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9/01 14:54:28
Name 길갈
File #1 111.JPG (41.9 KB), Download : 354
출처 기상청
Subject [기타] 94년~25년 역대 8월 서울 기온 통계


보통 여름 3대장이 94년, 18년, 24년이라 생각하는데

고점의 18년 (최고 39.6 / 평균 28.8 / 최저 20.2)
평균의 24년 (최고 36.4 / 평균 29.3 / 최저 22.2)
시대의 94년 (최고 37.0 / 평균 27.6 / 최저 19.0)

아쉽게도(?) 25년은 8월초가 시원했기 때문에
아무래도 3대장에 끼기엔 약하다 봅니다.
(최고 36.2 / 평균 28.2 / 최저 21.0)


물론 온도 몇 도가 높고 낮니를 떠나 에어컨 보급률이 낮았던 94년이 가장 힘든 시기였다 확신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디스커버리
25/09/01 14:59
수정 아이콘
18년때는 고점은 찍었었지만 그렇게 습하지가 않아서 버틸만 했던거 같은데
과거미화일까요
25/09/01 15:03
수정 아이콘
과거미화 맞는것 같아요. 8월에 진짜 레전드 찍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저희 부모님도 그전까진 에어컨 없이 버티다가 처음으로 에어컨 산게 18년이였어요.
당근케익
25/09/01 15:20
수정 아이콘
저희도 방방에 에어컨산게 18년 이후입니다
Far Niente
25/09/01 15:35
수정 아이콘
출퇴근길 야외구간이 딱 1분 정도인데 저 최고기온 찍은 날은 기절하는 줄 알았습니다.
이후에 그 정도 느낌은 한 번도 겪지 못했어요
하이퍼나이프
25/09/01 16:02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보면 옛날 본좌론 논쟁일때 순간포스냐 꾸준함이냐를 두고 갑론을박했던것도 겹쳐보이고 해서 재미있는데
역시 이래서 순간포스가 사람들 뇌리에 강하게 기억에 남는구나 싶어요. 저도 18년의 고점이 잊혀지지가 않거든요. 특히 저 40도 가까이 찍던 그날은 햇살이 온몸을 두들겨 패는 느낌이라... 어마무시했던 것 같습니다. 작년은 더웠나? 싶네요
디스커버리
25/09/01 16: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 댓글 작성하고 나서
잊고 있었던(싶었던) 기억들이 떠올랐습니다!
과거 미화가 아니라 그냥 기억에서 지웠던거 같네요 크크크
근데 다시 생각해보니까 18년에는 뜨거워 죽겠다 느낌이었다면
올해는 숨막혀 죽겠다는 느낌이거든요 이쯤되면 뭐가 뭔지 모르겠네요
강원도
25/09/01 16:26
수정 아이콘
과거미화 맞습니다. 제가 너무 더워서 밖에 점심 먹으러 나가기 싫다고 생각한게 그때가 처음입니다.
25/09/01 16:49
수정 아이콘
이 댓글을 보고 그럼그럼 하고 있다가, 대댓글을 보고 내가 미친건가 했는데
제가 미친게 맞네요 ....
19년도 초여름에 에어컨 있는 집으로 이사했고 18년까지는 선풍기 하나로 원룸에서 살았는데
지금의 저는 나약해졌습니다 크크크크
25/09/01 19:22
수정 아이콘
미친듯이 습했습니다..
마리아 호아키나
25/09/01 15:04
수정 아이콘
7월 기준으로는 25년이 1등일거 같아요.
마리아 호아키나
25/09/01 15:05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평균기온은 94년이 1등이고 25년이 2등이네요.
파이어폭스
25/09/01 15:05
수정 아이콘
평균 기온은 미세하게 00년대 이후로 우상향하는 것처럼 보이네요.
아케르나르
25/09/01 15:27
수정 아이콘
평균기온만 아니고 최저/최고기온도 추세가 그런 거 같아요.
서린언니
25/09/01 15:06
수정 아이콘
94년 고3이었는데 운동장에 혈기넘치는 남학생들이 아무도 없었습니다.
유일하게 에어컨 있는 독서실이 미어터지던 기억이 나요 방학이기도 했지만
설탕가루인형
25/09/01 15:09
수정 아이콘
18년 여름에 푸켓으로 워크샵을 다녀왔는데, 서울이 푸켓보다 더 덥더라구요
25/09/01 15:13
수정 아이콘
18년은 아무리 덥거나 추워도 밖에 나가 바람을 꼭 쐬던 저도
나가서 10초안에 들어와서 그다음에 안나갔던 기억이 있어요
모르면서아는척함
25/09/01 15:18
수정 아이콘
실외기가 내뿜는 열기땜에 오히려 밖은 더 더운거 같아요
Chaosmos
25/09/01 15:21
수정 아이콘
2018년 어케살았지..
동년배
25/09/01 15:24
수정 아이콘
94년은 집이 북한산 기슭이고 고3이라 학원 독서실만 다녀서 최근 몇년간의 체감 더위만큼은 아니었고
18년이 여러모로 기록적이고 이정표가 되는 더위였던 것 같습니다. 건물 옥상위 저수조가 데워져 여름 내내 따뜻한 물로만 샤워를 했으니
덴드로븀
25/09/01 15: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98178
[올여름 역대 가장 더웠다…전국 평균기온 25.7도 사상최고] 2025.09.01.
일최고 30.7도·밤최저 21.5도도 역대 1·2위 '신기록'
전국 강수량은 평년 85% 수준…강원 영동은 강수량 역대 최소

<'최근 폭염·열대야 현황'> (여름 : 6/1 ~ 8/31)
2024년 여름 전국 평균기온 25.6도
2025년 여름 전국 평균기온 25.7도

<여름 일최고기온 평균>
1위 : 2025년 (30.7도)
2위 : 1994년 (30.5도)

<여름 일최저기온 평균>
1위 : 2024년(21.7도)
2위 : 2025년(21.5도)

<폭염일(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
1위 : 2018년 31.0일
2위 : 1994년 28.5일
3위 : 2025년 28.1일

<열대야일(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날)>
1위 : 2024년 20.2일
2위 : 2018년 16.5일
3위 : 1994년 16.5일
4위 : 2025년 15.5일
치키타
25/09/01 15:26
수정 아이콘
러닝하면 작년보다 올해가 힘든 기분입니다. 일단 나가기가 너무 싫어요..
습도 때문인지 1년 더 늙어서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체감상 더 힘든 것 같습니다.
25/09/01 15:27
수정 아이콘
올해 7월이 레전드라 8월걱정 많이 했는데
8월은 그냥 저냥 지나가 버렸네요
아케르나르
25/09/01 15:28
수정 아이콘
94년에 고1이었는데, 이상하게도 저는 그때 더웠다는 기억이 없습니다. 여름방학때 학교 도서관에서 시원하게 보냈어서 그런건가..
handrake
25/09/01 15:29
수정 아이콘
94년은 체감도르하면 원탑이겠네요. 에어컨도 거의 없던 시절이니
비맞은 비익조
25/09/01 15:30
수정 아이콘
올해는 고온이면 건조하고 다소 온도 내려갔는데 너무 습하고 그래서 싫었습니다
유리한
25/09/01 15:33
수정 아이콘
요 몇년은 열돔때문에 여름에 태풍이 오질 못하는 느낌입니다
덴드로븀
25/09/01 15:34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2/0000776439?sid=102
[올해 여름 태풍 '0개' 이례적…극한 가을 태풍 오나?] 2025.09.01.
지난 1951년부터 2024년까지 '여름 영향 태풍'이 없던 해는
1969년, 1983년, 1988년, 1998년, 2009년, 2016년 등 [여섯 차례]에 불과합니다.

실제 역대급 강풍과 폭우를 기록하고 큰 비바람 피해를 남긴
['나리'와 '매미', '힌남노'와 '차바' 등의 태풍]들은 모두 가을철에 우리나라를 찾았습니다.
친친나트
25/09/01 16:33
수정 아이콘
제주도에 태풍오면 비상출근해야하는 직종인데, 최근 3년간 제대로 된 태풍이 없었어요.
유료도로당
25/09/01 15:35
수정 아이콘
18년은 개인적으로 기억이 잘 안나네요. 전 올해가 좀 유별난 느낌이긴 했습니다.
잉차잉차
25/09/01 15:38
수정 아이콘
저는 94년 압도적 1황이네요. 에어컨이 없어..
샤르미에티미
25/09/01 15:39
수정 아이콘
94년 체감이 안 되는데 저는 그때는 다 같이 없던 때라 또 나름 버티고 살 만했지 싶긴 합니다. 오히려 지금이 격차가 더 큰 상황이라, 에어컨 보급률 높아도 없는 집도 있고, 펑펑 하루 종일 트는 집-시간을 정해 놓고 트는 집-잘 안 트는 집 나뉘고 또 에어컨 있는 곳에서만 생활하는 사람/아닐 때도 있는 사람/아닐 때가 많은 사람 또 나뉘죠. 우리나라 특성상 비교가 더 힘들지 다 같이 그런 상황이면 오히려 버틸 만하지 않았을지.
공포의 Reviewer 2
+ 25/09/02 01:16
수정 아이콘
살만하지 않았습니다 ㅠㅠ 다 같이 길바닥으로 나가고 그랬던 기억이...
회색사과
25/09/01 15:45
수정 아이콘
94년 뉴스에는 어마어마했는데.. 

그러려니 하고 살던 시절이고 
저도, 제 부모님도, 제 조부모님도 지금보다 30살은 어리던 시절이라 어케 넘어가지 않았나 싶네요 흐흐 

외할머니댁에서 여름방학을 났는데 
어릴 때라 덥거나 말거나 나가 놀고 싶었고,
할매가 그렇게 나가 놀고 싶으면 나가서 죽거나 말거나 맘대로 하라고(?) 혼났던 기억이 나네요 크크크 
깃털달린뱀
25/09/01 15:47
수정 아이콘
전 이상하게 유독 올해가 엄청 덥더군요. 그 전엔 딱히 막 엄청 덥다 이런 기억은 없었는데...
작년 추석이 좀 더웠던 것 같기도
부대찌개
25/09/01 15:51
수정 아이콘
94년은 잘 기억이 안나고..
2018년에는 뜨겁긴 했는데 습도가 괜찮았던 기억이 나구요..
작년 올해가 젤 더운거같아요
다크서클팬더
25/09/01 15:52
수정 아이콘
94년은 그래도 어찌저찌 버텼던것 같은데 2018년이 진짜 최악이었습니다
올해가 그나마 좀 버틸만 하더군요
HA클러스터
25/09/01 15: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94년 더위 확실히 기억이 나는게, 7월달에 안그래도 더운데 그당시 냉방도 안되던 만원버스 안에서 헉헉 대고 있는데 버스 차내 라디오에서 갑자기 김일성이 죽었다는 방송이 나오길래 내가 더위를 너무 심하게 먹어서 환청을 듣는가 싶었거든요. (장소는 대구였음)
제가 태어나기 전부터 존재했고 평생동안 받았던 모든 교육과 매체에서 고금제일의 악의 상징처럼 묘사되던, 그덕에 마이너스일지언정 그당시 저의 의식속에 엄청나게 큰 위치였던, 마치 영원히 살 것같던 존재가 갑자기 죽어 없어졌다는 충격이, 더위와 함께 기억에 각인되어 떨어지질 않았습니다. 만약 그 사건이 없었다면 저는 90년대 중반이 많이 더웠지 라는 식으로 기억할지언정 94년 여름 더위의 기억이 핀포인트로 고정되어 남아있지는 않았을 것 같아요.
밀크티라떼
25/09/01 16:02
수정 아이콘
그 때 호외를 처음 봤던 기억이 나네요 (저도 대구)
소풍 다녀 오는 길이었던 것 같은데
부대찌개
25/09/01 16:26
수정 아이콘
김일성 죽었던 날 정확히 기억하는데.. 저는 왜 더웠던 기억은 없을까요 ㅠㅠ(대전)
아우구스투스
25/09/01 15:55
수정 아이콘
18년은 지옥이었습니다.
당시 집 에어컨이 고장이 나서 더 그랬던거 같은게 자발적으로 야근까지 했던 시기였거든요.
지금은 무지개다리를 건넜지만 당시 강아지도 더워서 현관에 누워서 헐떡이는거 보다 못해 차에 데려가서 에어컨 쐬게 하고 그냥 난리였었죠.
Jon Snow
25/09/01 15:58
수정 아이콘
내 다리가 맞닿아서 뜨겁다는 느낌을 받은건 2018이 유일해요..
25/09/01 15:58
수정 아이콘
8월만 놓고 보니까 94년이 최강으로 보이는 겁니다.
9월까지 확장해서 보면 94년은 범부가 돼요.
엘브로
25/09/01 15:58
수정 아이콘
이제 에어컨 없이 못살거 같습니다...
새우탕면
25/09/01 16:00
수정 아이콘
94년은 에어컨이 많이 없던 시절이니까 경험한 사람들은 저 때를 못 잊는 것 같습니다.
如是我聞
25/09/01 18:29
수정 아이콘
거기에 옷도 지금보다 더웠죠. 땀띠가 지금이야 거의 없지만 그 때는 지금보다는 많았고.
파핀폐인
25/09/01 16:02
수정 아이콘
전 아무리 생각해도 18년의 가혹한 여름이 최악이었던 것 같습니다. 
25/09/01 16:17
수정 아이콘
94년에 고3이어서 7시부터 11시까지 학교에서만 지내다보니 등목도 하고 그러면서 재미있게 잘 지낸 기억만 남네요.
그 와중에도 다 면티에 교복셔츠 받쳐 입고서...
Zakk WyldE
25/09/01 16:22
수정 아이콘
제 체감상 올해
제일 더웠던 날이 7월 8일 대전이었..
그리움 그 뒤
25/09/01 16:28
수정 아이콘
개인 체감
94년 1등
18년 2등
24년 3등

25년 올해는 7월 두 주 정도만 좀 습하고 더웠고, 8월에는 편안했습니다.
어제내린비
25/09/01 16:36
수정 아이콘
94년엔 체력이 좋을때라 버티는데 그렇게 힘들지는 않았어요.
한여름에도 나가서 농구했었던 기억이..
당근케익
25/09/01 16:38
수정 아이콘
18년 이후 방방에 에어컨 샀고 그 후는 뭐 잘살고 있는데
지구야 미안해
라울리스타
25/09/01 16:50
수정 아이콘
8월이 얼마나 덥냐는 이제 또 과거의 주제가 된 느낌입니다.

24년이 레전드였던건 여름의 길이였죠. 빠른 추석이었지만 거의 처음으로 추석을 풀 에어컨으로 보냈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열대야가 8월 초중반까지 반짝하면, 이후에는 낮은 뜨거워도 아침밤으로는 이제 선선하네 느낌이 났습니다. 근데 24년에는 열대야가 여름내내 디폴트로 느껴졌습니다.

올해 8월이 아무리 덜 뜨거웠어도 이제 이게 중요한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작년을 고스란히 따라가고 있죠. 9월 초에 비가 대차게 오는데도 이제 슬슬 더위가 가시네...가 아니라 여름식 습식 사우나 느낌이 여전합니다. 24년을 기점으로 여름이 점점 길어지고 가을이 짧아지는 추세로 가는 듯 합니다.
JILLSTUART
25/09/01 17:08
수정 아이콘
이제부터 최고기온 경쟁(?)은 그냥 비가 언제 얼마나 오느냐에 따라 달린 것 같습니다.
올해만 해도 7말8초에 정체전선 영향 안 받았으면 더위 역대 최고기록 모두 경신했을 것 같네요
부대찌개
25/09/01 18:24
수정 아이콘
맞아요 8월초에 비가 와서 기온 면에서는 그나마 선방했죠
wersdfhr
25/09/01 17:35
수정 아이콘
부모님이 18년 여름 겪고나서 집에 에어컨 설치하시고 에어컨 예찬론자로 변신하셨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5/09/01 18:17
수정 아이콘
그래프 보고 지구 온난화라더니 시작점 대비 별로 안 높네 했는데 시작점이 전설의 94년이었군요...
25/09/01 18: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24년은 평균보다 저점이 더 눈에 띄네요.
어릴적이라 기억은 잘 안 나지만
굉장히 더워서 잠자기 힘들었던 나날들에 대한 기억이 있습니다. 그게 94년도인가보네요.
Darwin4078
25/09/01 18:31
수정 아이콘
저는 94년 여름 더운 기억이 하나도 없어요. 대학교 새내기여서 그 더웠다는 여름에 빨빨대면서 여기저기 신나게 놀고 돌아댕긴 기억뿐입니다.
울리히케슬러
25/09/01 18:32
수정 아이콘
18년도에 하필 에어컨이 망가져서 정말 힘들게 보냈죠;;
디에아스타
25/09/01 18:51
수정 아이콘
올해 7월말에 비해 8월은 버틸만 했네요.
25/09/01 19:30
수정 아이콘
습도도 반영한 체감온도도 좋겠어요. 
+ 25/09/02 01:11
수정 아이콘
24년은 9월이 더웠죠
덕분에 계절이 한달씩 밀려난 느낌이랄까
12월까지 가을 같았고 1월달애는 따스한 겨울이였는데 2월달에 영하15도 한파가 몰아쳤고 3월까지 추웠고 6월까지 봄날씨였죠
그런데 7월에 장마가 빨리끝나면서 7월말에 갑자기 더워졌고 8월초에 장마가 다시시작하면서 예년 8월에비해 덜더웠지만
8월말더위는 예년 8월말보다 확실히 더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8939 [방송] 부잣집 여친과 사귄 백수 남자의 최후.jpg [2] VictoryFood389 25/09/02 389
518938 [유머] 딸가진 미국 아빠들이 케더헌을 유난히 좋아하는 이유 [2] VictoryFood1253 25/09/02 1253
518937 [유머] 개방이 정보를 취급할 수 있는 이유 [17] VictoryFood2991 25/09/01 2991
518936 [연예인] 이병헌 아들의 선천적 플러팅 [10] VictoryFood3603 25/09/01 3603
518935 [유머] 당사자 면전에 박아버리는 미친 질문 [3] brpfebjfi5223 25/09/01 5223
518934 [게임] (약후) 역대급 피부 표현으로 난리 난 니케 신규캐릭터 [21] 묻고 더블로 가!6739 25/09/01 6739
518933 [서브컬쳐] [슈로대 Y] 아니나 다를까 역시나 그분다운 등장방법(스포일러) [8] 된장까스2577 25/09/01 2577
518932 [기타] 한국 전쟁에서 만나서 결혼한 미군 남자와 한국인 여자의 52-53년 사진 [33] 매번같은6146 25/09/01 6146
518931 [게임] 총을 쓰는데 왜 이렇게 밀리는 거지!? [15] 공기청정기4833 25/09/01 4833
518930 [유머] 오늘 맛있게 드셨나요? [18] 로켓5823 25/09/01 5823
518929 [기타] 94년~25년 역대 8월 서울 기온 통계 [62] 길갈5984 25/09/01 5984
518928 [유머] ??? : "한국이야말로 진정 위대한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23] Davi4ever6930 25/09/01 6930
518927 [음식] 진순, 진매 말고 진약 주세요 [55] VictoryFood6453 25/09/01 6453
518926 [유머] 한국에 놀러온 일본인들이 걸리는 함정카드 [25] 카루오스7108 25/09/01 7108
518925 [유머] 어깨에 좋지 못한 자세 [22] 코우사카 호노카6076 25/09/01 6076
518924 [LOL] 고수진 분석위원의 라이즈 올프로 [14] Lord Be Goja3414 25/09/01 3414
518923 [LOL] 양 극단에 서있는 두두 리치 [17] 카루오스3841 25/09/01 3841
518922 [기타] 서울역삼분지계 [48] 묻고 더블로 가!7255 25/09/01 7255
518921 [유머] 소녀는 갑진년부터.. [14] 롤격발매기원5103 25/09/01 5103
518920 [유머] 승리를 위해선 뭐든지 했던 장수 [12] 길갈5607 25/09/01 5607
518919 [게임] 블루아카이브 긴급 점검 [18] Lord Be Goja3231 25/09/01 3231
518918 [LOL] LCK 플인 티져 [23] 카루오스3145 25/09/01 3145
518917 [기타] 김밥 축제 준비 중인 김천의 딜레마... [65] 카미트리아7398 25/09/01 73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