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5/07 11:37:35
Name 독서상품권
File #1 6.jpg (78.0 KB), Download : 264
출처 엠엘비파크
Subject [유머] 경제에 대해 잘 알고있는 성인들도 절반은 틀린다는 문제


다른 커뮤니티들도 대부분 다 헷갈려 하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07 11:39
수정 아이콘
작년 물가 상승률이 -20%였고 동일하다면 더 많아지고 반대라면 적어지는데 상승률이니까 무조건 양수라고 생각하고 풀어야하나요
25/05/07 11:39
수정 아이콘
적어진다?
시행착오 합격생
25/05/07 11:39
수정 아이콘
물가상승률이 양수인지, 음수인지 알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독서상품권
25/05/07 11:42
수정 아이콘
네 다른 커뮤니티들은 물가상승률이 음수인 경우는 전혀 생각 못하더군요 괜히 예전에 전세계 대공황이 왔던게 아닌데
Sousky Seagal
25/05/07 11:42
수정 아이콘
[상승]률이 음수가 될 수 있나요??
츠라빈스카야
25/05/07 11:43
수정 아이콘
100원짜리가 다음 해 90원이 되면 상승률은 얼마인가요..
Sousky Seagal
25/05/07 11:44
수정 아이콘
물가가 하락했으니 하락률로 표기해야겠죠..
츠라빈스카야
25/05/07 11:45
수정 아이콘
부호만 바꾸면 되는데 굳이 이름을 바꿀 필요가 없죠
경제성장율을 마이너스 성장한다고 경제퇴행율이나 뭐 이렇게 부르진 않잖아요
cruithne
25/05/07 11:54
수정 아이콘
거의 대부분의 경우 물가는 상승하니까 굳이 물가상승률/물가하락률이라는 용어를 따로 쓸 이유가 없죠.
25/05/07 12:08
수정 아이콘
거의 그렇긴 하지만 문제를 내려면 그런 변수는 미리 통제해주는게 맞죠.
만약 수능인데 저렇게 문제가 나왔다면.. 아마 전원 정답 처리 되지 않을까요?
cruithne
25/05/07 12:15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humor/515093#8431999

결론은 언론이 문제인걸로 크크크크크크
쵸젠뇽밍
25/05/07 11:52
수정 아이콘
마이너스 성장이란 말이 성장해서 나온 말이 아니죠.
Sousky Seagal
25/05/07 11:55
수정 아이콘
어.. 경제성장률하고는 다르게 물가는 상승 하락이 따로 용어가 있지 않나요?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시행착오 합격생
25/05/07 12:42
수정 아이콘
물가는 일반적으로 상승하니까 물가상승률이라고 표현하는 게 기본이고,
물가가 하락하는 경우(디플레이션)에는 일반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 몇 %라고 합니다.
25/05/07 14:07
수정 아이콘
실제로 인구감소가 큰 화두가 된 나라라면 경제성장이 마이너스 찍는 걸 진지하게 걱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경제성장이 마이너스가 된다면 물가상승 역시 답보 혹은 후퇴할 확률이 제법 크죠
25/05/07 11:43
수정 아이콘
물가상승률이 아니라 인플레이션이라고 써있었다면 3번이 맞겠죠. 뭔가 문제를 옮기면서 잘못된게 아닐까요?
옥동이
25/05/07 11:39
수정 아이콘
3 아닌가요?
깃털달린뱀
25/05/07 11:41
수정 아이콘
의외로 전기에 디플레가 왔다든가
25/05/07 11:42
수정 아이콘
2024 물가상승률: 2.4%
2024 저축성수신금리: 약 3.5%

그러니 물가상승률<(세후)예금금리 라면 내년에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은 늘어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싸구려신사
25/05/07 11:43
수정 아이콘
동일한게 아니군요.
25/05/07 11:45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한국에서 디플레이션을 아직은 가정하진 않죠. 피지알에서 싼다할때 똥이 상수인것처럼.
TWICE NC
25/05/07 11:46
수정 아이콘
물가상승률이 그대로라는 표현이 있으니 전년도 물가상승률과 동일하다는 전제로 문제를 풀면 되죠
작년이 올랐으니 당연히 살 수 있는 물건은 적어집니다
레드빠돌이
25/05/07 11:47
수정 아이콘
알수없다 아닌가요?
적어진다거 하기엔 문제에 가정이 너무 많이 필요한데요
레드미스트
25/05/07 11:47
수정 아이콘
금융 문제가 아니라 국어 문제였군요
로즈엘
25/05/07 11:47
수정 아이콘
뉴스에서 축약된 부분만 캡처를 했네요. 원본 문제는 3%라고 가정을 했습니다.
탈리스만
25/05/07 11:50
수정 아이콘
역시.. 그렇게 허술할리가 없군요. 크크크
Sousky Seagal
25/05/07 11:55
수정 아이콘
아닠크크크크크...
하이퍼나이프
25/05/07 12:06
수정 아이콘
'귀하가 100만원을 선물로 받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돈을 1년 후에 받게 된다면 물가 상승률이 3%를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1년 후에 받을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은 지금 받아서 사는 경우에 비해서 어떻습니까?'
1. 많다 2.동일하다 3.적다

원본 문제는 이렇군요
마이너스 성장률이니 하는건 무의미한 논쟁이었던거로...
25/05/07 12:07
수정 아이콘
상식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를 찍은 해가 없으니 그럴 것 같았습니다.
EK포에버
25/05/07 12:37
수정 아이콘
연간기준으로는 모르겠으나 물가상승률 마이너스 찍은 적 의외로 좀 됩니다.

https://www.ebn.co.kr/externalArticle/posco/view.html?idxno=1436418
25/05/07 12:10
수정 아이콘
하긴 명색이 한국은행에서 저렇게 모호하게 문제를 낼리 없다고 생각하긴 했습니다 크크크
25/05/07 11:53
수정 아이콘
저건 문제 낸 사람 금융이해력부터 살펴봐야...
윌슨 블레이드
25/05/07 11:53
수정 아이콘
문제가 똥인데 어케 맞추죠?
한때잘나간직장인
25/05/07 13:48
수정 아이콘
문제가 똥이면 PGR러는 다 맞춰야죠
25/05/07 16:38
수정 아이콘
맞추진 못해요. 맛볼뿐
메가트롤
25/05/07 11:54
수정 아이콘
언론이 또 언론하는
25/05/07 12:1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제목부분의 경제에 대해 잘 알고있는
이란 부분도 의심스럽습니다 크크크크
그 닉네임
25/05/07 12:14
수정 아이콘
제목, 캡쳐된 사진 그 밑 댓글들 까지
커뮤니티 요약본이군요 크크크
25/05/07 12:14
수정 아이콘
당연히 전년도 물가상승률이니까 답은 3번이겠죠?
25/05/07 12:21
수정 아이콘
저 사진 조작인거죠? 역시 답이 여러개.
소독용 에탄올
25/05/07 12:24
수정 아이콘
물가상승률은 물건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지표상 상승이 내가 사려는 물건에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가정은 없어서....
명탐정코난
25/05/07 12:25
수정 아이콘
물가상승률이 그대로라는 거 에대한 정의가 없네요
25/05/07 12:28
수정 아이콘
사진 조작 아오 크크크크크크
요케레스
25/05/07 12:30
수정 아이콘
많이 틀린다는 문제는 내가 안찍을 걸로 하면 맞음
스테비아
25/05/07 12:30
수정 아이콘
내년에 살 수 있는 달러의 양은 얼마일까요?

창용이형 풀어죠...
아케르나르
25/05/07 12:37
수정 아이콘
선지가 잘못 나왔죠... 물가 하락의 경우를 고려해야 된다면 '모른다' 도 있어야.
카마인
25/05/07 13:03
수정 아이콘
물가가 떨어진 적이 있어 . . ? (유류 제외)
시무룩
25/05/07 14:03
수정 아이콘
하하 그 100만원은 올해의 내가 다 써버렸으니 저런 걱정은 마라고! 내년의 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73253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91850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97778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1018723
519775 [유머] 탕비실에 진열해놨길래 마셨는데 뿡뿡이됨 [15] VictoryFood3431 25/10/01 3431
519773 [기타] 유튜브 계정정지에 억울함호소,343억 받은 79세 노인 [19] Lord Be Goja5904 25/09/30 5904
519772 [유머] 오늘 발표된 것 [2] 동굴곰4218 25/09/30 4218
519771 [유머] 한국의 제육천마왕 [14] 인간흑인대머리남캐5385 25/09/30 5385
519770 [게임] 챗지피티- 60hz 모니터에서 120fps 게임과 60fps 게임의 차 [6] 밥과글3264 25/09/30 3264
519769 [동물&귀욤] 아기 멧돼지의 도전.mp4 [12] Myoi Mina 2448 25/09/30 2448
519767 [LOL] LCK 샐캡 감면 포인트 현황 [28] 아롱이다롱이4223 25/09/30 4223
519766 [연예인] 악플러에 대처하는 최고의 방법 [32] Davi4ever6925 25/09/30 6925
519765 [유머] 혼자 여행하는 여성들의 필수품 [13] 퍼블레인7114 25/09/30 7114
519763 [서브컬쳐] 사이게)와타시와 요와이.. [6] 롤격발매기원2290 25/09/30 2290
519762 [LOL] 롤로파 개막전은 JDG vs DK [17] Lz3748 25/09/30 3748
519761 [기타] 대한항공-아시아나 마일리지 통합안 [37] Karolin6701 25/09/30 6701
519760 [서브컬쳐] (스포) 체인소맨 레제 편을 본 관객이 큰 후유증을 겪는 이유.JPG [25] Anti-MAGE5473 25/09/30 5473
519759 [유머] 열살 어린 20대초 신규직원이랑 직장에서 대놓고 찐하게 스킨쉽 해봤다 [7] 업앤다운타운8447 25/09/30 8447
519758 [게임] [19금]좋은 사전베타 평을 얻었던 배틀필드6 공식 트레일라 [10] Lord Be Goja5791 25/09/30 5791
519757 [서브컬쳐] 개발자 권유받는 만화 [23] 퍼블레인6131 25/09/30 6131
519756 [게임] 롤 격투게임 신캐 티모 [11] 롤격발매기원5606 25/09/30 5606
519755 [유머] 왕년에 여자 여럿 울리셨다는 50대 술꾼 아재의 자랑.jpg [25] 매번같은11248 25/09/30 11248
519753 [방송] 폭군셰프가 대역물인 이유 [11] 된장까스8224 25/09/29 82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