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22 10:45
불필요 한데, 없으면 넌 왜 이거 없어? 가 될거 같은데..
사실 차별화가 안되서 그렇지 이젠 기본으로 깔고가니까 필요가 없다고 하는거 아닐까요. 극기 이색경험은 이력서 소설쓰다보면 필요할거 같네요.
19/04/22 10:49
석박사 학위 크크크크크크
이력서 소설 정말 싫습니다. 그냥 나한테 원하는걸 말하시라고요. 집단내 위기상황에서 창의성을 발휘하면 윗사람이 엎음. 리더십을 보이면 월권행위입니다 크크크.
19/04/22 10:50
솔직히 얼마 전까지 학생이었던 사람들한테 바라는게 너무 많아요.. 학생시절엔 딴짓하지 말고 공부만 하라고 해놓고 공부만 해서 가면 딴 거 한거 뭐 있냐고 물어보고.. 딴짓하면 성적이 왜 이모냥이냐고 서류에서 자르고..
19/04/22 10:55
웃긴건 그런 급들은 보통 채용 안하거나 이미 대기업, 연구원으로 현직에서 구르고 있죠.
일반기업에서 인재를 찾는건지 노예를 찾는건지 나를 밟아줄 사람을 찾는건지 확실히 말해주는게 좋죠. 꼭 창의성 이야기 하면서 노예를 찾는다는게 문제.
19/04/22 10:57
그냥 TO 받아두고 6개월 인턴 후 정규직 전환을 늘리는게 가장 현실적인 신입채용 방법 같습니다.
6개월 잡일 하고 내보내는게 아니라, 정규직이 필요한데 신입받고 폭탄 맞을 상황만 대비하는거죠. 직접 같이 해보고 괜찮으면 계속가고, 아니다 싶으면 쿨하게 바이바이..
19/04/22 11:00
인턴십은 참 좋은제도인데 기업 악용과 취업자 악용이 동시에 터진다는게 눈물 ㅠㅠ
관련 제재법안이 동시에 시행되어야 될겁니다. 안그러면 꿀착취를 하던지 꿀이 빨리던지 둘중 하나가 되어서..
19/04/22 10:57
저런거에 휘둘리면 안됩니다 크크
영어 안본다던 회사에서 토익점수 없으니까 기본도 안된 지원자 소리듣고, 이공계도 인문학 지식이 중요하다던 회사는 전공이나 하지 쓸데없는건 왜 들었냐(저는 공대+인문학쪽 복전..) 그러더라고요 크크크 결정적으로 저기있는거 다 거르면 자소서를 쓸수가 없어요 ㅠㅠ
19/04/22 10:59
석사는 그렇다 치고.. 박사는 애초에 경력으로 뽑기 때문에 저기에서 말하는 입사지원과 코스 자체가 다른데.. 만약 박사 지원자가 그냥 쌩신입으로 입사지원했다면 불필요한 스펙은 맞긴 하죠.
어쨌든 저도 박사 출신이긴 하지만 회사 업무에 딱히 도움된다고 생각은 안 해서.. 어느 정도 공감은 갑니다만.. 사람을 얼마나 적재적소에 쓰느냐도 문제라고 봅니다.
19/04/22 11:01
얼마 전에 S사 인성 검사를 치고 왔는데 이거 골 때리더군요.
혼자 있는걸 좋아하는 아싸는 아니고 같이 일하는 건 좋아하지만 또 그와중에 남이 하라는 대로 할 줄도 알면서 자기 의견에 대한 고집도 있어야 하는 슈퍼맨이... ...정답에 가깝다고 하더군요. 인성 검사에 왜 정답이 있으며 애초에 인성을 시험으로 어떻게 평가하는지?
19/04/22 12:26
네 맞아요... 그래서 인성검사는 사실 자기세뇌를 잘 하는 친구들이 잘보더라고요.
그 슈퍼맨이 베스트인데, 사실 삼성같은 회사에 잘 들어가는 애들을 보면 가장 기저에 있는 성격이 '우직함'과 '순종적임' 입니다. 그걸 갖춘 뒤에 나머지도 추가적으로 갖춰야 확률이 높더라고요.
19/04/22 11:06
석박이 필요한 곳이 있고 없는 곳이 있습니다. 근데 석박이 필요없는 곳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저런 응답이 나오는 거죠.
참고로 대학원 다니던 시절에 학부졸업하고 취직 후 시키는 일에 실망해서 퇴사하고 석박코스 밟은 사람 드물지 않게 봤습니다.
19/04/22 11:20
대기업 연구소(중앙x)에서 학사한테 시키는 일은 정말 보잘것 없습니다.
연구소같이 rnd하는 곳은 계통만 맞으면 석박학위 있는게 10에 9은 장기적으로 이득이더라구요.. 공학계열 알앤디하는 쪽이면 기업과제든 정부과제든 실제로 돈투자해서 연구개발하는거라 무조건적으로 +요인이라.. 물론 연구논문은 자기노력이나 주제에 따라 그저그런 논문일수도 혹은 기업에 필요할수도 갈리는것 같습니다 크크
19/04/22 11:22
현역은 아니지만 대기업 여러곳 거쳐간 입장에서 날고 기는 신입직원 뽑아도 처음부터 막중한 업무를 시키진 않습니다..만 뽑을 때 저러는 건 별 수가 없다능..
19/04/22 11:29
(수정됨) 집단내에 위기상황에서 창의성을 발휘하여 리더십을 보였던 경험에 대해 작성하시오(1000)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비정규 공격대 대장으로써 다음과 같이 리더십을 보였습니다. 골드 팟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분배하고 남은 골드 처리를 주사위 굴려야 한다, 골드 실버 코퍼 단위까지 나눠야 한다 등등으로 동료의 의견이 분분하였습니다. 탱커 수리비 정도는 당연히 챙겨줘야 하는 거 아니냐고 제가 의견을 제시한 후 모두의 동의를 얻어냈습니다. 그리고는 제가 맨탱이었으므로 제가 날름 먹고 성공적으로 막공을 마쳤습니다. 천 자 채우기 귀찮습니다. 사람 잘 모으고 브리핑 잘 하고 어그로 안 튀게 하면서 닌자 안 합니다. 이정도면 채용될 만 한거 아닙니까. 데리고가주세요......
19/04/22 12:22
진정한 인재십니다!
가만 생각해보면 기성세대에서 게임을 싫어하는건 자신들이 평가할 수 있는 젊은이의 '경험'이 그 쪽으로 소진되는 것 때문도 있을 것 같습니다. 자신들의 경험으로 미뤄 평가할 수 있어야하는데 평가를 할 수 없어요. 거기에 "장남일세"로 상징되는 오래된 시각까지.
19/04/22 11:46
진지하게 저는 회사다니면서 경험한 업무해결 능력아니면 다 애들 장난같은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대학생 수준에서는 답하기 곤란한 주제인것같고, 저는 저런거 볼때마다 대학생이 진짜 이런걸 쓸 경험이 있어!? 하고 놀랍니다. 제가 지금 대학생이었음 한마디도 못 썻을듯ㅠ
19/04/22 12:35
집단내에 위기상황에서 창의성을 발휘하여 리더십을 보였던 경험에 대해 작성하시오(1000)
인베에서 에이스나오고 팀원들 맨탈 터진 상황에서 "저 부캐니까 일단 겜해보죠" 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젖 먹던 힘을 다해 3렙 솔킬을 따서 팀원들을 진정시켰습니다.
19/04/22 13:50
똑같은거 했어도 구성지게 잘써야 입사하고 보고도 잘하니까요
실험은 삼일밤새서 해놓고 매니저한테 결과보고 애매하게 하는사람 얼마나 많는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