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3/10 19:34
(수정됨) 저렇게 해서 바가지를 씌울 필요가 줄어서 가격이 내려가면 위수지역이 폐지되도 외박을 굳이 점프뛸 이유가 적어지죠.
돈이 되서 서비스업자가 많아지다보면 질도 조금씩 오를거 같고요.
19/03/10 19:38
최전방, 부대 근처에는 고작 상가 4개 정도 있는 곳에서 군생활 했는데 경험상 오고가는 교통비도 있고 한시간도 소중한데 가격 좀 비싸다고 점프 뛰는건 아니었습니다.
19/03/10 19:45
3함대가 부산 용호동으로 이전하고 나서 동네 자체가 미친듯이 성장하는 걸 보니 당연하다면 당연하다 싶네요. 제가 어릴적만 해도 같은 남구에서 깡패동네 거지동네라고 놀림받던 시절이었는데...하필이면 비교상대가 대연동 남천동이라 더 그랬던 것도 있고요.
19/03/11 10:04
감만동하고는 좀 여기가 다른 것 같기는 한데...생각해보면 감만동이랑 우암동, 용당동은 저 축에도 끼워주지 않긴 했죠. 지나가는 길에 보면 그나마 옛날보다 낫다고 생각하긴 합니다마는.
19/03/12 15:46
남구에 깡패동네 하면 감만동(본적지, 할머니 사심..), 우암동(살던곳, 부모님 사심)아닙니까! 크크
공고 행님들 한테 맞아가면서 다닌 중학교는 폐교가 되어버리고..
19/03/11 10:38
용호동이 성장중인가요? 경성대에서 메트로시티까지 1차적으로 지상트랩 설치한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부동산이 엄청 올랐다라는 이야긴 못들어서요
19/03/10 19:47
윈윈하면 당연히 발전합니다. 군대 병력이 얼만데.. 계속 등쳐먹으려고 하니 문제지.. 이러다가 예전으로 다시 돌아가려고 하지 않길 바랍니다.
19/03/10 20:29
겨울에 입대한 동생 신병수료 면회 가면서 딱 저기만 피했으면 좋겠다했는데 바로 화천으로 배치되더군요.
화천 쪽은 별로 저런 생각 없는 것 같던데... 고깃집 더럽게 비싸다고
19/03/10 20:35
위수지역 폐지는 지금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위수지역 늘리는게 왜? 라고 할수도 있지만.. 지금의 군대시스템으로는 넓어진 위수지역 관리못하고 올땐 국민의 아들 사고땐 느그아들 할수밖에 ...;;
19/03/10 23:58
그것조차 관리못하는데 더 넓혀서 다양한사고를 어떻게 감당하냐는거죠.. 저도 가두는건 반대인데 일단 휴전상황에서 개혁도 할수없는 굳은군대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게 사실아닌가요..
정말 좋은 답이 있다면 좋겠지만 우리나라의 상황이 따라주질 못하니까요
19/03/11 00:04
애초에 그런부분은 관리가 가능한 영역이 아니죠...
마이너리티 리포트쯤 되는 예상시스템이 있는게 아니고서야 지금 위수지역 존재의미도 빠른시간안에 '복귀'가능한 범위에 불과한것일텐데요?
19/03/11 01:41
그리고 간부 분,부,소대장이 미약하하나마 사고시에 책일질수있는 영역도 있어서요.,
주적간부가 본인이나 잘하지 라고 하는사람들에겐 할말은 없지만 사건사고시에 달려가서 신원,안전확보해줄사람은 있어야하니까요 흐흐
19/03/11 01:55
말씀하신 부분이 도움이 될지도 의문입니다만
도움이 된다고 해도 정말 미약한 부분이고 그 부분때문에 굳이 장병의 자유를 제한해야될 이유는 안될것 같아보이네요 손해가 훨씬더 커보입니다.
19/03/11 01:57
굳이 논쟁하자고 단 댓글은 아닌데요
누군가는 그렇게 생각할수있겠죠 그냥 제 생각은 자유를 커버하기엔 군대가 그 자유를 통제하지 못할거라는것 뿐입니다. 아니라고 생각하는사람들도 있겠죠 저도 자유를 늘리는데에는 찬성하지만 군대가 그걸 못받쳐준다면 결국 중요한순간에는 장병이 피해볼게 뻔해보여서요
19/03/10 20:41
저는 처음부터 평일외출과 외박 시 위수지역폐지를 상호간 "거래조건"이라고 본지라,
평일외출되면 해당 지역은 무조건 이득이죠. 자, 그렇기에 이제 이수지역 폐지로 갈 차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