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1/02 10:52:03
Name Aqours
File #1 17cddc1c53b542611.jpg (1.41 MB), Download : 37
출처 2차 루리웹
Subject [방송]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일본인과 한국인





슬램덩크도 이제 너무 옛날이긴 한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동원
21/11/02 10:54
수정 아이콘
터치도 물어봤어야지!
그것도 안봤으면 그냥 스포츠물에 관심이 없는 거겠죠.
회색사과
21/11/02 10:58
수정 아이콘
뭐 저도 아다치 미츠루 하나도 안보기는 했습니다.
[집에 만화책 1500 권 넘게 있던 놈..]
21/11/02 11:10
수정 아이콘
저도 두권인가만 보고 넘김
캡틴에이헙
21/11/02 12:13
수정 아이콘
취향은 취향이라는 걸 수치로 증명하는 분이네요
씹빠정
21/11/02 12:42
수정 아이콘
납득…
문문문무
21/11/02 10:55
수정 아이콘
하긴 저도 손흥민 경기 뭐뛰었는지 최근 성적이 어떤지 별로 안궁금하고 잘 모릅니다.
21/11/02 11:19
수정 아이콘
손흥민은 일본인도 잘모르긴 할거에요.
김첼시
21/11/02 10:55
수정 아이콘
뭐 피튀기는거 안좋아해서 오징어게임 안 본 한국인들도
믾으니
ComeAgain
21/11/02 10:56
수정 아이콘
오징어게임 및 각종 천만 영화 안 본 거 다수입니다.
21/11/02 11: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태극기를 제외한 모든 천만영화를 안봤습니다

외산 포함해도 반지의제왕만 봤네요

아 생각해보니 실미도도 보긴 했네요 하나 추가됐네...
21/11/02 14:04
수정 아이콘
오오 저랑 비벼볼만 하시네요 크크
하지만 이건 어떤가요? 전 어벤져스도 안봤습니다!
21/11/02 14:08
수정 아이콘
마블 디씨 전부 합쳐서 스파이더맨 뉴유니버스 하나 봤습니다
21/11/02 14:10
수정 아이콘
아아.. 전 아이언맨 시리즈는 봤으니 저의 패배로군요 크읍
21/11/02 14:14
수정 아이콘
승부를 걸어오면 지지 않는다!(패배)
소믈리에
21/11/02 14:48
수정 아이콘
다크나이트도 안보셨습니까?
21/11/02 14:56
수정 아이콘
아 이것도 봤구나.. 알고보니 나도 인싸??
21/11/02 14: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본 배트맨 영상은 배트맨 TAS 더빙뿐입니다

어디선가 나타났다 바람처럼 사라지는 배트맨 배트맨 배트맨
열혈둥이
21/11/02 10:59
수정 아이콘
일본이야 만화가 홍수처럼 나오는 곳이라 큰관심없으면 골라보는게 여의치 않죠.
순위보고 골라보는게 아니라면요.
우리나라는 그중에서도 고르고 고른 정수같은 녀석들이 수입되어 들어오기때문에
만화좋아하는 사람들은 일본친구들보다 아는 명작의 수는 더 많을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한류 드라마가 있죠. 크크.
야 사랑의 불시착 안봤어? 이태원 클라스 안봤다고? 한국인 맞어?
아영기사
21/11/02 11:15
수정 아이콘
둘 다 안본 한국인이 저군요 ^^
문문문무
21/11/02 11:15
수정 아이콘
명쾌한 비유네요 저 대학 1학년때 중국인 학생이 자꾸 무슨 드라마 봤냐 이러는데 그게 뭔데 10덕아 했을뿐인...
21/11/02 11:20
수정 아이콘
헐 저도 2개다 안봤는데... 한국인은 맞을꺼예요...
오겜도 아직 안봄...
열혈둥이
21/11/02 11:22
수정 아이콘
혹시나 두분이 오해하실것 같아서 말씀드리자면
두개다 안본 한국인은 많을거고
한류 좋아하는 일본인들이 저렇게 말할거라는거에요.
흐흐
덴드로븀
21/11/02 10:59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 연재
1990년 42호 ~ 1996년 27호

H2 연재
1992년 32호 ~ 1999년 50호

열혈강호
1994. 5. 20. ~ 연재중 (+10028일째)
...? 연재중???
천우희
21/11/02 12:44
수정 아이콘
열혈강호 언제끝날까요..
이브이
21/11/02 11:03
수정 아이콘
이자식 일본인 아니네
구마라습
21/11/02 11:07
수정 아이콘
드래곤볼도 안봤다면 노일본인 인정합니다.
아이폰텐
21/11/02 11:08
수정 아이콘
일본도 갈라파고스화가 엄청 심해서 다들 서브컬쳐 환장할거 같지만 그 환장하는 사람들마자 갈라파고스화가 심해서 암만 유명한 서브컬쳐라도 아예안본사람이 생각보다 엄청나게 존재하죠.
21/11/02 11:23
수정 아이콘
그게 보기에 따라 갈라파고스화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취향의 선택지가 굉장히 많은 것이기도 하죠.
실제상황입니다
21/11/02 11:35
수정 아이콘
그만큼 수요가 많고 컨텐츠도 다양하고 시장도 크다는 거죠. 퀄리티도 상당하고. 영화랑은 사정이 다른 듯합니다.
어서오고
21/11/02 11:39
수정 아이콘
그건 갈라파고스가 아니라 저변이 넓은거라고 하죠...완전 반대되는 개념
아이폰텐
21/11/02 11:49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크크 단어 선택이 잘못됐네요
말그대로 어떤 분야 덕질하기 참 좋은 나라
겟타 아크 봄버
21/11/02 11:08
수정 아이콘
저처럼 축구에 일절 무관심한 사람도 있으니까요 충분히 이해합니다
21/11/02 11:09
수정 아이콘
스포츠 만화의 특유의 똑같은 레파토리 때문에 슬램덩크도 2번은 못 보겠더군요. 드래곤볼 같은건 몇번을 봐도 재밌는데 슬램덩크는 딱 한번만 봤네요.
갑의횡포
21/11/02 11:10
수정 아이콘
아재들 신났네
21/11/02 11:11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는 연재가 점프가 아니었나? 점프 정도는 보잖아?
葡萄美酒月光杯
21/11/02 11:11
수정 아이콘
항상 느끼는거지만 뭐에는 뭐지 뭐는 반드시 해야지 이런 전체주의는 한국이 일본보다 더한거 같아요.
21/11/02 11:12
수정 아이콘
복수는 나의것, 금자씨 보고나니 올드보이가 너무 예상되서 안보고 박착욱을 그렇게 좋아하는것도 아니여서 안봤는데 영화이야기 나올때마다 올드보이를 안보고 어떻게 영화를 논할수 있냐는둥 만나는 사람마다 난리를 치는.
민초조아
21/11/02 11:14
수정 아이콘
드래곤볼 귀칼 둘 다 안봤으면 사실 일본이 아니죠.
산다는건
21/11/02 11:17
수정 아이콘
오징어게임 안 본 한국인은 수두룩 한데요 뭐..
감자채볶음
21/11/02 11:19
수정 아이콘
일본인 아닌거 같은데...
21/11/02 11:20
수정 아이콘
저 한국분이 너무 오바를 심하게 하시는데...
칠리코코넛
21/11/02 11:20
수정 아이콘
허일후 아나운서 81년생으로 나오는데 그 세대면 성장기에 우리나라에서 농구가 광적으로 인기가 있던 시절이라 슬램덩크 안 본게 본인 입장에서 한국 한정으로 이해가 안될 수도 있긴 할듯요. 크크 하지만 일본인이잖아?
21/11/02 11:21
수정 아이콘
슬덩본사람들이 하도 슬덩슬덩해서 그렇지 안본사람들도 많죠 크크 무슨 필수서적도 아니고...
전성기 드래곤볼조차 안본 일본인도 꽤 있어요.
스덕선생
21/11/02 11:23
수정 아이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서브컬처의 영향력이 과대평가되는게 예를 들어 김판석 VS 신현철 떡밥이 나오면 슬램덩크 팬들이 몰려들겠지만

슬램덩크를 안 본 사람들은 자기는 모른다고 댓글을 쓰는게 아니라 지나가버릴겁니다. 흔히 말하는 과포집 현상이죠.
전지현
21/11/02 11:53
수정 아이콘
신현철 승
만취백수
21/11/02 11:22
수정 아이콘
저도 k pop 좋아하는 외국인 친구들이 저보다 더 한국 대중문화에 빠삭합니다 흐흐.
바부야마
21/11/02 11:22
수정 아이콘
원피스?
21/11/02 11:25
수정 아이콘
드래곤볼, 나루토, 원피스 안본 사람이 있습니다
한국사람인데 그게 접니다....
스덕선생
21/11/02 11:26
수정 아이콘
반전으로 왜냐면 나는 쇠돌이 세대라... 이런건 아니시죠 크크
21/11/02 11:37
수정 아이콘
그냥 지병으로 마이너병을 달고 있어서 그럴뿐인.....ㅠㅠㅠㅠㅠ
하르피온
21/11/02 11:38
수정 아이콘
저도 안봤습니다
대충 거북등껍질스승에 이마 점6개달린애랑 천하제일 뭐시기 정도는 압니다 크크
21/11/02 13:32
수정 아이콘
저도 안봤습니다 흐흐 80년대 생인데 슬램덩크도 당연히 안봤네요.
21/11/02 11:26
수정 아이콘
저 일본인의 나이대가 어린거 아닐까요? 보니깐 92년생이던데.
슬램덩크에 재미를 느끼려면 초4이상은 되야될것같은데
저 일본인은 2002년에 초4네요.
21/11/02 11:29
수정 아이콘
제 친구(일본인)도 고등학생 때 저로 인해 더 파이팅과 이니셜D에 입문했습니다.
"너 임마 마쿠노우찌 잇뽀를 모른다고?! 뎀프시롤 모름? 이거 이거(휙 휙) 모름?"
"아니 아니메를 왜 한국인인 니가 나보다 잘 아는 건데…"
글쓴이
21/11/02 11:32
수정 아이콘
인생에 재밌는게 최소 두개는 남았단 뜻이네요 부럽습니다
키모이맨
21/11/02 11:33
수정 아이콘
이건 어렵게 생각할게 없는데 국내 인터넷 커뮤 많이하는 2~30대 남성만 대상으로 놓고봐도
외국인 만났는데 외국인이 한국드라마 이야기하면 정작 자기는 안본게 수두룩할거고
(드라마랑 담쌓고 사는 남자들도 많아서 아예 안보는 사람들도 많음 애초에)
BTS이야기하면 BTS 멤버이름 한두명 알까말까한 사람이 대부분일겁니다
근데 외국에 알려진 유명 한류라는게 K드라마 K팝 BTS이런거잖아요 크크
아이지스
21/11/02 11:34
수정 아이콘
H2보단 터치를 물어봤어야죠
21/11/02 11:36
수정 아이콘
이거랑 비슷한 편견(?)이

'부산사람이 롯데를 응원안한다고?'

입니다 크크크크

일본사람이라고 다 만화좋아하지않죠. 어디까지나 서브컬쳐라
실제상황입니다
21/11/02 11:45
수정 아이콘
사실 뭐 그렇게 치면 한국 내에서의 한드 인기나 k팝(을 비롯해서 온갖 음악 장르)도 다 서브컬쳐일 뿐이라서... 요새는 파편화가 심해서 더 그렇죠. 가아안혹 오징어게임 같은 게 나올 뿐이구요. 드래곤볼 원나블 같은 게 나오는 것처럼요. 사실 드래곤볼 원나블 안본 일본인들 많듯이 오징어게임 안본 분들도 수두룩할 겁니다. 한국 최고의 흥행작이라는 명량이나 bts 같은 것도 마찬가지구요. 그저 그것들이 주류라는 권위를 가지고 있을 뿐이지 인지도나 소비량은 일본 내에서의 만화 인기랑 비교해봤을 때 거기서 거기일 겁니다. 주류라는 것들도 그냥 그 정도 수준일 뿐이라고 봐요.
서류조당
21/11/02 12:42
수정 아이콘
하긴 생각해보면 오징어게임은 넷플 가입안하면 볼 수가 없다는 진입장벽이 너무 높네요.
지금 한국 유료구독자가 400만 좀 넘는 정도니까 실제로는 천만 영화 수준 찍기가 쉽지 않을 거 같네요.
나랑드
21/11/02 12:35
수정 아이콘
자매품
부산사람이 회를 안먹는다고? 랑
부산사람이 수영을 못한다고도 있습니다. 크크크-
21/11/02 12:58
수정 아이콘
아 이거 빡치죠

실제로 제가 회못먹었기에 와..
류지나
21/11/02 11:42
수정 아이콘
80년대 아방 스트랏슈
90년대 아돌 및 이중극점
00년대 기어 써드
10년대 벽력일섬

이 국룰이었는데...
카마인
21/11/02 13:05
수정 아이콘
그래서 몇년대 생이신겁니까 덜덜덜
아히카리가
21/11/02 11:5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일본분들 지브리애니매이션은 다들 본것같더라구요 크크
김티모
21/11/02 11:59
수정 아이콘
티비에서 수시로 틀어주기 때문에...!
葡萄美酒月光杯
21/11/02 12:25
수정 아이콘
금요로드쇼
도뿔이
21/11/02 11:57
수정 아이콘
검색해보니 92년생인데 슬램덩크가 90~96연재죠.
대충 이정도면 80년생인 제 기준이면
우르세이 야츠라(78~87), 메종일각(80~87)정도인데..
란마랑 이누야사를 즐겨봤던 저도 알고는 있지만 딱히 찾아보지 않은 만화들이죠..
긴 하루의 끝에서
21/11/02 12:20
수정 아이콘
국내 기준으로는 92년생도, 특히 남자라면, 슬램덩크 모르기가 쉽지 않을 겁니다. 90년대 중반 무렵 수입되어 국내에서는 비디오판으로만 존재하던 슬램덩크 애니가 98년 즈음에 SBS에서 어린이 방송 시간대에 방영이 되었는데 이게 국내 애니 방영 역사상 손에 꼽힐 정도로 흥행을 했거든요.
도뿔이
21/11/02 20:01
수정 아이콘
국내 기준이니깐요. 일본 애니 종영이 96년입니다. 어린시절 슬램덩크 보고 농구에 빠졌던 저로서도 빈말로라도 애니화 퀄이 좋았다라고 말 못하고 우리나라보다 훨 애니가 다양하게 방영되는 일본 특성상 몰라도 몰라도 전혀 이상하지 않죠.
국내 애니 황금세대가 보통 90년대 초중반생 투니버스 세대를 꼽던데 볼게 풍부해지니 서로간에도 계층이 갈리는거랑 비슷하게 보면 되죠.
페로몬아돌
21/11/02 12:00
수정 아이콘
우뢰매 안 봄? 한국 사람 아니네 크크크
착한글만쓰기
21/11/02 12:18
수정 아이콘
근데 여러분 그거 아세요? 저 분 현실 유희왕 듀얼리스트에(대회나 동호회 꼬박꼬박 참가함)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같은 것도 계속 보고 있는 덕후임..영향력이 어쩌고 서브컬쳐가 어쩌고 할 게 아니라 그냥 저 분 취향이 확고할 뿐 크크
21/11/02 12:21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 좋아해서 배경이 되는 고등학교 앞에서 사진찍고 동호회 단톡방에 올렸더니 한때 연재했던 농구만화로 알고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좀 벙졌던 기억이 있네요.
21/11/02 12:32
수정 아이콘
딴건 몰라도 드래곤볼 현역때 안/못본 사람은 진짜 평범한 사람이 맞는지 의심해볼만 합니다. 크리링 죽었다고 다음날 학교가 뒤집어지던 시절인데.
21/11/02 13:31
수정 아이콘
크리링은 여러번 죽어서 언제 얘기하시는지 모르겠지만.. 두번째라면 초사이어인이 훨씬 화제였어서..
ChojjAReacH
21/11/02 12:35
수정 아이콘
서브컬쳐 물어볼거면 슬램덩크보다는 지브리 본 적 있냐가 더 적합할 듯
https://pgr21.com/humor/435970
이런 만화가 존재한다는게..
집으로돌아가야해
21/11/02 12:36
수정 아이콘
???: 스우파 안봄?
21/11/02 12:43
수정 아이콘
일본문화의 다양성이랄까...
지금은 시들한 J-pop도 잘나갈 때는 지금 K-pop과 비교해도 엄청나게 다양한 장르에 다양한 가수가 인기가 있었죠.
애니나 만화야 뭐 지금도 말할 것도 없고..
90년대말 한창 J-Rock 잘나갈때 라르크 팬이었는데, 일본 지인이 전혀 모르더군요.
더블 앨범이 둘다 200만장 넘게 나가고 홍백가합전 매해 나가고 하던 시절인데.. 안좋아하는게 아니라 누군지도 몰라서 놀랐던;;;
인구도 우리보다 많고 각자 좋아하는게 다르고 그만큼 만화도 장르별로 너무나 다양하게 많으니 총 1억권 나간 만화도 그럴 수 있다고 봅니다.
달달한고양이
21/11/02 12:45
수정 아이콘
고등학생 때 자매결연 맺은 지역에서 홈스테이를 짧게 했는데 음반 가게에 갔다가 당시 좋아하던 성우 앨범을 샀더니 ??? 하는 얼굴로 쳐다봐서 쵸큼 부끄러웠습니다…그래도 제법 네임드인 분이었는데 흙흙
나막신
21/11/02 12:46
수정 아이콘
않이.. 미카미 유아 작품 안봤냐고 물어봐야지..
사과별
21/11/02 13:03
수정 아이콘
세대랑 취향이 다른 걸지도?
오오기 저 분 유희왕 컨텐츠는 꾸준히 유튜브에 올리던데...
21/11/02 13:21
수정 아이콘
저 만화 엄청좋아하고 농구 엄청좋아하는데 슬램덩크 한번도 안봣습니다.
아 1권만본게 몇번 됩니다.
1권보다가 포기함 왜인지는 기억이안나는데...
류지나
21/11/02 13:33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 초기 기획은 농구가 아니라 개그 청춘물이여서 1권 지금 보면 '훅훅 디펜스'같은 초월적인(?) 장면이 나올 겁니다. 아마 그런 부분에서 탈락하시지 않았나 싶어요. 완전판 기준으로 한 7권쯤인가? 정대만 폭력사건 이후에는 온전한 농구만화가 되지만요.
21/11/02 13:41
수정 아이콘
짱이랑 굿모닝티쳐랑 소마신화전기때메 소년챔프를 모았었는데 슬램덩크는 아예 안봣던 기억이납니다...흑흑 언제 한번 봐야지...했는데 아직도 못보고있음
류지나
21/11/02 13:47
수정 아이콘
농구 좋아하시면 올타임 레전드 만화니까 언제 각잡고 몰아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흐흐...
서류조당
21/11/02 14:03
수정 아이콘
제가 슬램덩크를 수십번 봤는데 1권은 딱 한 번 봤습니다.
1권이 제일 재미없어서 그다음부턴 무조건 제끼고 능남이랑 연습시합 하는 것부터 봤거든요. 요새는 아예 지역대회부터 보고요.
폭력사태 마무리 되고 연습 시작하는 것부터 보시든가 아예 상양전부터 보시는 거 추천합니다.
반니스텔루이
21/11/02 15:46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 전국대회부터 봅니다 크크
카미트리아
21/11/02 13:35
수정 아이콘
지브리도 아니고 슬램덩크랑 H2로 저런 반응은 오버 아닌가 싶네요
21/11/02 14:59
수정 아이콘
전 다크나이트 안봤어요 크
21/11/02 15: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서브컬쳐 좋아하는데 슬램덩크 안봤습니다. 세대가 뒤로 갈수록 안본 사람들이 더 많을듯하네요
21/11/02 16:13
수정 아이콘
만화 좋아하면 슬램덩크 H2 는 보세요. 강추합니다.
한국, 일본, 농구, 야구의 문제가 아닌데...
엑세리온
21/11/02 21:23
수정 아이콘
옛날에 pc통신 하면서 슬램덩크 최신 연재분을
스캔본도 아니고 영어 텍스트본을 누군가 퍼오고, 누군가 그걸 번역해줘서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0684 [방송] 한국말을 하나 배운 버튜버 [19] 시린비12080 21/11/22 12080
439220 [방송] 일본 예능에서 분석한 오징어게임 [26] Aqours9396 21/11/09 9396
438520 [방송] 서로 이해하지 못하는 일본인과 한국인 [92] Aqours14808 21/11/02 14808
438421 [방송] 디즈니 플러스에 훌루(스타) 통합 [22] 아케이드9164 21/11/01 9164
437545 [방송]  친한파인 일본 연예인.JPG [20] Aqours11592 21/10/24 11592
435782 [방송] 조선본토의 최신 식문화를 알아보는 [25] Lord Be Goja11545 21/10/07 11545
435554 [방송] 한국-일본 OTT순위 [31] 아케이드12195 21/10/06 12195
435164 [방송] 점심시간에도 자기개발에 열심이었던 1990년 직장인들.AVI [9] 비타에듀11313 21/10/02 11313
435110 [방송] 뭐든지 다 있는 무한도전 [4] 개맹이7773 21/10/01 7773
432628 [방송] 토요타 전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시제품 발표 [20] 아케이드11807 21/09/08 11807
432524 [방송] 일본 사극에서 백제를 느끼다 [10] 퍼블레인9841 21/09/06 9841
427558 [방송] 영국에서 만든 도쿄올림픽 광고 [18] KOZE11854 21/07/14 11854
413935 [방송] KBS의 변명 : 한국성인줄 알았다 [42] 아케이드12980 21/02/20 12980
413713 [방송] 일본에서 활동중인 러블리즈 미주 [14] 묘이 미나 9801 21/02/18 9801
412685 [방송] 일본 차 리뷰했다고 욕 먹은 유튜버.jpg (스압) [18] VictoryFood10000 21/02/07 10000
410531 [방송] 50평이 넘는 땅에 원룸을 만들어줬다 [21] 이오르다체15748 21/01/16 15748
409706 [방송] 일본 기생충 공중파 방영 [4] 추천9754 21/01/09 9754
408936 [방송] 일본 그 시절 코카콜라 광고 [41] 공항아저씨15338 21/01/01 15338
408208 [방송] 일본 부동산이 한국의 미래? [42] 공항아저씨14354 20/12/24 14354
407996 [방송] 독도는 일본땅이라고 하는 것들 종특 [38] Aqours11504 20/12/23 11504
406807 [방송] 상추쌈 먹는 일본 [59] Aqours13295 20/12/11 13295
403172 [방송] kpop..일본연예계 영향..jpg [30] 끄엑꾸엑12099 20/11/07 12099
402862 [방송] 장인 정신이 담긴 일본의 투표 방송 [13] Aqours10707 20/11/04 107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