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3/11/07 22:13:26
Name 로쏘네리
Subject [기타] [기타] 언어랑 수학도 나왔으니.. 올해 영어B형 가장 어려웠던 정답률 21%짜리 문제.



35번 문제 정답률 현재 메가스터디 기준 21%로 가장 어려웠던 문제입니다.

이정도 수준 문제가 3문제 연달아 나왔다고 하니 학생들 시험장 체감 난이도가 상당했을 것 같네요.
나머지 2문제는 각각 정답률이 30% 초반입니다.

근데 이거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만 공부해도 풀 수 있는게 맞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11/07 22:14
수정 아이콘
순간 텝스문제 보는줄 알았네요.
13/11/07 22:15
수정 아이콘
??????????
13/11/07 22:15
수정 아이콘
몇년사이에 단어 난이도가 엄청 올라갔네요
Liberalist
13/11/07 22:16
수정 아이콘
아무리 봐도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만으로는 택도 없을 것 같은데요.
왠지 지문 길이만 조금만 더 늘려서 TEPS 독해 파트에 갖다 붙여도 별로 위화감이 없을 것 같은 문제네요.
Deus ex machina
13/11/07 22:16
수정 아이콘
단어부터가 헬이네요;
나름 2년연속 외국어 만점이었는데...
닉네임좀정해줘여
13/11/07 22:16
수정 아이콘
답 1번 맞나요? 몇 년 전부터 외국어 최고 난이도 문제는 항상 어려웠던 터라...01학번인데 고등학교 통틀어 영어 시험 딱 한문제 틀려봤는데 최근 영어 문제들은 너무 어렵더라고요.
아라리
13/11/07 22:16
수정 아이콘
동생아 고생많았다
이런 외계어들을 보고왔구나 ..
13/11/07 22:17
수정 아이콘
몇번이에요 답이?크크크
참룡객
13/11/07 22:19
수정 아이콘
2,3,4,5번이 아닌거같아서 1번같긴한데...
한번 읽고는 지문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힘드네요.
토죠 노조미
13/11/07 22:20
수정 아이콘
3같은데 자신이 없네요. ㅜ
토죠 노조미
13/11/07 22:20
수정 아이콘
라고 봤는데 1같네요;;

5라는데 둘 다 틀렸군요 하하하하
Piltover
13/11/07 22:20
수정 아이콘
답 5번이라네요 어허허허허 멘붕
토죠 노조미
13/11/07 22:21
수정 아이콘
답을 알고 보니 말이 맞아 떨어지는 것 같네요 어허허허
참룡객
13/11/07 22:23
수정 아이콘
멘붕이네요...
진리는나의빛
13/11/07 22:21
수정 아이콘
EBS반영하고 나서는 쩌리문제 40개 정도는 외운걸로 풀고 저런 3점 빈칸은 개당 5분씩 잡고 풀어야합니닼
오빠나추워
13/11/07 22:22
수정 아이콘
문제가 안적혀 있으니 정답률 21%? 주제를 묻는거 맞나요?
닉네임좀정해줘여
13/11/07 22:23
수정 아이콘
답을 알고 보니 보기 5번이 대충 무슨 뜻인지 해석이 되는군요.
문재인
13/11/07 22:23
수정 아이콘
영어에서 난이도 격차를 확 벌려놓으니
개천에서 용나기 더 어렵다죠?
하카세
13/11/07 22:23
수정 아이콘
진짜 요거 보는 수험생들은 10년만 일찍태어났을걸 싶긴 하겠네요 -_-; 옛날수능이랑은.. 어휴..
적토마
13/11/07 22:23
수정 아이콘
답은 3번이네요.
변수박
13/11/07 22:23
수정 아이콘
5번인 것 같네요. 일반인 상대로는 수학을 적게 쓰고 모호하게 접근하게 되는데 수학이 과학자 간 언어라는 식이니까, 자신을 과학자로 규정하는 지식을 줄인다...는 거겠죠?
無의미
13/11/07 22:23
수정 아이콘
5번.. 맞긴했네요. 논지를 보면 저거 말고는 딱히 고를게 없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네요.
천산검로
13/11/07 22:24
수정 아이콘
5지선다 문제 정답률이 20퍼센트..
참룡객
13/11/07 22:29
수정 아이콘
찍으나 풀으나 똑같으니 안푸는게 더 낫습니다?
적토마
13/11/07 22:26
수정 아이콘
이게 5번이라니!!!!!!!!!!!!!!!!! 말도안돼 크크크 code of intellectual conduct가 갑자기 쌩뚱맞게 왜 튀어나오죠? 전체 문단이 수학와 과학의 공존관계를 서술하고 있는데;;; 역시 머리는 5번인데 가슴은 3번을 외치고 있다고 쓰려 했건만... 이런식이면 시험이 참 난감하겠네요.
토죠 노조미
13/11/07 22:29
수정 아이콘
크크크 저도 그래서 문제가 더럽게 꼬아 놓였다고 느꼈습니다. 말 그대로 지엽적인 부분을 집고 있으니까요 크크크.
13/11/07 22:27
수정 아이콘
답을 알고보면 이해가 가긴 하는데...
처음에 모르고 보니까 숨이 턱 막히네요. 수능영어의 수준이 덜덜덜 하네요.
Rainymood
13/11/07 22:32
수정 아이콘
요즘 애들 토익은 껌이겠네요.
13/11/07 22:33
수정 아이콘
올해 임용시험에 일반영어 파트에 저 지문 그대로 나왔어도 괜찮았을 정도의 난이도인 것 같네요
역으로 말하면 저걸 수험생이? 덜덜덜
Holy shit !
13/11/07 22:33
수정 아이콘
제가 학교 다닐때 중학교떄 ABCD 배웠는데...
요즘 애들은 3살때부터 영어를 배우더군요.
발라 모르굴리스
13/11/07 22:35
수정 아이콘
영어 B난이도 정신나갔죠 한번은 모의고사 최저정답률 문제를 토익 970점 맞은 사람이 두번 틀리는거보고 기겁했슴다
칸나바롱
13/11/07 22:39
수정 아이콘
제가 오늘 치고 왔는데요 체감상 저거 밑에 있는 문제가 더 어려웠습니다...-_-; 밑에 보기로 힌트 안줬으면 밑에 문제가 더 어려웟을거예요..
타츠야
13/11/07 22:44
수정 아이콘
밑에 문제도 궁금하네요. 볼 수 있는데가 있나요?
칸나바롱
13/11/07 22:56
수정 아이콘
링크 걸줄은 몰라서.. 영어 비형 36번문제 입니다 :)
타츠야
13/11/07 23:0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구글링해볼게요~
yurilike
13/11/07 22:39
수정 아이콘
학생 전체적인 수준이 올라갔다면 문제 난이도가 올라가는게 맞는것 같기도 해요.
치탄다 에루
13/11/07 22:41
수정 아이콘
답은 열심히 보니까 대충 알겠는데, 저 문단이 왜 저러는지 도저히 이해가 안되네요. 영어가 아니라 상식과의 충돌이 일어나는 문제였습니다. 뭥미?
13/11/07 22:45
수정 아이콘
전체적 글의 구조는, 과학자는 수학적 엄밀성에 기반하여 논리를 펼쳐나가는데 그걸 대중들에게 강연하게 되면 수학적 엄밀성을 버리게 됩니다 즉, 대중들의 언어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모호함과 두루뭉술함이 추가되는것이죠. 이 부분이 (5) 과학자를 과학자 답게 만들어주는 지적 엄밀성을 깨버리는거죠
13/11/07 22:43
수정 아이콘
와 장난 아니게 어려워졌네요.. 이제 방심하면 틀리겠네요 -_-;;
타츠야
13/11/07 22:43
수정 아이콘
5번인데 "자신을 과학자로 정의할 수 있는 지적행동 규정을 어기게 되었다"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여기서의 code는 지침, 규정, 규칙 등의 의미입니다.
When science speaks to others 이후만 보면 오히려 더 쉽습니다. 과학은 과학 그 자체이지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필요가 없는데 불라 불라.
문제 수준이 확실히 예전보다는 어렵네요.
13/11/07 22:46
수정 아이콘
뭐야 해석은 별로 어렵지 않은데? 했다가 보기가... 보기를 저따위로 내면 당연히 맞출 수가 없죠. 해석하면 뭐하나요 정답지문들이 전부 아비규환인데...

저도 3번했는데 틀렸네요.
13/11/07 22:49
수정 아이콘
그런데 또 수능식(?) 문제 풀이로 풀지 못하는 문제냐? 그건 아니거든요
뒷 한두문장만 읽으면 답이 바로 나와요 크크크크
타츠야
13/11/07 22:51
수정 아이콘
그쵸 저도 위에 썼지만 수능 영어는 미괄식이 많습니다. 시간 없거나 어려우면 차라리 문제의 앞뒤 문장 몇 개만 보고 푸는게 낫습니다.
토죠 노조미
13/11/07 22:53
수정 아이콘
맞아요 저 문제는 앞에 있는 거는 전부 그냥 설명이더군요. 뒤의 한 두문장만으로 풀 수 있긴 합니다 크크크
王天君
13/11/07 22:59
수정 아이콘
영문과인데 틀렸네요. 공부 좀 해야겠다 정말;;
케이건
13/11/07 23:09
수정 아이콘
전 도대체 미국에서 학교를 어떻게 다니는 걸까요크크 ㅠㅠ
대지의저주받은사람들
13/11/07 23:10
수정 아이콘
5번으로 귀결되긴 하는데, 좀 다소 쌩뚱맞은 느낌이 있죠. 수험생들 어려웠겠네요;; 3번은 헷갈릴 수는 있으나 될 수는 없는게, 빈칸에 들어갈 말은, 과학자들이 대중들에게 설명할 때는 (과학자들끼리 설명할 때는 수학적 용어로 정확하게 말하지만) 달라진다는 게 요니까요.
라울리스타
13/11/07 23:58
수정 아이콘
문제보고 아 이제 내가 수능도 못 푸는 놈이구나...나는 영어랑 진짜 안 친한 인간이구나 생각했는데

저만 그런게 아니었군요...

저거 아마 네이티브들 갖다줘도 꽤나 틀릴 것 같습니다. 외국어로 언어영역을 만들어 놨으니...
13/11/08 00:27
수정 아이콘
10년부터 문제가 이런식으로 나오기 시작했는데요... 바로 윗문장에 it is no longer science 밑줄 칠줄만 알면 5번은 쉽게 고르죠. 과외하던 애들한테도 이런건 해석해서 풀지 말라고 가르쳤었죠 크크
하정우
13/11/08 01:19
수정 아이콘
영어는 절대로 교과서만으로 안된다는걸 잘 보여주고 있네요 크크크
다른건 몰라도 꼭 영어 단어집은 하나 사서 외워야 된다는걸 잘 보여주는 예인듯 합니다 크크
13/11/08 01:27
수정 아이콘
이건 과학사회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군요. 사회학도라 쉽게 풀긴 했습니다만, 사전 배경이 없으면 이게 무슨말인지 헷갈리긴 하겠네요. 더욱이 제가 수능장이었다면 더욱 불안했을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92552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33840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36482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24359
502169 [게임] 던파 모바일 중국섭 6월 매출 굿럭감사206 24/07/01 206
502168 [유머] 아재력 테스트 [4] 무딜링호흡머신425 24/07/01 425
502167 [유머] 아이 발에 생긴 수상한 검은 반점이 걱정된 사람 lemma1693 24/07/01 1693
502166 [서브컬쳐] 30여년 전에 일반적인 것보다 제로가 더 좋음을 예견한 작품 [4] 된장까스1704 24/07/01 1704
502165 [유머] 어제자 슈카월드에서 나온 드립 수준 [5] Myoi Mina 3249 24/07/01 3249
502164 [기타] 좋아쓰 고양이 근황 [5] Lord Be Goja2468 24/06/30 2468
502163 [음식] 곧 나올 제로 아이스크림.jpg [29] Pika483436 24/06/30 3436
502162 [기타] [밀덕계층] 미군의 놀라운 철통기밀 [6] Lord Be Goja2011 24/06/30 2011
502161 [스타1] 김지성 상대로 21연승중인 장윤철 [7] Pika481901 24/06/30 1901
502160 [기타] 여름에만 맘 편히 할 수 있는 것 [23] 묻고 더블로 가!4824 24/06/30 4824
502159 [방송] 러시아 여성분이 한국에 와서 좋다고 느낀 점 [28] 무딜링호흡머신6530 24/06/30 6530
502158 [기타] 21년간 1억엔을 모은 일본인 [30] 껌정7596 24/06/30 7596
502156 [유머] 야드파운드법의 매력 [23] ELESIS4786 24/06/30 4786
502155 [유머] 지금 이 상황이 너무나 이상하다는 르노 직원.blind [77] 궤변9837 24/06/30 9837
502154 [음식] 현실적인 자취남의 주말 늦은 점심상 [32] pecotek5150 24/06/30 5150
502153 [기타] 참 찝찝한 상황 [17] lasd2416257 24/06/30 6257
502152 [유머] 수십 수백 명이 죽어가며 끝내 완성하는 클리셰 [31] 길갈6636 24/06/30 6636
502150 [유머] 프랑스 환경부 의원이름이 유머 [21] Croove7886 24/06/30 7886
502149 [게임] 7월의 핵심 신작들 [28] 묻고 더블로 가!6169 24/06/30 61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