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14 07:50
저래도 팔리니까 저래 만든다는 걸 인지하고
바이올렛 시리즈는 스위치 구입 이후 처음으로 구매 안했습니다 이번 신작도 평 들어보고 별로면 패스하려고요
25/10/14 11:38
(수정됨) 포켓몬 만드는 게임프리크 총 사원수가 약 200명 입니다. 여기 평균 연봉은 없어서 닌텐도 평균 연봉이 950만엔 연봉이므로 비슷하다고 가정하고 엔화 환율 고려시 조금 높지만 1인당 75000달러로 계산하죠. 1년 총 연봉은 1500만 달러 보통 포켓몬 개발 이년 걸리는 것으로 계산하면 3000만 달러 다합쳐서 약 4500만 달러입니다. 다른 aaa게임 대비 높다고 볼 수 없죠. 저는 이런것을 말한것입니다. 인건비를 아무리 높게 잡아도 1억달러 되기 힘듭니다. 그리고 게임프리크가 닌텐도보다 연봉이 낮으면 낮았지 높기 힘들고요
+ 25/10/14 13:28
(수정됨) 일단 인건비란게 사람 고용하면 부대비용도 추가로 들어가고요.
요즘 게임개발이란게 딱 개발사에서만 인원 동원하고 끝나는게 아니라서요. 외부에 일거리 주는게 많죠. 당장 최근 포켓몬 게임은 스탭롤에 등장하는 인원만 500명입니다. 보통 스탭롤에 전부 등장시켜주는 것도 아니라 빠진 인원도 있을 수 있고요. 그리고 포켓몬 최근작들은 4년씩 개발합니다. 2년 아니에요.
+ 25/10/14 13:38
일본 게임사들이 HD 넘어오면서 엄청나게 고생했습니다. 적응 잘 못하는 곳들은 PS3 내내 죽쑤고 wii ds psp에 집중하다가 ps4 들어서야 제대로 만드는 경우가 많았는데 게임프리크는 2017년까지 3ds로 240P 게임 내다가 그 이후에야 스위치로 넘어와서요. 그뒤로 개고생하다 이제야 겨우 겨우 적응해서 새 엔진 만드는 수준이라고 봐야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