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19/02/28 09:31
콜라는 많이 찍을 수록 좋은 공산품이고, 생수는 브랜드 가치를 유지해야 하는 품목 + 수량이 제한되는 공유제라서죠. 콜라처럼 생수도 대량 생산하기만 하면 되는 시장제면 모를까, 일반적으로 공유제기 때문에 수량을 내부에서도 걱정하고 외부에서도 법으로 규제할겁니다. 거기다가 흔하다는 이미지는 가격에도 도움이 안되요.
우리나라는 생각해보면 삼다수랑 콜라 비교해보시면 알텐데 삼다수는 2L에 약 1500원입니다. 싸게 사면 1000원에도 살 수 있어요. 반면 콜라는 펩시가 1.5L에 2500원입니다. 편의점에선 좀 더 많이 받더군요. 맥콜이 CU에서 행사해서 1.5L 1+1이 2500원입니다. 행사하는 맥콜이여야 삼다수랑 비비지 생각해보면 생수가 더 싸요. 그만큼 지금은 제주도에서 삼다수 물량 제한을 심하게 안하기 때문이라는 계산이 서죠. 제주도민 입장에선 이게 공유제다보니 불안한 면이 있고요.
19/02/28 14:16
그게 아니고 그냥 각각 제품의 브랜딩과 마케팅 그리고 수요공급 곡선의 분석에 따른 결과일 뿐입니다. 생수는 애초부터 타겟 마켓이 다양한데, 가격을 기준으로 3가지만 예를 들어보죠. 우선 완전 비싼 가격에 소량판매하는걸 기본 전략으로 하는 생수들이 있는데, 이런건 대체로 큰 유리병 버전밖에 안 나오며, 싸봐야 한 병에 $5-10쯤 하고 비싼건 수십-수백달러씩 합니다. 이런건 많이 못 찍는 공급상 제한이 있어서 가격이 그렇게 높은건 전혀 아니고, 많이 찍어봐야 그런 가격에 팔 수 있는 수량이 매우 제한적이니까 조금만 찍는 겁니다.
그 다음으로는 고급 브랜드 이미지로 일반 생수의 대략 10여배 가격에 어느 정도 많이 파는걸 목표로 하는 생수들이 있는데(예를 들어 Nestlé의 S. Pellegrino, Danone의 Evian 등), 이런건 500ml짜리 24개 묶음이 $20-30 정도 합니다. 반면 오로지 가격으로 승부를 보는 일반 생수들은 500ml짜리 24/32/36/40개 묶음이 $2-4 정도 합니다. 예시를 듬성듬성 들었지만 중간 가격대에도 다 상품이 존재합니다. 가격도 다 일정한 것이 아니어서, 똑같은 제품을 똑같은 유통채널에서 산다 하더라도 한개씩 구매할 때의 가격은 보통 24개 묶음 구매시 1개 가격보다 약 2배쯤 높고, 소량 유통채널에서의 가격은 보통 그보다 더 비쌉니다. 사실 같은 유통채널/동일 패키징의 가격조차도 그때그때 다르죠. 콜라도 생수와 마찬가지로 브랜딩/마케팅 등에 따른 가격 차이가 어느 정도 있습니다. '코카 콜라'는 콜라 분야의 제왕격 브랜드이고, 비교적 높은 가격을 붙였음에도 굉장히 많이 팔리는 축에 속합니다(그래서 코카콜라의 브랜드 가치가 그렇게 높게 평가되는 것이고요). 위 예시에서 코카콜라와 가장 비슷한 가격대를 보이는 것은 '일반 생수의 대략 10여배 가격에 어느 정도 많이 파는걸 목표로 하는 생수'이고(다만 열거한 브랜드보다는 약간 쌉니다), 저가 물과 비교하면 월등히 비쌉니다. 코카콜라 컴퍼니도 물 브랜드를 여러개 가지고 있는데, 저가 생수 브랜드(Dasani)는 코카콜라와 비교가 안 되는 낮은 가격이고, 고가 브랜드(smartwater)는 코카콜라보다 조금 비쌉니다. 한편 스토어 브랜드 콜라들은 코카콜라의 반값 내지는 그 이하라서, 저가 물 브랜드와 가격이 비슷합니다(다만 생수보다는 공정이 복잡하고 재료가 더 들어가니까 약간 더 비싸죠). 한국도 똑같아서 고가 생수 브랜드는 코카 콜라보다 비싸지만, 저가 브랜드는 코카 콜라보다 월등히 쌉니다. 그리고 PB 콜라는 코카 콜라보다 싸죠. 본문 이미지의 $0.99 2L 코카콜라 vs $1.75 20oz 코카콜라는 일단 가격이 잘못되었고(2L짜리 $0.99는 대략 90년대말-00년대초의 통상가격이고 요즘엔 행사할 때에나 가끔 이런 가격이지 평소 가격은 2배쯤인데, 20oz 코카콜라는 대략 저정도가 맞음), 압도적인 용량차이에도 가격이 비슷한 이유(그리고 유통채널 등에 따라 역전당하기도 하는 이유)는 뻔하죠. 20oz는 컵홀더에 들어가지만 2L는 안 들어갑니다.
19/02/28 10:23
저 계속 궁금한게 있었어요.
싸구려 합성비타민과 비싼 천연비타민이 차이가 있나요? 일반적인 영양제 형태로 정제되어 나오면 다 똑같은 거 아닌가요? 천연비타민과 합성비타민이 화학식이나 체내의 흡수 방법이 다른건지가 궁금해요. 왜 설탕과 같은 단당류와 과일 등의 다당류는 화학식이 달라서 채네 흡수 속도가 다르잖아요.
19/02/28 10:30
천연비타민은 잘 모르겠고....
싸구려 합성비타민은 화학공정을 통해서 합성을 하게 되는데, 화학물질 합성은 분리정제에서 비용 많이 들지요. 그 과정을 대강 했다면 비타민이 아닌 다른 물질이 상당량 포함되었을텐데 그게 몸에 어떨지는 알 수 없죠. 순도나 불순물때문에 단순히 화학식이 같다고 같은 물질이라고 볼 순 없어요.
19/02/28 10:46
천연상태라고 비타민이 불순물없이 존재하진 않을것같은데
그것도 정제비용은 들어가는거 아닐까요 오히려 합성일때보다 불명의 불순물이 더 많아서 정제가 더 어려울것같은데
19/02/28 11:06
천연비타민을 먹을 수 있는 원료에서 추출할 경우 추출 과정에서 도입되는 화학물질을 제외하면 인체에 크게 해로운 물질이 없겠지만, 합성하는 경우엔 합성과정에서 해로운 물질이 상당량 잔류할 가능성이 있죠.
19/02/28 11:11
먹을 수 있는 원료에도 몸에 해로운 물질은 있을수있어요
다큐에서 나온것도 몸에 필요한 비타민이라도 과하면 몸에 해롭다는 뜻으로 보이고요
19/02/28 10:49
전 그냥 kbs 다큐에서 본거라 정확한 이유까진 기억이 안나고, 암이나 심근경색 뇌출혈이 오히려 증가했다는 실험정도만 기억이 나네요.
인터뷰 하신분들이 국립암센터 박사님인거 정도까지
19/02/28 10:59
말씀하신 영상 찾아봤는데 단순히 비타민제를 먹은사람과 안먹은사람을 비교한거지 합성비타민과 천연비타민을 비교한 자료는 아닌것같아요
올바른 결론은 비타민제 오남용이 문제다 아닐까요?
19/02/28 11:38
아뇨 제가 본건 합성비타민제를 먹고 오히려 암이나 병이 생긴사람들에 대한 영상이였습니다. 천연vs합성 에 대한 이야기를 한게 아니고요
19/02/28 11:10
전문가가 말하는 천연비타민은 천연비타민"제"가 아니라 천연비타민이 함유되어있는 "과일"들을 얘기하는거같고요
비타민을 약으로 먹지말고 음식으로 먹어라 라는 말이 합성비타민약이 아닌 천연비타민약을 먹어라 라는 말로 둔갑되어서 퍼지는것같다는게 제 인상이네요 "비타민이 몸에 해로울리는 없어->비타민제가 나쁘다네->합성약이라그렇군 천연약을먹자"의 인지과정같은데 몸에 해로울리 없는 물질은 없습니다 부족하면 죽음에 이르는 나트륨/포도당/물 역시 너무 과도하게 섭취하면 병을 유발할수 있고 비타민도 마찬가지입니다. 몸에서 합성이 안되니 섭취가 필요할순 있는데 그러니까 아무리 많이먹어도 좋기만 하다는건 아니란거죠
19/02/28 12:15
"싸구려 합성"을 붙인것 때문에 나머지 비타민과 싸구려합성 비타민을 구분하신것으로 생각한것인데
구별을 하시겠다는건지 아니라는건지 헷갈리게 말씀하시네요
19/02/28 12:41
합성비타민이 싼 건 재료 문제지 순도가 낮아서는 아닐겁니다. 물론 순도를 올리면 단가도 올라가겠지만 그건 대량생산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19/02/28 10:36
크크크 영국 여행 중에 영업 마감 직전에 세인즈버리 갔더니 1.49파운드에 콜라 큰거 환타 큰거 묶어서 팔길래 냉큼 샀던 기억이 나네요.
19/02/28 15:23
(수정됨) 이상하게 천연비타민이 몸에 좋고 합성비타민은 나쁘다고 주장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거 정말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겁니까. 의사, 약사들이 그렇게 말했나요? 제가 잠깐 검색한 의사나 약사들 의견은 그렇지 않은데요.
http://www.aftertherain.kr/commentary/?work=view&idx=20332&cate=10e0 http://news.kbs.co.kr/news/view.do?ncd=2931246 솔직히 천연에도 독이 있고 합성에도 약이 있는데 비타민을 천연과 합성으로 분리해서 따지는건 미신이라는게 제 의견입니다. 정말 합성 비타민이 몸에 나쁘고 천연비타민이 좋다면 그 과학적 근거를 알려주세요.
19/02/28 18:13
근거 없습니다. 그렇게 아는 분들이 모두 잘못 아는거죠. 다만 과일은 그 자체로 먹어야지 가공하면 그 순간 영양소가 일정부분 파괴되니 아마 그것 때문에 그런게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