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25 14:18
샤오미 같은 경우는 중국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것이지..
화웨이는 아예 중국군 하위 부서 아니냐 하는 차이가 있는 거 아닌가요?
19/05/25 16:51
윗 분 말씀이 맞습니다. 미국이 '중국기업들'을 때리는게 아니라, 유독 '화웨이'만 때리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화웨이는 화웨이 회장이 중국 공산당 장교 출신이라, 중국 정부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미 pgr에 중국 내 다른 기업과 화웨이의 실질적 기업 지배구조 차이에 대해 어떤 분이 자세히 써주셨습니다. https://pgr21.com/?b=8&n=80033
19/05/25 13:45
(수정됨) 틀린 내용이 많네요. 일단 TSMC는 계속 부품 납품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라 쓰는데 전혀 문제 없습니다. 물론 플레이스토어를 비롯한 구글 서비스는 못쓰겠지만요. PCI-SIG 탈퇴도 표준 제정에 참여 못한다는거지 그냥 사용하는데엔 문제가 없을꺼에요.
19/05/25 13:51
어차피 중국 스마트폰에서는 애시당초 플레이스토어를 안써서 그것도 상관없습니다. 우리나라 원스토어같은 것들 처럼 텐센트 샤오미 화웨이 등에서 만든 자체마켓어플을 사용하는게 일반적이라...
19/05/25 15:16
이게 중국 내수로만 돌리면 문제가 안되는데 화웨이는 수출도 많이 하거든요...
해외 수출품에 플레이스토어 구글서비스 못쓴다? 망한겁니다
19/05/25 13:45
안드로이드 쓸 순 있을겁니다 구글 서비스를 같이 쓰는게 아예 불가능해서 그렇지... 기술 지원도 못받고요. 근데 그 뿐만 아니라 짤이 전반적으로 제대로 서술을 안해놨네요. 저중에서 크리티컬은 구글이랑 arm이고 나머진 사실 곁다리입니다. 지금은 생산쪽인 tsmc는 아직 거래유지중이라 괜찮은데 tsmc도 거래 중단하면 진짜 사지절단일듯
19/05/25 13:48
그와중에 중국은 우리나라와 기업 상대로 협박중이더군요; 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95382
19/05/25 15:10
일단 '중유망'이라는 산업관련 언론매체의 의견을 요약한 기사인 것 같군요.
중국의 공식적인 입장도 아니라, 일개 언론의 기사처럼 보이는데, 그것도 기사 처음에는 '매체들'이라고 해놓고, 실제는 '중유망'의 기사만을 인용하고 있네요.
19/05/25 17:14
글쎄요.
중국이 협박 중이라는 표현을 쓰기에는 여전히 성급하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두고봐야겠지요. 화웨이라는 기업에 대한 문제와 사드 문제는 무게가 상당히 다르긴 하니까요.
19/05/25 23:30
네 당장 지금 난리 났다 라는 말은 아니고, 그냥 사드-한한령 때도 관영 매체에선 아무 제재가 없다 라고 말하기 일쑤라서
만약 실제로 화웨이 건으로 제재를 한다 하더라도 관영매체에서 대놓고 말하진 않을 거란 얘기였습니다.
19/05/25 14:08
본문에는 틀린사실이 너무 많은것 같습니다; 저정도로 다 짤리는건 아니에요.
아무튼 사실 화웨이가 중국 내수를 상대로 장사하는데는 큰 타격이 없는 상황인걸로 알고있습니다. (일례로, 어차피 중국사람들은 플레이스토어 원래 잘 안쓴다고..) 다만 화웨이는 수출 비중이 상당히 있는 회사라는게 문제인거죠.
19/05/25 16:05
중국에선 플레이스토어를 안쓰는게 아니라 못쓰는거죠. 어차피 중국에서 구글은 사업금지라, 구글스토어 뿐만 아니라 유투브, 구글드라이브, 구글 클라우드 같은 서비스들도 다 못씁니다.
그래서 온라인게임 같은걸 구글클라우드에서 서비스하던 업체가 중국 진출할려면 다른 클라우드 업체로 전환해야해요. 페이스북이랑 트위터도 마찬가지고요. ... 생각해보니, 미국이 화웨이 하나 막은건 양반이네요. 세계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들 대부분을 막아놨네;;
19/05/25 14:21
(수정됨) 다른건 사실 별거 아니지만 Arm 하고 구글이 타격입니다.
중국이 뒷배 봐주면 둘다 내수로는 타격이 적긴한데 물론 AP는 불법복제나 개발 하거나 둘중에 하나긴 할겁니다. 구글이야 수출이 문제지 내수는 이미 구글 떠난지 오래고요. 협회 쫒겨난건 이제 표준만들때 주도권이 없으니 따라만들어야하고 그래서 시간적인 손해 있는거만 생각하면되죠 결국 pc 쪽 cpu 인 인텔 암드하고 합쳐서 인텔 암드 암 막힌게 타격좀 있는거고 구글 막힌거는 수출길만 막힌거죠
19/05/25 14:31
핵심은 화웨이가 중국 국내용이 된다는거죠. 샤오미랑은 다르게 세계적인 기업을 꿈꾸다가 막힌거죠. 중국내에서는 여전히 잘 먹고 잘 살겁니다.
19/05/25 15:09
그동안 미국이 중국 안에서 일어나는 불법에 대해서는 무관심할 정도로 신경 안썼는데, 사실은 키워서 망치려는 속셈인지..
아마 기술료 거하게 내고 중국이 항복하는 그림으로 가겠죠.
19/05/25 16:09
근데, 중국에서 세계적인 검색 서비스, SNS 서비스들, 클라우드 서비스들, 메신저 서비스들 등등을 다 막아놓은걸 생각해보면, 화웨이 하나 조지는건 양반이네요.
WTO도 가입해있는 나라가 저렇게 대놓고 보호무역을 자행해놓고선 화웨이 수출길 막았다고 발끈하는걸 보면 웃깁니다. 상대가 미국이니까 깨갱하는거지 다른나라 같았으면 별의별 수단을 다 가져와서 국가적으로 대응했을걸요? 우리나라가 한한령 맞고, 일본이 희토류 가지고 맞았듯이.
19/05/25 17:51
자국 내 산업육성을 위해 해외 기업 및 자본이 자유롭게 진출하지 못하도록 막는건 후진국 종특이긴 합니다. 중국은 IT뿐만 아니라 수많은 분야에서 아예 해외 자본의 진출을 아예 봉쇄하는 수준으로 막아놨고, 진출이 열려있는 분야라 하더라도 자동차 등 많은 분야에서는 5:5 합작사 설립을 강제하고, 기술양도/지원이나 특허권양도/실시허가 등을 허가조건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이미 들어온 자본이나 기계 등이 다시 나가는 것을 막는 등 사실상 자유롭게 사업을 할 수 없는 경우가 굉장히 흔한 것은 사실인데, 중국 뿐만 아니라 후진국은 원래 대체로 그런 경향이 있거든요.
물론 어떤 분야에 장벽을 세워놓는다고 해서 국내회사들이 다 성공적으로 크는 것은 아닙니다만, 완전 자유경쟁을 허용하면 주유소 같은건 산유국이 아닌 이상 Shell, Mobil, Esso 등의 회사에 점령당하고, 자국 자동차회사는 아예 없어지고, 통신사도 Vodafone, T-Mobile, MTS 같은 회사한테 점령당하는 경우가 많으니까, 아무래도 자본이 없는 후진국들은 훼방을 많이들 놓죠. 다만 IT쪽은 개별회사를 때리는 경우는 많아도 중국처럼 황금방패 같은 프로젝트로 싹 막아버리는 국가는 잘 없어서, 어어어 하다가 점령당해버린 경우가 많기는 합니다. 한국의 경우에도 중국 수준까진 아니었지만 어느 정도는 비슷한 이유로 대림혼다, 효성스즈키, 한이석유(현 S-Oil, 쌍용 + NIOC), 호남정유(현 GS칼텍스, 럭키금성 + Caltex) 같은 합작사가 존재했었거나 현재도 존재하는 것이고, 포드 코티나 수입상에 가까웠던 현대자동차가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한 과정도 중국 Geely의 성장과정과 상당히 유사하며, 21세기에도 주로 외국회사라는 이유로 줘터진 회사들이 여럿 있습니다(론스타 등).
19/05/25 19:21
네, 완전 개방이 꼭 좋다는 뜻은 아니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도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이런저런 규제를 생각보다 많이 하고 있는 편이고, 그것때문에 분쟁도 많이 일어나죠.
그런데 대국굴기와 일대일로를 표방하는 자칭[대국]이 저런식으로 일방적인 자국산업 보호를 한다는건 좀 웃기고, 게다가 자기네는 싹다 막아놨으면서 외국이 조금만 규제할라치면 국가차원에서 나서서 쌩난리를 치는건 좀 치사하지 않나... 뭐 그런 얘기죠.
19/05/25 18:01
중국이 전쟁도 하고 아직 국경 분쟁을 2군데서 하고 있는 인도에 공을 들이고 특히 휴대폰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는게
미국에 플랫폼 싸움이 안되지만 인도의 저가폰 시장을 어떻게라도 장악하면 중국+인도 인구 빨로 플랫폼이 됩니다. 구글 못써도 자체 앱스토어나 서비스 굴려야 한다쳐도 중국+인도 만으로 세계 유저 절반급 사용인구인데 그 플랫폼을 무시할 수 가 없습니다. 게다가 인도 출시된 것들은 당연히 영어가 기본 언어로 들어가니 다른 시장에서도 접근하는데도 유리하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