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10/02 22:28:31
Name 모선
Subject [기타] [배틀그라운드] 영상으로 보는 게임 내 총기들 (4) (수정됨)
안녕하세요. 산탄총이 나랑 궁합이 맞지 않다면, SMG를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죠.
적군을 순식간에 갈아버리는 4종류의 SMG를 소개합니다.

<총기 리스트>
1편 : 근접 무기, 투척 무기, 석궁, 경기관총 (M249) https://pgr21.com/pb/pb.php?id=free2&no=62108
2편 : 권총 (R1895, P92, P1911, P18C) https://pgr21.com/pb/pb.php?id=free2&no=62112
3편 : 산탄총 (S1897, S686, S12K) : https://pgr21.com/pb/pb.php?id=free2&no=62128


-----------------------------------------------------------------------------------------------------


4. 기관단총 (SMG)
4. 1. Vector (일명 벡터)
- 일반 정보 : http://pubg.inven.co.kr/dataninfo/item/detail.php?itemcode=1803
- 연사 속도가 매우 높아 초근거리에서 성능은 우수합니다. 하지만 뒤에 나올 우지나 움프와 비교하면, 필드에 드랍율이 너무 형편없죠.
- 9월 월간 패치로 토미건이 필드에 등장하게 되면서, 45ACP탄의 활용도가 증가했고, 벡터 또한 간접 상향을 받은 셈이 되었습니다.
- 순수 성능만 따지면 초보자에게 추천을 드리는게 맞으나, 현실이 그렇지 않은 이유는 파츠를 모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 총구 파츠, 수직 손잡이, 조준경, 탄창, 개머리판을 부착할 수 있는데, 벡터를 잘 쓰려면 풀파츠가 사실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됩니다.
- 풀파츠를 하려면 파밍 속도를 높이던지, 인간 파밍을 잘 해야 합니다. 거기에 탄 소모가 극심하니 45ACP탄도 열심히 모아야 합니다.
- 최소한 대용량 탄창만큼은 무조건 있어야 합니다. 13발과 25발은 그야말로 하늘과 땅 차이니까요.
- 풀파츠를 모았다 + 집이나 담을 끼고 안전지대가 있다 + 연사 총기에 대한 제어를 잘 할 수 있다 = PROFIT!
- 관련 영상 1 : 킬 장면만 구간 재생을 하였습니다.

벡터 영상 찾기 정말 힘들었습니다 ㅠㅠ 오래된 영상이기는 하지만, 너그러이 양해를...
뒤에 나올 SKS가 영상의 주력 총기이나, SKS는 다른 영상을 추가로 준비했습니다. (저 시기에는 SKS에 손잡이를 못 붙였습니다.)

- 관련 영상 2 : 킬 장면은 3분 10초, 4분 30초, 9분 45초, 12분 30초, 21분 10초, 마지막 샷

요즘 벡터 영상 찾기 너무 힘드네요 ㅠㅠ 그래도 벡터의 교과서 같은 영상입니다.

4. 2. Tommy Gun (대개 토미건이라 말하지만, 스트리머 방송에서는 X토미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 일반 정보 : http://pubg.inven.co.kr/dataninfo/item/detail.php?itemcode=1801
- 에어드랍에서만 나오던 시절에는 꽝 후보 0순위였으나, 필드에 나오게 패치가 된 이후로는 쓸만 합니다.
- 좋다는 의견과 좋지 않다는 의견이 좀 갈립니다. 뒤에 나올 움프의 존재 때문이죠. 개인적으로 저는 움프를 선호합니다.
- 소음기, 수직 손잡이, 탄창만 부착이 가능합니다. 조준경을 달 수 없다는 점이 다소 토미건 선택을 주저하게 만듭니다.
- 반동 제어를 잘 해서 쏠 자신만 있으면, 근거리에서는 매우 좋은 총기입니다.
- 관련 영상 : 아까부터 말씀드린 월간 패치 직후에 딩셉션님의 솔큐입니다. 때마침 토미건이 등장해서 좋은 교육자료가 됩니다^^

토미건 관련 상황은 1분 10초, 3분 40초, 4분 10초, 11분 30초입니다.
그나저나 이 영상과 관련된 여담입니다만, 어짜피 청소년들도 대놓고 배그를 하니, 카카오랑 빨리 손잡은게 좋은건가 싶기도 하고...

4. 3. Micro UZI (일명 우지)
- 일반 정보 : http://pubg.inven.co.kr/dataninfo/item/detail.php?itemcode=1800
- 초보자 분들이 제일 많이 쓰게 될 SMG가 바로 9mm탄을 쓰는 우지와 움프입니다. 총기와 탄약의 필드 드랍율도 높고요.
- 극초반에는 샷건과 더불어 자신을 보호하는데 최고의 무기입니다. 샷건이 뻥뻥뻥!의 대표라면, 우지는 다다다다다다다!의 대표입니다.
- 보정기, 개머리판, 대용량 탄창까지 장착되어 있다면, 근거리에서 자신보다 에임이 약한 상대는 누구든지 갈아버릴 수 있습니다.
- 솔큐에서는 중후반까지 들고 있기가 다소 애매하나, 듀오나 스쿼드라면 팀원들과 상의 하에 계속 들고 있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 조준경을 부착할 수 없으므로, 3인칭 견착 사격은 언제나 진리입니다.
- 관련 영상 : 교전 장면은 2분 40초, 11분 10초

초반에 무기가 우지밖에 없다고 낙담하지 마시고, 잘 활용하시면 자신의 인벤토리가 점점 커지는게 느껴지실 겁니다.

4. 4. UMP9 (일명 움프)
- 일반 정보 : http://pubg.inven.co.kr/dataninfo/item/detail.php?itemcode=1802
- 배틀그라운드에서 SMG의 대표 총기를 딱 하나만 얘기하라고 질문한다면, 다들 주저없이 이 총기를 답할 것입니다.
- 초보자들에게는 제일 무난합니다. 근중거리 커버 가능하지, AR 없을 때는 준AR 역할도 하지, 파츠 모으는 재미도 있으니까요.
- 하지만 반대의 관점에서 보면, 연사력이 약하여 근접에서 밀리는 경우도 있고, 중거리 이상에서는 AR 앞에 무릎을 꿇어야 하죠.
- 움프는 그야말로 쏘는 사람의 취향에 맞냐, 안맞냐의 영역에 있는 총기인 것 같습니다. 무난해서 좋아 vs 무난한건 별로
- 관련 영상 : 교전 장면은 6분 15초, 13분 35초, 15분 40초

움프가 경기 중반부터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게임입니다. 여러분의 총기 선택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이제 이 게임의 꽃인 AR과 SR이 남았군요. 개인적으로 SR을 어떻게 써야할지 난감하긴 합니다.
저도 맨날 카구팔 들고 다니지만, 헤드샷 못 맞추거든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송아지파워
17/10/02 22:46
수정 아이콘
평소에 글 잘 봤었는데
오늘 총기사건 영상을 보고나니 배그 총소리가 다르게 들리네요ㅠㅜ 너무 무섭게 들려요
아무튼 좋은 글 감사합니다
17/10/02 22:56
수정 아이콘
현실은 너무 잔인해요. 게임처럼 총에 맞으면 아이템 먹고 금방 일어날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화염투척사
17/10/02 23:01
수정 아이콘
사실 배그 지금 400시간 넘게 하면서도 쓰던총만 쓰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렇게 모아주시니 안쓰던 총들에도 관심이 생기네요. 활용법도 좀 알것같고..
사실 샷건 성애자라 SMG는 잘 안쓰는데, 벡터만 풀파츠되면 가끔 씁니다. 뭔가 파츠모으는 재미가 있어서... -_-;;
다음편도 기대하겠습니다.
17/10/02 23:58
수정 아이콘
벡터 풀파츠 다 모으면 쾌감이 느껴지기는 합니다 크크크 그걸로 치킨을 못 뜯어서 문제지 ㅠㅠ
키리하
17/10/02 23:04
수정 아이콘
딩셉션이 가장 선호하는 SMG가 움프죠.
첫째로 9mm 구하기가 수월하고(45탄은 토미건이 출시됐지만서도 시체에서 파밍하기 쉽지 않음)
둘째로 AR의 총알 부족 상태를 좀 커버해줄 수 있는 총이라.. 완벽한 보조무기로 사용하는 거 같긴하던데
요새는 딩도 잘 안들더라고요. 일단 샷건이 짱짱인게 요새 흐름이다보니..

개인적으로 움프(벡터는 개머리판때메 제외)는 스쿼드 플레이하실 때 추천하는 총입니다.
스쿼드 해보면 초반 교전으로 인해 총알이 부족한 경우나 파츠가 부족한 경우가 종종 나오거든요.
그럴 때 대비해서는 괜찮더라고요.

토미건이 필드 드랍으로 변경될 때 딩셉션님이 이게 SMG중에 제일 나을 것 같다고 하시긴 했었거든요.
일단 장탄수가 많다는게 SMG는 꽤 장점이 될 수 있어서..
근데 집탄율이 좀 떨어져서.. 장탄수가 많은 만큼 모아 쏘기가 어렵고 도트도 없어서 애매한 느낌이긴 해요.
Mephisto
17/10/02 23:26
수정 아이콘
브레이커나 슈라우드 방송보면 움프가 샷건 잡아먹더라구요.
특히 존버 상대로 달려들면서 순식간에 조준해서 머리에 꼽아버리면 샷건쪽이 반응하기도 전에 머리에 구멍이....
앵글달아서 그런건지 뛰어서 달리다가 바로 조준으로 들어가는 시간이 엄청납니다.
심지어 에임에 반동제어가 미친수준이 되니까 중거리 이상에서 AR든 상대와도 충분히 교전이 가능하더군요.
17/10/03 00:00
수정 아이콘
덜덜덜...거의 그 정도면 움프에 있어서는 신의 레벨인데요?
17/10/02 23:59
수정 아이콘
딩셉션님이 움프를 제일 선호하는지는 몰랐네요~
키리하님 말씀대로 움프는 완벽한 보조무기 역할을 하죠. 문제는 샷건 죽창이면 너도 한방, 나도 한방인게...
토미건은 몇 번 써봤는데, 저랑은 확실히 안 맞아요.
키리하
17/10/03 08:25
수정 아이콘
예전에 방송 중에 그런 질문 받으시고 대답하는 거 들은 기억이 있거든요.
벡터는 DPS가 좋긴한데, 사정거리 + 파츠가 너무 많고 총알 파밍이 어렵다(시체에서 안나오기 때문)
토미건은 좋을 거 같았는데 도트가 없고 장탄수가 많지만 집탄율이 낮아서 좀 애매하다.
우지는 사정거리가 짧다.
고로 남는 움프가 짱!
후라이도
17/10/02 23:21
수정 아이콘
전부터 궁금하던건데, 배그하는 사람들은 저런거 대충 다 알고하는 건가요??
제가 보기엔 거의 밀덕수준의 지식을 요구하는거 같은데다, 튜토리얼도 없다던데...
Mephisto
17/10/02 23:28
수정 아이콘
체험하는거죠.
어차피 점수에 대한 압박감이 적은 게임이라 들어가서 벽에대고 쏘면서 감잡는 분들 많습니다.
17/10/02 23:56
수정 아이콘
의외로 하다보면 타 FPS에 비해 총기개수가 적어서 조금 공부하면 오히려 별거 없는수준입니다. 어느게임을 하더라도 이정도수준의 지식은 필요한거같아요

다만 샷감이나 기타 게임감각의 경우 어느정도 적응시간이 필요한것같네요. 특히 샷감의 경우 FPS 장르에 익숙한사람조차 시간이 다소 필요한것같습니다. 탄속이나 영점 반동같은 측면에서요..
17/10/03 00:03
수정 아이콘
배그 이전에 FPS 게임을 많이 해봤으면, 총기 대충 다 알더라고요. 왜냐하면, 유명한 총기는 다 거기서 거기더군요.
저같은 경우에는 이렇습니다.
1) 카스 글옵 하다가 배그 넘어온 후배한테 이것저것 물어보면서 겜함
2) 맨날 M16, 움프, 펌프샷건만 쓰면서 겜하다가 심심할 때 이총, 저총 써보면서 익힘
3) 아무리 라이트하게 즐긴다 해도 한 달 이내에는 대충 자기에게 맞는 총이 뭔지 알게 됨

또다른 후배가 친구랑 스쿼드 하면서 나누는 대화를 들었는데요.
"방금 죽인 애한테서 후라이팬 먹어" / "그거 방탄 돼" / "진짜라고! 후라이팬 방탄 된다고"
후라이팬 방탄 되는 것을 모르고 게임해도, 즐겁게 게임 하는데 무리가 없으니...그렇게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지식이 생기죠.
Mephisto
17/10/03 00:09
수정 아이콘
심지어 시체에 있는 테팔도 탄을 팅겨줘서 시체뒤에 숨어서 위기를 모면하고 역습하는 영상이 나오기도 했죠. 크크크크
17/10/03 10:51
수정 아이콘
제일 중요한건 주력 총을 항상 먹을 수 있는게 아니다보니 강제로 이것저것 체험하게 됩니다 크크
기본적인 컨트롤은 타 온라인 게임과 동일하고 상호작용키가 하나라 크게 익힐 내용도 없이 바로 실전투입 가능합니다. 어제 친구한테 제 아이디 쥐어주고 10분 가르치고 몇판 하는거 구경하다 화장실 갔다 나왔는데 1등화면 떠있을정도입니다 크크
17/10/03 00:02
수정 아이콘
스타 캠페인 연재 이후 또다시 유익한 연재를 하시는거보니 반갑네요 흐흐
총기 종류는 몇개 안되지만 특히 AR의 경우 유별나게 좋은 총이 있다기보다 사용자 본인의 취향과 실력이 크게작용하는거같아서 고민되실것같습니다 흐흐
게임하다보면 모든 총을 여러번 쓰면서 경험쌓기가 쉽지않다고보는데 참고영상이 많이 도움이 되는것같네요. 사실 파밍하는시간이 워낙 긴데다 상황에 맞는걸 골라야하니 막 이것저것 다 경험하기 힘드네요. 총기류에 적응하는것도 적지않은 시간이 걸리는것 같습니다
17/10/03 00:08
수정 아이콘
저도 사실 이번 연재는 스타 캠페인 만큼 글빨로 설명할 자신이 없어요 흐흐
그래서 이게 갓갓총입니다!!! 이렇게 단정짓기 보다는 고수들의 영상을 올리면서, 초보자 분들이 스스로 판단하시도록 두는게 좋을 것 같아요.
제가 이렇게 글을 쓸 수 있을 정도면, 확실히 배그가 진입장벽이 낮긴 하네요^^
17/10/03 23:25
수정 아이콘
에임 좀 되면 SMG는 초크 샷건이나 대탄창 사이가를 이길 수 없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76824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47387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10386 13
79782 [LOL] 사우디컵 아프리카 뷰잉파티 상세 안내문 [3] 매번같은1171 24/06/26 1171 1
79781 [LOL] SOOP ( 아프리카 tv ) EWC 중계합니다 [19] Rated1537 24/06/26 1537 2
79780 [LOL] 현 시점 기준 사우디컵 우승 배당 & 8강 매치 배당 [11] Leeka1943 24/06/26 1943 0
79779 [LOL] 글로벌 중계진들의 순위 예측 [14] Leeka1821 24/06/26 1821 0
79778 [LOL] 더샤이의 탑 에어컨론과 그걸 들은 킹겐 [48] Leeka3747 24/06/26 3747 0
79777 [PC] 약스포) 엘든 링 DLC 클리어 후기 [16] 김티모2273 24/06/26 2273 2
79776 [LOL] LCK 현 주전 선수들의 내년 샐러리캡 감면 % 정리 [28] Leeka7223 24/06/25 7223 1
79775 [기타] FF7R, 조작감에서 비롯된 불쾌한 경험 [25] 글곰4651 24/06/25 4651 7
79774 [LOL] 지난 10년 간, 스프링 ~ 서머 2주차 구간 최고 승률팀 리스트 [30] Ensis4753 24/06/25 4753 0
79773 [LOL] 젠지 : 지금 시점에서 경계되는 팀이 있다면? [41] Leeka7736 24/06/25 7736 1
79772 [기타] 사우디컵에 초청비는 존재하는가? [21] newness5099 24/06/25 5099 2
79771 [LOL] 사우디 주최 'E 스포츠 월드컵' 대진표 [35] EnergyFlow3088 24/06/25 3088 1
79770 [모바일] [블루 아카이브] 6/25(화) 업데이트 상세 안내 [7] 캬옹쉬바나1217 24/06/25 1217 1
79769 [LOL] 구마유시의 광동전 후기 [15] Leeka6185 24/06/24 6185 2
79768 [LOL] T1 응원가 공개 [48] ELESIS5501 24/06/24 5501 1
79767 [LOL] 24summer 3주차 기대되는 매치 best3 [31] 1등급 저지방 우유4390 24/06/24 4390 2
79766 [PC] 소울류 스트리머가 분석한 엘든링 DLC가 박한 평가를 받는 이유 [53] 김티모5972 24/06/24 5972 1
79765 [LOL] 4세트를 했는데 100분도 안걸렸어요 [61] Leeka10837 24/06/23 10837 1
79764 [LOL] 단독 10위가 된 KT 롤스터의 다음 주 경기 스케쥴 [43] 매번같은9184 24/06/23 9184 0
79763 [LOL] 서머시즌 최단시간 경기 1~3위 & 15분 골드차이 [32] Leeka6044 24/06/23 604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