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9/27 15:04
문화통치를 시작한 일제는 원망의 대상인 헌병경찰제를 끝내고 일반경찰제를 시행한다고 선언했는데, 그러자면 기존 경찰 인력 외에 6,800명을 증원해야 했다. 일본 육군 헌병에서 약 2천 명을 전역과 동시에 순사로 임용토록 하는 형식으로 이관받고 일본 본토(소위 '내지')에서 1,500명을 차출하고 3천 명 이상을 신규로 뽑았는데, 인적 자원 수준은 다음과 같았다.
헌병 출신자의 신분 전환: 그나마 인적 자원의 질은 높은 편이었으나, 아무래도 군인 출신이라 조선인들의 거부감이 높은 것은 여전했다. 본토(내지) 전속인원: 본토 각 현경 당국이 쓰레기들을 날려버리는 기회로 활용했다. 신규 채용자: 당시 경기가 호황이라 양질의 자원은 경찰 따위에 지원하지 않았다. 물론 내지인들만으로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외지인 조선인들[1] 가운데에서도 순사직(당연히 최하 계급인 순사보부터 시작)을 모집 했는데,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지원했다. 1935년에는 경쟁률이 무려 19.6대 1이나 되었을 정도다. 당시 조선인으로서 가질 수 있었던 몇 안 되는 권력도 있고 철밥통인 직장이었기 때문이다. 아니면 단순히 걍 경찰이 되고 싶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지원한 사람도 많았다. # 순사 시험 인기는 오늘날 공시족의 그것 못지않았다. 당시 기록에 의하면 충청북도에서는 30명을 채용하는 순사 시험에 500여 명이 지원하기도 했고, 전라남도에서는 35명을 채용하는 순사시험에 477명이 지원하기도 했다. 순사 시험에 합격하면 동네잔치가 열렸다는 말이 과하지 않다고 한 라고 하네요.비율로 보면 일본인이 더 많았을듯..
23/09/27 15:34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당시 일제가 잡아가둔 사람중에는 실제 범죄자도 있겠죠.
백백교 이야기도 보니까 일제 경찰들 일반 업무하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맨날 독립운동가 잡는 역할만 보다가 그런거 보니까 뭔가 생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