요 [5] purun2708 17/04/04 2708
100499 [질문] 아프리카 아동 후원 단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4] Koscielny3532 17/04/04 3532
100498 [질문] 삿포로오사카도쿄 10박vs 오사카도쿄 9박 [14] Red Velvet4229 17/04/04 4229
100496 [질문] PS4 Pro와 UHD TV 문의 [5] 숨결3806 17/04/04 3806
100495 [질문] 인천 근교 맛집 문의 [5] 전력질주3535 17/04/04 3535
100494 [질문] 19)성인용 소설 연재하려면 어디가 좋을까요? [16] 하고싶은대로11461 17/04/04 11461
100493 [질문] 부동산 영업직(??)에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7] DeStinY....5759 17/04/04 5759
100492 [질문] 이번 하스스톤 운고로 어때보이시나요? [16] 불같은 강속구3995 17/04/04 3995
100491 [질문] 경우의수 질문입니다. 아마도 중복조합과 관련이있는것 같습니다. [3] ski~2563 17/04/04 2563
100490 [질문] 여자친구를 미친듯이 좋아하다 보니 서운한 마음이 들때 [16] K515736 17/04/04 15736
100489 [질문] 아이오페 맨 에어쿠션 바른 후 클렌징에 대해 질문드려요 [6] 사구삼진3304 17/04/04 3304
100488 [질문] 정장(기성복)브랜드 추천 좀 해주세요 [9] 어른이유4769 17/04/04 4769
100487 [질문] 더 추가해야할 영양제가 있을까요? [15] cs3846 17/04/04 3846
100486 [질문] 지금 현재 통장 잔고를 가지고...??? [30] 표절작곡가4336 17/04/04 4336
100485 [질문] 롤 마법공학상자 질문입니다. [4] 바람이분다3171 17/04/04 3171
100484 [질문] 주식 재미로 해볼만할까요? [18] 나른한오후5397 17/04/04 5397
100483 [질문] 카페 오픈 초기에 보유해야할 기자재들 수량파악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8] seotaiji3219 17/04/03 3219
100482 [질문] 서울 내 엠티장소 추천해주세요. [6] 기다3330 17/04/03 3330
100481 [질문] 저도 직장 이직 고민입니다.. [4] 해피팡팡3711 17/04/03 37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