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29 00:08:50
Name OPS
Subject [질문] 문명5 왕초보 질문입니다! (다시 작성)

좀전에 제가 실수로 선거 게시판에 글을 작성했네요... 죄송합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다시 작성했어요.

얼마 전 다이렉트 게임즈에서 문명5 컴플리트 팩(멋진 신세계 확장팩까지!)을 할인해서 구입했습니다. 말로만 듣던 문명 시리즈를 그렇게 처음 입문하게 됐고, 재밌게 즐기고 있는데요.. 하다보니 왜 그렇게 사람들이 문명문명하는지 알게 되겠더라고요. 그런데 게임이 좀 신경쓸 곳도 많고 복잡한 게 있다보니, 시리즈를 처음 접해본 초보 입장에서 어렵고 잘 모르는 게 몇 가지 생겨서.. 질문글 올립니다.


1. 전쟁광, 해방

전쟁을 하다보면 '이 도시를 점령하면 상당한 양의 전쟁광 페널티를 얻습니다' 또는 '이 도시를 해방하면 가벼운 해방 보너스를 얻습니다' 같은 메세지가 있는데요.  다른 문명과 외교화면에 가면 피에 굶주린 사람 같다느니 그런 소리할 때가 있긴 하던데, 이런 것 말고 구체적으로 아니면 간접적으로라도 내 전쟁광 수치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그리고 해방이나 멸망한 문명이 재건되는 조건을 정확히 제가 알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A문명이 B문명의 도시를 빼앗아서, 제가 A문명과 전쟁을 해서 그 도시를 해방시켜서 B문명에게 돌려주려면 도시가 항전 상태일때만 가능한 건가요? 그리고 멸망한 문명을 재건시켜주려면 멸망한 문명의 원래 수도를 다시 찾아야 하나요? 아니면 멸망한 문명의 마지막 도시였던 곳을 다시 찾아야 하나요?


2. 불멸자, 신 난이도 팁

시대는 가장 처음부터, 나머지 모든 옵션은 랜덤으로 하는 걸 좋아합니다. 처음에는 더 낮은 난이도에서도 고생했는데 이제 황제(6) 난이도까지는 할 만한거 같은데, 불멸자(7)나 신(8)난이도는 꽤 어렵네요.. 잠깐만 신경팔면 쳐들어와서 약탈하는 야만인들은 왜 이렇게 센지, 이것저것 신경쓰다보면 좋은 불가사의들은 컴퓨터가 다 가져가고, 어영부영 발전하다보면 꼭 하나씩 안드로메다처럼 강해지는 문명이 나오던데 과학력이나 군사력 차이가 나서 전쟁으로 따라잡기도 힘들고..

공부 잘 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운동 잘 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뭐 이런 류의 질문같아서 좀 그렇긴한데, 문명5 초보가 불멸자나 신 난이도에서 좀 쉽게 게임을 운영하려면 어떤 점이 중요한지.. 스타팅 위치 고르는 팁이라든지, 아니면 초보자가 고난이도에서 쉽게 할만한 종족/운영 추천같은거라든지.. 초보자에게 도움 될만한 팁이나 알아야 할 게 있다면 무엇이든 도움! 부탁합니다.


3. 이념을 선택했을 시, 다른 이념을 선택하기를 바라는 여론으로 인한 행복도 감소

행복도... 행복도... 정말 가끔은 너무 싫어지는 수치인데요. 사회정책이나 이념에서 행복도 보너스를 얻을 수 있는게 많아서 문화수치나, 빠른 이념선택에 신경을 쓰는 편인데 이념을 선택하고 나면, 국민들이 다른 이념을 선택하길 바라는 여론이 많다면서 행복도가 쭉쭉 떨어지는 경우가 생기더라고요. 이 경우는 왜 그런 건가요? 제가 이념을 잘못 선택해서 그런건지, 다른 이념으로 바꿔야 불만이 가라앉는건지.. 아니면 다른 해결책이 또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개곰
17/03/29 03:22
수정 아이콘
크크 문명하셨군요. 저는 개인적으로 신난이도는 재미없어서 안합니다. 뭔가 게임을 하기보다 문명 AI의 시스템적인 약점만 찾아서 공략하는 느낌? 6난이도는 불가사의 내키는대로 짓고 하고싶은대로 해도 이기고, 7난이도는 좀 머리쓰면서 해야하는것 같아요.

스타 빌드오더처럼 나름 정착된 초반 운영법이 노멀 스피드 기준으로 100턴까지 전통 열고 도시 4개 + 국립도서관 건설인데요, 판마다 다르겠지만 초반에 무리하더라도 개척자를 뽑는게 핵심입니다. 주로 4번째 도시에는 타 문명들이랑 친구먹고 사치자원 판 돈으로 도서관 현질하는게 가장 편합니다. 높은 난이도에서 캐러밴 보내면 골드+우호도 뿐만 아니라 과학까지 들어와서 유용해요. 그리고 7단계 이상에서는 대부분의 초중반 불가사의는 포기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굳이 먹어야 한다면 AI 선호도가 낮은 오라클 정도?
이기기 편한 문명은 내정하실거면 한국/바빌론/마야, 전쟁하실거면 영국, 그냥 모든게 사기인 폴란드 추천합니다.

이념은 문화력 높이고 상대 문명에 대한 나의 관광력을 높이면 선택한 이념에 대한 불만도가 줄어드는데요, 길드 일찍 지어서 소설가랑 화가들 갈아넣는게 편하지만, 신난이도에서는 그냥 초반 선점 보너스 버리고 관광력 높은 우호 문명 따라가는게 편합니다. 어차피 먼저 우주선 띄우거나 밀어버리면 그만이라서요.

아, 그리고 스타팅 노가다 조금 하시려면 소금 있는 스타팅이나 광산 지을수 있는 사치 자원 있는 스타팅이 가장 좋습니다. 광산을 지으면 생산력이 딸려와서 초반에 훨씬 편합니다. 소금 많은 스타팅 나오면 난이도 하나 내려서 한다고 보시면 돼요. 아무튼 소금 짱짱맨. 그리고 첫 턴에 개척자를 평지에서 언덕으로 옮겨서 정착하시면 도시 세우자마자 2식량/2생산이 떠서 첫 정찰병 짓는데 3턴이 줄어듭니다~
17/03/30 00:09
수정 아이콘
잘 참고해서 해보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185 [질문] 삼겹살이랑 궁합이 맞는 식재료추천 부탁드립니다. [29] 삭제됨2741 17/03/29 2741
100184 [질문] 요즘 은행 예금통장 개설하려면 뭐뭐 필요한가요? [3] 光海2245 17/03/29 2245
100183 [질문] 컴퓨터 메인보드에 관한 질문입니다. [23] 산타의선물꾸러미3576 17/03/29 3576
100182 [질문] 질적 연구를 수행할 pc 소프트웨어 질문 언어물리1828 17/03/29 1828
100181 [질문] 다들 독립은 어떻게 하셨나요? [7] Hyun.2963 17/03/29 2963
100180 [질문] 아두이노로 전등을 제어해보고 싶습니다. [1] 자마린2245 17/03/29 2245
100179 [질문] 학자금 대출 개인 회생이 답일까요? [3] MagicMan3946 17/03/29 3946
100178 [질문] 바이클 머신으로도 뱃살 빼는데 도움 되나요? [6] 라이네르2210 17/03/29 2210
100177 [질문] 오사카 난바역에 붙을 안내문 한국어 번역 한번 더 도움요청드립니다! Cristiano Ronaldo2147 17/03/29 2147
100176 [질문] 강원도에는 왜 교동이라는 이름이 붙은 동이 있는 시가 많나요 [4] 매벌이와쩝쩝이2487 17/03/29 2487
100175 [질문] 스1 유닛 교전실험 도와주실 pgr러 계신가요? 드라군1마리 vs 히드라2마리 [5] 레스터2759 17/03/29 2759
100174 [질문] HMAT 2일만에 가능한가요? [5] Genius2137 17/03/29 2137
100173 [질문] 건대 데이트코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3] 호리 미오나2626 17/03/29 2626
100172 [질문] 문명5 왕초보 질문입니다! (다시 작성) [2] OPS4147 17/03/29 4147
100171 [질문] 맞고 vs 하스스톤 [13] 설아2675 17/03/28 2675
100169 [질문] 이직시 헤드헌터 꼭 써야하나요? [4] 달콤한인생3462 17/03/28 3462
100168 [질문] 술 마시면 얼굴 하얘지는 분 있으신가요...? [12] nexon20661 17/03/28 20661
100167 [질문] [LOL]일라오이 상대법? + 카운터? [20] 레이오네12382 17/03/28 12382
100166 [질문] 스1 프로토스 쉴드도 소/중/대 적용을 해주면? [21] ComeAgain3120 17/03/28 3120
100165 [질문] 웃긴 움짤 많은 곳 없을까요? 그래요2674 17/03/28 2674
100164 [질문] 게임할때 화면이 깜빡거립니다. Broccoli3697 17/03/28 3697
100163 [질문] 수험생의 체중... [16] 거자필반3593 17/03/28 3593
100162 [질문] 스마트폰 구입 질문입니다. [5] 리노2172 17/03/28 21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