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2 23:16
원어민이야 수십년간 써오면서 익힌 감이 있겠지만
외국인 입장에선 ……… 한국어나 일본어나 고급으로 가면 참 외국인 입장에서 어려운것같아요
25/07/02 23:21
의외로 쓰다보면 감이 생기긴 합니다. 불규칙 동사 외우는 느낌으로다가... 생각보다 규칙이랄지 그런 게 있어서.
물론 고전 문학이나 시적 표현은 도저히 못읽지만요.
25/07/02 23:31
일본어라곤 고등학생때 제2외국어로 배운거+서브컬쳐 깔짝댄 정도인데도 뭐랄까..
이 한자는 이럴 때 이렇게 읽는 게 아닐까? 싶어서 찍어보면 대충 7~80%정도는 맞아떨어지는게 신기하더군요. 물론 고전 문학이나 시적 표현은 도저히 못읽지만요.(2)
25/07/02 23:33
정말 1도 예상못했던 읽는 법이라면...
공각기동대 애니 Stand Alone Complex의 고다 카즌도였네요. 一人을 저렇게도 읽는다고??? 라면서 벙쪘었습니다.
25/07/03 00:09
동음이의어 자체는 여러 언어에 있겠지만서도... 한자를 경우에 따라 다르게 읽는건 어려운 부분이 맞는듯.
그래도 뭐 그렇게까지 겁먹을 필요는 없는게 결국 한국인중에 일본어를 비즈니스 이상으로 하는 사람은 많으니 결국 익히기 나름. 물론 기초부분이 타언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운데 갈수록 난이도가 올라가는 것은 사실이긴 함
25/07/03 00:19
그래도 일본어 정도면 easy to learn, hard to master입니다
다른 언어들은 hard to learn, hard to master죠
25/07/03 02:05
굳이 어려움을 강조하기 위해 만든 짤이라 틀린건 아니긴합니다만... 저기 나오는 단어들의 대부분, 예를들어 이케바나 이키가이 하에누키 키무스메 이런 어휘들은 통짜로 습득되는거지, "나을 생" 부분을 읽는 법만 따로 떼어서 외워야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어휘 자체를 알고 있으면 별로 어렵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저 얘기는 마치, 한국어에서 생명 생활 생부모 생방송 생음악 생크림 생고생 에서 "생"의 의미가 각기 다 다르기 때문에 헬 난이도다 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어느정도 수준있는 한국어 화자라면 저 단어들의 의미를 통채로 알고있지 접두사 생- 의 의미를 각각 외우거나 하지 않죠. 두 예시 다 그냥 해당언어 수준이 올라가면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부분입니다.
25/07/03 00:54
동음이의야 다른 언어에도 있는거고 비즈니스할 거 아니면 저 정도도 충분합니다.
한국어 화자 입장에서 파고들수록 쉬운 언어가 없는데 입문이라도 쉬우니 다행이죠.
25/07/03 01:35
한국어는 명함 못 내밀겠네요
문자부터, 가타카나에 한자까지 섞여 있으니.. 서양인 기준으로 한중일 중에선 한국어가 제일 쉬울 거 같기도 하고..? 회화는 어순이 비슷한 중국어가 더 쉬우려나
25/07/03 07:42
우리도 한글 없고 이두 이런거 남아있었으면 비슷했을 거 같습니다 아니 오히려 가타카나 히라가나 없고 한문만 외우면 됐으니 더 쉬웠으려나
25/07/03 08:08
일본어도 원어민 기준으로 한자 퍼펙트하게 읽고 사는건 말로 먹고사는 직종이나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대략 8~90%는 모국어로 쓰던 감이 있으니까 그걸로 맞추는데, 고유명사 등등해서 나머지 10~20%는 에라 모르겠다 하고 후리가나 읽는 느낌? 당장 홋카이도 어디 촌동네 지명 한자로 된거 읽어보라 하면 과연 크크크크
원어민도 그러고 있는데 하물며 외국인이야, 답 없는건 어쩔 수 없습니다.
25/07/03 08:43
반대로 일본인들은 철도공사 공사생도 공사작업 일본공사 공사구분 같이 수없이 뜻이 다른 한글 동음이의어 어떻게 다 구분하냐며 경악하죠 흐흐흐
25/07/03 09:07
(수정됨) 캐릭터 이름 지을 때도 봄, 여름, 겨울의 한자인 春夏冬 써놓고 아키나시라고 읽는다는군요 크크
아키가 가을 추(秋)인데 그게 이름에 없다고 아키나시라니... 관련 글입니다 [https://jwiki.kr/rhymix/index.php?mid=free&document_srl=41704]
25/07/03 09:29
일본인들도 많이 힘들어 합니다 크크크
특히 고등교육까지 패스하지 못한 일반인 포함 운동선수나 연예인 등. 晴天(세-텐)이라는 단어가 있죠. 말 그대로 '맑은 하늘'. 근데 이 한자를 뒤 바꾸면(天晴), 적어도 한글 기준으로는 텐세이, 로 읽히는 게 맞는데 일본어로는 あっぱれ(앗빠레)가 됩니다. 훌륭하다, 라는 뜻으로 전혀 다른 일본어가 되지요. 이걸 읽지 못하는 일본인들도 있을 정도이니 한자 관련해선 난이도가 있는 언어가 맞습니다.
25/07/03 10:20
일본살면서 지역명에 좀 당황하는데
첫번째 살던 곳은 주소에 元町가 들어갔고 두번째 살던 곳 주소는 西町가 들어갔습니다 지명이라는 한 카테고리로 묶임에도 저 町가 읽는법이 다르더군요 심지어 같은 西町를 쓰는 옆동네와도 읽는법이 다를때가 있어요 어차피 둘중에 하나라 큰 문제는 없다지만 지금 사는곳도 읽는법이 두가지라 은행이나 카드회사 이런데 전화상으로 본인확인할때 주소를 불러줘야 할 때가 있는데 주소 뭐뭐입니다 이랬더니 상담사가 그 한자를 몰라서 xx지명 알죠? 똑같은데 발음은 이렇습니다 하고 알려준 적이 있네요 한글 만만세입니다
25/07/03 10:28
저도 일본 살 때 板橋本町랑 与野本町에 살았었는데 혼쵸랑 혼마치였습니다 크크
그냥 통짜로 묶어서 부르다보니 타이핑 하는데 자연스럽게 혼쵸랑 혼마치로 치게 되네요
25/07/03 10:25
우리나라는 고유어는 고유어대로 한자어는 한자어대로 따로 쓰는데
쟤들은 고유어에 한자 붙인 다음 음은 고유어로 읽어버리니 배우는 입장에서 환장하죠 大田이라 써놓고서는 한밭이라 읽으라는 이야기나 마찬가지인데 익숙한 네이티브야 그러려니 하지만 머리 다 큰 성인 외국인이 새로 배우려면 이게 뭐지? 싶죠 개인적으로 일본어 배우면서 제일 힘들었던거는 경어랑 사역, 피동이었습니다 저런 단어는 표기만 저렇지 음이 다른건 뜻도 대부분 달라지기에 별개의 단어로 익히면 되는데 사역, 피동은 우리나라에서는 익숙하지 않다보니 이게 다 섞여서 나오는 문장은 정말 피곤하더라구요 이것도 얼추 계속 듣고 배우다보니 감으로 알아듣고 말하긴 하는데 가끔은 '내가 제대로 말하는게 맞나?' 하고 머릿속에서 하나하나 변환시키다보면 오히려 꼬여버립니다 크크
25/07/03 11:24
배울수록 어려운 게 아니고, 본문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훈독이라는 게 같은 한자문화권이자 자체 표음문자가 있는 한국인한테는 전혀 이해하기 어려운 게 아님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만...
배울수록 어렵다는 말도 원래 언어가 미묘한 뉘앙스를 따지기 시작하면 어려운 게 당연한데 오히려 일본어는 손쉽게 그 단계까지 올라갈 수 있으니 언어의 오묘함을 느끼기 시작하는 타이밍이 생각보다 빨라서 그런 말이 나온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25/07/03 11:32
그 한창 방송, 유튜브 활동 많이하던 오오기 히토시가 일본어가 한국어에 비해 불규칙이 너무 많아서 어렵다라고 했었는데...
조사나 높임법같이 외국인이 보기엔 불규칙 천지인 한국어에 비할까..했었는데 저쪽도 만만치 않은게 맞는 것 같군요..흐흐
25/07/03 12:30
고급으로 가면 어려운건... 솔직히 모든 언어가 다 그렇다고 생각해서. 저도 윗분말씀대로
"오히려 일본어는 어느 단계까지 쉽게 올라갈 수 있어서" 언어의 오묘함을 느끼는 타이밍이 더 빨라서 그런말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