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09/30 02:50:02
Name 모선
Subject [기타] [배틀그라운드] 영상으로 보는 게임 내 총기들 (2) (수정됨)
안녕하세요. 오늘도 서론을 조금 써야겠군요. 인벤에서 무기에 대한 상세 정보 게시판을 따로 열었습니다.
그래서 총기 설명시 몇 발이 장전되고, 몇 방 맞아야 죽고, 부착물이 어떤게 들어가는지에 대한 설명은 링크로 대신하겠습니다.
처음 썼던 글도 링크를 추가하여 일부 수정했습니다.
<총기 리스트>
1편 : 근접 무기, 투척 무기, 석궁, 경기관총(M249) https://pgr21.com/pb/pb.php?id=free2&no=62108


-----------------------------------------------------------------------------------------------------


오늘은 4가지 종류의 권총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학교, 포친키, 밀베 등 인기 지역에 낙하하게 되면, 시작부터 매우 살벌한데요.
그런 곳에서 생존 시간을 조금이라도 늘리려면 권총에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중, 후반에도 권총이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생기고요.


2. 권총
2. 1. R1895 (일명 리볼버, 맥크리)
- 일반 정보 : http://battlegrounds.inven.co.kr/dataninfo/item/detail.php?itemcode=1103
- 주변에 사람은 매우 많은데 무기가 이것밖에 없다?...매우 불운하시군요. 저도 제일 먼저 이것을 잡고 나서 생존한 기억이 별로 없네요 ㅠㅠ
- 나는 정말로 헤드샷을 잘 쏠 자신이 있으면 괜찮습니다. 권총 중에서 뚝배기가 없는 상대를 원샷에 보내는 유일한 무기입니다.
- 초반에 배낭이 없는 상황에서 AKM을 쓰게 된다면, 7탄 소지량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이 권총을 장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뒤에 소개할 다른 권총을 습득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활용 가치가 없어집니다.
- 관련 영상 : 영상의 50초~2분 35초

인기 지역인 밀타 파워에서 극초반에 그야말로 난리가 납니다. 하지만, 역시 딩셉션은 뭔가 달라도 다르군요^^
초반 난전 이후에는 좋은 자리를 선점하고, 아주 가볍게(?) 치킨을 뜯습니다.
참고로 마지막 교전 상황을 윤루트의 시점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레전드 영상 중에 하나죠.


2. 2. P92
- 일반 정보 : http://battlegrounds.inven.co.kr/dataninfo/item/detail.php?itemcode=1102
- 매우 무난한 스펙의 권총입니다. 9mm탄을 사용하므로, 뒤에 소개할 Micro UZI 및 UMP9과의 탄 호환성이 매우 좋습니다.
- 초반에도 쓸만하지만, 후반에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사용합니다.
1) 레드 도트 사이트를 달 수 있습니다. 게임 중후반에 AR로 배율과 레닷을 바꿔가며 써야 할 필요가 생기면, 그 때 권총에서 분리하죠.
2) 팔각정, 해우소 등 매우 좋은 자리에서 상대를 감시해야 할 때, 미리 권총으로 유리창을 깨는 용도가 있습니다.
3) 게임 후반에 안전지대가 극도로 좁혀진 상황에서 차를 엄폐물로 삼을 때, 바퀴를 터뜨려서 완벽한 엄폐가 가능하게 만듭니다.
- 관련 영상 : 영상의 50초~2분, 1인칭 (가늠쇠 정조준) 및 3인칭 (어깨 견착) 사격을 어떻게 하는지 잘 보세요.

배틀그라운드에도 가챠 아이템이 8월에 한시적으로 있었죠. 딩셉션이 그 아이템을 획득할려다가 망해서...
부계정 아이디로 분노의 한판을 벌입니다! 여러분은 여포가 되시겠습니까? 아니면 저 불쌍한 배린이로 남으시겠습니까? ㅠㅠ
상대의 뛰어난 샷발에 맞아 죽는건 어쩔 수 없는데, 주위의 소리에 귀를 귀울여서 고라니가 되지는 맙시다~
그리고 총알이 날아오면, 절대 그 자리에 엎드리지 마시고, 최대한 빨리 이동해서 엄폐물을 찾으세요!
(총알 만으로 상대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면, 엎드려서 즉각 반격을 시도할 수도 있으나 초보 레벨에서는 불가능입니다.)

2. 3. P1911
- 일반 정보 : http://battlegrounds.inven.co.kr/dataninfo/item/detail.php?itemcode=1101
- 역시 무난한 스펙입니다. P92보다는 데미지가 조금 강하나, 탄속은 조금 느리고, 연사 간격도 조금 깁니다.
- 최대 장탄수가 P92보다 작다는 점, 토미건이나 벡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45ACP탄이 잉여가 된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는 불호입니다.
- P92와 동일한 이유로, 게임 후반에도 사용할 일이 가끔 있습니다.
- 관련 영상 : 레전드 영상 중 하나입니다. 7분 30초부터 끝날 때까지 눈을 떼지 마세요^^

이번에는 부계정 아닙니다! 동일한 레이팅에서 한판 승부입니다. 딩셉션의 탁월한 판단 능력을 즐겁게 감상하세요~

2. 4. P18C (일명 글록)
- 일반 정보 : http://battlegrounds.inven.co.kr/dataninfo/item/detail.php?itemcode=1100
- 필드에서 드물게 보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잡았다면? 당신은 최고의 권총을 획득했습니다! 권총 중에서 유일하게 연사 기능이 있습니다.
- 다른 권총은 게임 중반부터 부수적인 목적을 위해 존재한다면, 내 손 안에 작은 우지 같은 이 권총은 상황에 따라 쓸모가 매우 큽니다.
- 관련 영상 : 키리하님께서 직접 찾아주셨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유튜브 영상의 백미는 4분 20초와 6분경에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영화같지 않습니까?^^


-----------------------------------------------------------------------------------------------------


오늘의 보너스 영상!
위에 잠깐 등장한 그로자, 카구팔 클립에서 윤루트님의 Groza는 '단발' 상태였죠.
뒤에서 소개할 Groza와 오늘 소개한 P18C는 대표적인 '연사' 총기인데 말이죠. 어떻게 연사 총기를 단발로 놓고 쏘냐고요?
아래 클립을 보시면 고개가 저절로 끄덕여집니다.


오늘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연재는 샷건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뻥! 뻥!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굳바이SKT
17/09/30 02:59
수정 아이콘
마우스 클릭 매크로 다쓰는거 아닙니까? 단발 테스트 보면 바로 직전 대화할 때 클릭 하는 소리가 다 들리는데 실제로 광클하고 슛 쏘는데 마우스 클릭소리는 안 들리네요. 그리고 뭐 실험해봤을수도 있지만 누가 초당 6번 누르는지 일일이 세고있습니까? 매크로 설정을 초당 6번 클릭으로 해놨다고 자백하는거로 밖에 안들리네요.
17/09/30 03: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총기 소개를 하는 입장이니, 이것에 대해서는 길게 답변드리지 않겠습니다.
이미 윤루트님 트위치에서도 일부 시청자들이 지겹도록 언급했던 얘기이기도 하고요.
일단 이것을 참고하십시오. https://namu.wiki/w/%EC%9C%A4%EB%A3%A8%ED%8A%B8#s-2
그래도 의심이 풀리지 않는다면, "트게더"에서 스트리머 게시판에 글을 남기세요.
굳바이SKT
17/09/30 14:1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물론 그와중에 실제로 그렇게 컨하실수 있는 분도 있겠지요. 제가 쓴 댓글 역시 윤루트님 말고 영상에 나오는 다른 분을 지적해서 쓴 글이었고요.
LondonHearts
17/09/30 03:35
수정 아이콘
일단 매크로는 아니고요. 윤루트는 공방 및 대회에서 이미 증명 되었습니다.
마우스 클릭수 측정하는 사이트에서 눌러보고 하는 대화에요. 초당 8~9회 정도 된다고 클립 내용 뒷부분에서 얘기합니다.
17/09/30 08:13
수정 아이콘
저분 매크로아니라고 손인증도하시는걸로 알고있어요
김티모
17/09/30 10:21
수정 아이콘
윤루트는 하도 핵이다 매크로다 소리를 많이 들어서 방송할때 캠을 아예 손캠을 키고 합니다. 제가 보는 방송에서 캠 켜져었으면 전부 손만 비추더군요.
17/09/30 10: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해외 대회 나가서 솔큐 일등까지 하신 분한테 빈약한 근거로 확신하는거도 안좋아 보이네요.
그리고 초당 6회라고 말하는 분은 실프 님입니다.
그 뒤에 윤루트님이 더한 광클을 선보이자 실프님이 핵이다 라고 하는거고요.
세체미
17/09/30 18:06
수정 아이콘
https://cookie.riimu.net/speed/

이걸 기반으로 초당6초라고 한거구요 일반인도 6은 쉽게 나옵니다 물론 거기서 표적잡아서 반동제어까지 하냐마냐는 다른 수준이지만

가서 해보세요
17/09/30 04:43
수정 아이콘
좋은 글에 뜬금없는 매크로무새가 있네요. 글 잘 읽었습니다.
17/09/30 14:5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더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17/09/30 06:09
수정 아이콘
플탐 5시간쯤 되는 배린이입니다. 아... 이제까지 매그넘이 권총중엔 젤 좋은줄 알았는데 크크킄크. KDA가 1도 안되는 이유가 있었네요. 근데 다른 권총 장점중에 창문 깨거나 바퀴 터트리는건 매그넘이나 주 총으로도 충분히 가능한거 아닌가요?
키리하
17/09/30 09:38
수정 아이콘
연사력 차이와 권총 소음기를 구하기 편하다는 차이점 정도가 있겠네요.
17/10/01 12:38
수정 아이콘
앗... 그렇군요 크크크. 잘하는 친구 하는거 보니까 사운드플레이가 엄청 중요하더군요.
17/09/30 15:00
수정 아이콘
키리하님 말씀이 정답이네요^^ 소음기를 구하기 쉬워서 적에게 노출이 덜하죠. 주 무기의 탄도 절약할 수 있고요.
팔각정이나 2층집의 유리는 아예 X키를 눌러서, 무기를 집어넣고 맨손으로 깨기도 합니다.
17/09/30 08:24
수정 아이콘
매크로무새 크크크
근거도 없고 실제 증명여부 확인도 안해보고 그냥 먼저 까고보는거죠
그냥 어그로같은데 관심주지마세요 크크
개밥 한번 주면 더 먹고싶어서 달려드는 똥개 부류죠
키리하
17/09/30 08: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P92 활용 클립
https://clips.twitch.tv/CrackySourCockroachSMOrc
https://clips.twitch.tv/LittleAliveCoyotePJSugar
P1911
https://clips.twitch.tv/PreciousGlamorousFriseeKappa

기억 남는 장면이 몇개 있어서 찾아봤네요.
저도 꽤 오래 방송 봤는데 사실 쓰는 기억이 그렇게 많진 않은데 권총 써서 성공하는 상황이면 어지간하면 멋진 그림이 나오는듯 크크

배갤에서 핵 관련해서 핫한 스트리머가 있던데
번지수 잘못 짚으신듯.. 매크로 장착해서 ESL 솔로 1위까지 먹었으니 얼마나 대회가 허술했을까요.
VSL은 어떻고요..
17/09/30 15:08
수정 아이콘
와 미쳤네요. 권총으로도 저렇게 헤드샷 다다다다 하는 에임이 나온다니...
17/09/30 09:45
수정 아이콘
보고싶은것만 보는거죵
해피나루
17/09/30 10:38
수정 아이콘
사실 단발 광클에 대해선 그렇게 실효성이 있나 의심되는데(걍 쏘잘잘이죠) 권총은 단발광클이 필수적인 무기죠. 연사가 아예 없으니까...글록은 연발이 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단발 대미지가 가장 낮습니다. 극초반 이후엔 살상력이 떨어져서 저격 ar들었으면 걍 ar연사쓰세요. 그리고 권총은 달릴때 패널티가 제로입니다. 맨손으로 달리느니 권총이라도 들고 달리세요.
Mephisto
17/09/30 13:03
수정 아이콘
해외스트리머들은 대부분 단발 광클에서 연사로 바뀐걸로 압니다.
반동제어가 완벽해지면 단발광클은 오히려 손해라는 식으로 인식하더군요.
뭐 그동내야 홀로그램이나 도트가 아닌 4배율 들고 연사해도 상탄이 안나는 기괴함을 보여주니 여기랑은 상황이 틀리겠지만....
그래도 미니가 나온후로 다시 단발광클의 필요성은 올라간듯합니다.
조준만 잘하면 근접전에서 SMG조차 능가하는 위력을 보여주니.....
응~아니야
17/09/30 13:59
수정 아이콘
사실 m16 활용력이 좋아진다는게 단발광클의 장점이죠. 바닐라 스펙상 AR 상위급이라 단발광클 고수라면 악세사리없이 잘쓸수 있음
17/09/30 15: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권총 들고 달릴 때는 패널티가 없다! 차를 잘 못 찾으시는 초보자 분들에게 매우 중요한 팁이죠. 보충 감사합니다!

사실 연사가 좋죠. 윤루트님이 진짜 특이하면서도 대단한 케이스고요.
그리고 미니14가 필드에 등장하게 되는데...
하심군
17/09/30 10:44
수정 아이콘
R1895의 경우 7.62mm 소총탄을 써서 개인적으로 좀 놀랐었는데 꺼라위키(...)를 찾아보니 이게 무려 1차세계대전 때의 물건이더군요. 실제로 이름의 유래도 요즘 유럽맥주 스러운(...)1895년이기도 하고요, 실제로는 이 권총의 전용탄이 발사후의 탄피처럼 생겨서(나무위키에서 총 사진을 보면 총 옆에 나와있습니다) 실제 위력은 현대의 9mm 권총탄보다도 못하다고 합니다. 스펙상 길이가 소총탄과 비슷하고 아무래도 리볼버다보니 옛날총을 주워다 그냥 우겨넣었다는 설정으로 밀어붙이는 것 같은데 제 생각에는 총이 터지는 게 먼저 같긴 한데 말이죠...여튼 알고보면 쓸데없는 잡지식이었습니다.
17/09/30 15:19
수정 아이콘
쓸데없는 잡지식 아닙니다! 덕분에 잘 배웠습니다^^
화염투척사
17/09/30 17:42
수정 아이콘
사실 리볼버라 장전이 하루종일 총이 데미지까지 약하면 그야말로 함정 아이템이니까 말입니다.
사실 VSS도 실제로는 권총탄이 아닌 소총탄 9mm를 사용해 탄속은 느리지만 근접에 있어서는 방탄복을 뚫어버리는 성능이지만 게임상에선 그냥 권총탄을 같이 사용하고 성능은 망원경(...)으로 구현된 것과 마찬가지 아닌가 싶습니다. -_-;
게임인지라 라이트함을 위해 그냥 탄종류를 통일시키고 밸런스를 위해 성능을 조절할 수 밖에 없는것 같아요.
하심군
17/09/30 17: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소총탄을 쓸 수 있는 리볼버를 찾고 있던게 아닌가 싶어요. 러시아땅에 고급 커스텀리볼버가 있는것도 웃기는 일이니 이래저래 설정 맞추기도 해야하고요.

그리고 이 총이 사실 말도 안되게 약한 물건인게 퀵 리로더 사용 불가 탄피 일괄제거 불가능 방아쇠는 말도 안되게 무겁고... 그 시대에 괜히 콜트 피스 키퍼가 갓인게 아니구나 싶더라고요.
17/09/30 12:26
수정 아이콘
어디가나 매크로무새는 항상 존재하는군요
응~아니야
17/09/30 13:56
수정 아이콘
클릭 초당 6회는 손가락에 살찐 일반인도 가능한 수준인데 핵무새는 겜도 안하고 핵무새짓한다는게 들통나는군요. 고작 초당 6연사하려고 매크로 킬까요?
네~ 다음
17/09/30 19:14
수정 아이콘
그냥 눌러도 초당 10번은 될줄알고 위에 링크 타서 눌러보니까 7번 나오네요.. 근데 그걸 상탄까지 잡는다라.. 윤루트 사람이냐?
17/09/30 19:20
수정 아이콘
언제 방송인지 기억은 안 나는데, 딩셉션님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초당 6번과 초당 8번이 넘사벽이고, 초당 8번과 초당 10번이 또 넘사벽이라고...윤루트님이 초당 10번에 해당될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76824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47385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10385 13
79782 [LOL] 사우디컵 아프리카 뷰잉파티 상세 안내문 [3] 매번같은1148 24/06/26 1148 1
79781 [LOL] SOOP ( 아프리카 tv ) EWC 중계합니다 [19] Rated1520 24/06/26 1520 2
79780 [LOL] 현 시점 기준 사우디컵 우승 배당 & 8강 매치 배당 [11] Leeka1933 24/06/26 1933 0
79779 [LOL] 글로벌 중계진들의 순위 예측 [14] Leeka1809 24/06/26 1809 0
79778 [LOL] 더샤이의 탑 에어컨론과 그걸 들은 킹겐 [48] Leeka3736 24/06/26 3736 0
79777 [PC] 약스포) 엘든 링 DLC 클리어 후기 [16] 김티모2273 24/06/26 2273 2
79776 [LOL] LCK 현 주전 선수들의 내년 샐러리캡 감면 % 정리 [28] Leeka7222 24/06/25 7222 1
79775 [기타] FF7R, 조작감에서 비롯된 불쾌한 경험 [25] 글곰4650 24/06/25 4650 7
79774 [LOL] 지난 10년 간, 스프링 ~ 서머 2주차 구간 최고 승률팀 리스트 [30] Ensis4752 24/06/25 4752 0
79773 [LOL] 젠지 : 지금 시점에서 경계되는 팀이 있다면? [41] Leeka7735 24/06/25 7735 1
79772 [기타] 사우디컵에 초청비는 존재하는가? [21] newness5099 24/06/25 5099 2
79771 [LOL] 사우디 주최 'E 스포츠 월드컵' 대진표 [35] EnergyFlow3087 24/06/25 3087 1
79770 [모바일] [블루 아카이브] 6/25(화) 업데이트 상세 안내 [7] 캬옹쉬바나1216 24/06/25 1216 1
79769 [LOL] 구마유시의 광동전 후기 [15] Leeka6185 24/06/24 6185 2
79768 [LOL] T1 응원가 공개 [48] ELESIS5501 24/06/24 5501 1
79767 [LOL] 24summer 3주차 기대되는 매치 best3 [31] 1등급 저지방 우유4390 24/06/24 4390 2
79766 [PC] 소울류 스트리머가 분석한 엘든링 DLC가 박한 평가를 받는 이유 [53] 김티모5972 24/06/24 5972 1
79765 [LOL] 4세트를 했는데 100분도 안걸렸어요 [61] Leeka10837 24/06/23 10837 1
79764 [LOL] 단독 10위가 된 KT 롤스터의 다음 주 경기 스케쥴 [43] 매번같은9184 24/06/23 9184 0
79763 [LOL] 서머시즌 최단시간 경기 1~3위 & 15분 골드차이 [32] Leeka6044 24/06/23 604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