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14 00:30
딱히 확고하게 정해진건 없는거 같더군요. 어떤 나라의 유저들이 많이 보냐에 따라서 조회수당 수익도 달라지고, 같은 조회수라고 해도 누가 올렸냐에 따라 달라지고, 시청자들이 얼마나 오래 영상을 봤냐, 광고 스킵을 얼마나 했냐에 따라 달라지고 등등.
검색을 해보니 롱폼 영상들은 뷰당 2-4원 정도 되는거 같은데...아마 이 영상으로 수익창출 했다면 몇천만원은 들어오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어딘가에서 들었는데 동남아 인구 많은 나라의 영상들은 영상들은 조회수가 어마어마하게 나오는데 뷰당 들어오는 수익이 한국의 10% 정도밖에 안된다는 얘기도 있었던걸로 기억.
25/09/14 00:42
그 한국에 자전거 여행와서 조회수 터진 유튜브도 지금 조회수 안 나오는 것처럼....
저런건 이슈있을 때 반짝... 원래 조회수 안 터진 유튜브들은 이슈 끝난 뒤 조회수 안 나오죠. 논리왕 전기처럼.... 갑자기 100만되었다가 그 뒤로 조회수 안 나온 것처럼...
+ 25/09/14 09:19
(수정됨) 댓글 보고 좀 더 찾아봤는데요, 거짓지표라기보다는 기준이 좀 바뀐 것 같습니다.
일단 국가별 행복지수에 대한 개념은 부탄에서 제안했던 것 같습니다. (초창기에 '부탄이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 중 하나로 알려진 게 이와 무관하지 않겠죠.) 제안하게 된 동기에는 부탄 국가 내부적인 정치사항이 엮여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부탄이 유엔(반기문 사무총장 시절)에 제안해서 유엔에서도 집계하게 된 것 같고요. 물론 그 밖에도 유럽에서 집계하는 것도 있고, 이것저것 다양한 것 같습니다. 현재 가장 많이 인정되는 건 유엔에서 발표하는 '세계행복보고서' 같습니다. 과거에 부탄에서 제안했던 기준은 '내가 행복하다고 답변하는 사람의 비율'을 중심으로 지수가 매겨졌다면(정확하지 않습니다) 현재 유엔에서 집계하는 기준은 [GDP, 기대수명, 사회적 지지, 선택의 자유, 아량, 부정부패] 등이 기준이 된다고 합니다. 현행 유엔의 기준에서는 아무래도 현대화된 선진국들이 좋은 평가를 받게 되어 있는 것 같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