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02 09:06
앞으로 나올 게임들 빼가는 것도 게이머 입장에서는 참 귀찮게 신경을 긁는 것이었는데,
스테디셀러 로켓리그를 아주 '빼오겠다'고요? 제정신입니까, 휴먼?
19/05/02 09:18
스트리머 빼가는 거야 까짓거 채널 바꿔서 보면 그만이지만 저건 똑같은 게임을 하나 더 사야하는거 아닌가요
그거하고 저거하고 다른 거 같은데
19/05/02 09:23
(수정됨) 스팀 판매가 중지되는 것이고 기존에 구매한 게임은 계속할 수 있습니다.
스팀에서 로켓리그 게임 구매가 막히는 거지 게임이 못하게 되는게 아닙니다. 그러니 똑같다고 생각됩니다.
19/05/02 09:49
추후 확팩이나 추가컨텐츠가 나올 경우 스팀에선 못쓴다는 얘기니까 결국 에픽스토어로 오라는거고. 그러면 중복구매를 할 수밖에 없게 되는거 아닐까요..
19/05/02 09:17
(수정됨) 국내선 존재감이 없지만 이겜 유저수가 5000만이 넘습니다.. 이 겜 콘솔 유저가 엄청나게 많은데 pc랑 콘솔은 크로스 플레이 지원중이죠. 스팀과 에픽 크로스 플레이 지원하면 별 문제 없을 거 같긴 한데 과연..
19/05/02 09:24
아마도 그러겠지만 공식적으로 스팀 판매 중지하겠다고 얘기한 적은 없습니다.
기존 스팀 구매자들 서포트(패치, DLC 등)는 당연히 지속되는 것이고요. 에픽 스토어가 엄청 공격적으로 투자해서 반감을 사고 있긴 한데 사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사실상 스팀 독점 체제에 비해서 특별히 손해보는 상황은 아닌데 말이죠. 게임 개발자 입장에서도 에픽 스토어 덕분에 스팀에 지불하는 수수료가 줄어들었고요.
19/05/02 10:29
계속 그럴진 모르겠지만 수수료를 소비자에게 부담시켜서 게임 구매 가격을 올리고 있는 에픽스토어가 소비자에게 손해가 없다구요? 개발사만 더 이득인거 아닌가요?
19/05/02 10:52
스팀이랑 같이 출시한 게임 중 에픽이 더 비싼 타이틀이 있나요?
오히려 개발도상국들 거주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죠. 결제 수수료를 얘기하는 거라면 일반적인 비자/마스터카드/페이팔 등은 수수료가 없고요.
19/05/02 12:05
가격비교 치면 바로 나오는데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40920454 개발사에 스토어 수수료 줄여주고 자기들 수익만큼 소비자가격을 올린걸로 아는데 제가 잘못알고 있는건가요?
19/05/02 12:14
일단 미국 계정으로 검색해보면 스팀/에픽 다 $14.99로 나오네요.
저 수수료는 Xsolla 이용한 결제 때문에 추가 된겁니다. 말했듯이 비자/마스터/페이팔로 하면 수수료 없어요.
19/05/02 09:27
아노1800도 에픽독점으로 전환됬지만 스팀에서 구매했던사람은 정상적으로 플레이할수있습니다.
독점으로 전환되도 스팀구매자는 계속 플레이할수있을거에요.
19/05/02 09:33
요즘 에픽의 공격적 투자 때문에 스팀(밸브)가 약자처럼 보이기 까지 하는데.. 사실 자금 동원력은 애네가 훨씬 앞설건데 말이죠. 대체 현금이 얼마나 있을지 상상이 안가요. 개인적인 추측으론 게임사 중 현금 많기로 유명한 닌텐도 만큼 있을 거 같음. 생각보다 적더라도 수조원 있을건 확실하고요.
19/05/02 09:35
독점보다는 경쟁이 훨씬 좋기야 한데, 이게 일반적인 상품판매의 경쟁형태와 종류가 다르다보니 감정적으로 기분나쁠수 있다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저도 PC에서만은 플랫폼 하나에 그냥 모아놓고 싶거든요..경쟁을 해도 내가 선택권이 있는 상태에서 이걸 하든 저걸 하든 해야 기분이 안 나쁜거라. 사실 후발주자가 '독점게임' 을 빼고 스팀을 따라잡을수 있는 방법이 있나 싶을정도긴 해서, 양쪽다 이해가 가는편입니다.
19/05/02 09:44
(수정됨) 크로스 플레이만 되면 아무 상관없는거 아닌가요?
저는 스팀의 배짱 수수료장사가 맘에 드는건 아니라서 에픽이 유독 비난받는 이유를 이해하기 힘드네요. 그냥 유저 입장에서 다른 플랫폼 깔아서 쓰기 귀찮다는거 밖에 없는데, 그러기엔 유플레이 오리진 독점작들도 욕 안하고 잘만 했었는데 말입니다.
19/05/02 09:48
욕하는 사람들 얘기 들어보면
에픽은 돈으로 다른 회사 스팀 게임 내리니까 욕하는 거고.. 오리진 유플 걔들은 자기들 게임을 스팀에서 내리고 자기 플랫폼에 내는 거라 욕 안한다는 논리였는데. 막상 인수해서 자기들 게임 된거 내려도 욕하는 거 보면 에픽이 참 미움 많이 받은 듯
19/05/02 09:57
딱 더도 덜도 아니고 '귀찮음' 맞지요. 크크...
스팀이 뭐 사실 사람을 죽이고 살릴 이슈는 아니긴합니다만, 자꾸 협잡질로 손님을 여기가라 저기가라... 구매하신 물건을 여기 쌓아둬라 저기 쌓아둬라, 아참 그런데 여기 에픽스토어는 국내서버도 없고, 유저 리뷰도 없습니다. (대충 아무튼 기존에 쓰던 클라이언트랑 구조가 다르다는 말) 친추도 따로 다시하고, 세일 목록도 이쪽도 신경쓰시고, 이쪽 보안이슈 같은것도 신경쓰시고, 하드에 공간도 내어드리고... 나중에 추억속의 툴바처럼 한 10개를 깔 수도 있는거고, 아무튼 기존에 잘 쓰고 있는데, '독과점을 유지시키는 꿀꿀이는 정의의 오라를 받으라~!' 하면서 자꾸 이빨이 빠지는게, 점점 잇몸이 시려지는 것이, 스케일링을 받아야되는 심정이랄까요. 뭐 이건 일단 제 입장이겠네요, 헤.
19/05/02 09:58
스팀에서 사전구매 예약 다 받아놓고 갑자기 독점전환 되서 반감이 큰 거 아닌가 싶어요.
메트로 엑소더스 때 미운털이 제대로 박힌 거죠.
19/05/02 10:04
에픽의 위선자 놀음이 역겹거든요.
포트나이트로 끌어드린 트래픽 빠지기 전에 유통플랫폼 정착시키고 지들 돈 벌려고 하는건데, GDC나 각종 인터뷰들 보면 거의 성전을 치루는 정의의 사도 코스프레를 하고 있습니다. 그냥 돈 벌려고 한다는데 솔직하면 누가 뭐라고 할 사람 없고, 뭐라고 하더라도 공허한 외침이겠지만 에픽의 위선 때문에 모순이 많이 생기고 있으니 까이는게 합당합니다.
19/05/02 10:57
메트로건은 까일게 맞습니다만, 그 이후로 모든 행보를 다 혐오하는건 이상하죠.
에픽의 위선이야 저도 봤습니다만, 그건 비교적 최근에 발표한 '스팀의 수수료를 낮출때까지 우리는 계속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칠 것이다' 에서였구요, 그 이전에도 혐오는 엄청났죠. 단순 위선때문이라기에는 '그냥 싫어서'인 사람이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19/05/02 11:00
로켓리그건도 반 유저 정책이죠.
이미 구매한 유저 지원은 한다지만 커뮤니티 베이스게임인데 스팀에 신규유입 막아서 말려죽인단건데요, 스팀 유저에 대한 박해입니다. 이에이도 유비도 팔던 게임을 자기네 플랫폼 만들었다고 내리진 않았습니다.
19/05/02 10:28
일단 플랫폼의 편의성 자체가 비교도 안되게 스팀이 좋기도 하고, 게임 플레이가 아니라 게임 수집이 취미인 사람 입장에서는 스팀 라이브러리에서 쫙 수집하고 싶은데 에픽 독점이 되어버리면 그렇게 못 해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솔직히 유저 입장에서는 스팀>>>>>에픽스토어라서요.
19/05/02 10:59
말씀하신 부분은 오리진, 유플레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항입니다. 스팀에 비하면야 다른 플랫폼들은 전부 떨어지는게 사실이죠.
그렇다고 유플레이, 오리진을 에픽처럼 대놓고 혐오하진 않으니까요.
19/05/02 10:09
(수정됨) 에픽독점이면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저 게임은 유저 창작 콘텐츠 제작이 활발한지라...
근데 에픽게임즈에서는 유저의 자체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지 않고 앞으로도 그럴 예정이 없다고 못박았거든요.
19/05/02 10:12
웬만큼 게임계 관심있다고 생각했지만, 진짜 생전 처음 들어보는 작품이네요.
옛날에 크로스파이어의 존재를 알게됐을때도 느낀거지만 한국에서 인지도 없는 글로벌 흥겜 내지 차이나흥겜이 굉장히 많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