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6/20 03:55
그 동안 쭉 미뤄오다가, 이번에 할인+한글화 얘기 듣고 드디어 때가 되었구나! 싶었는데
갑작스럽게 구매/플레이 욕구가 좀 떨어지네요...
18/06/20 05:55
번역은 안해줘도 되니 챔프 별 밸런스 좀 잡아주고, 배고픈거 랜덤하게 뜨는 것 좀 수정해줬으면... 덧붙여, 스톨링도 좀 막고..
광대나 괴인은 게임의 성격(전투시 시간이 지날수록 적들은 약해짐)에 맞지 않는 챔피언이 되버렸고, 반대로 신챔프인 고행자는 너무 강하죠. 횃불은 일정 시간에 맞춰서 타면서 왜 배고픈건 또 랜덤인지. 한참을 가도 안고플때 있는 반면 식량 없는데 몇걸음 못가 배고픔 뜨면 그 기분은... 덧붙여 스톨링은 게임 전체의 밸런스를 엉망으로 만들어 버렸죠. 어려운 맛에 하는 게임인데 사실 스톨링만 잘하면 어려운 게임이 아니에요. 게임의 분위기와 그래픽, 특유의 난이도를 정말 좋아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또 그만큼 불만도 많이 생기네요. 인디 게임의 한계인가 싶기도 합니다만..
18/06/20 09:13
게임의 성격 반대 아닌가요?
전투시 시간이 지날수록 적들이 강해지지 않나요? 특정 플레이가 아닌한 빨리 털지 않으면 스트레스 관리가 안되서 폭망했던 기억이 아는디..
18/06/20 09:22
(수정됨)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한줄로 하느라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듯 하네요. 광대와 괴인은 전투 턴이 올라갈수록 점점 강해지도록 디자인 되어 있습니다만, 적들은 처음에 조우했을때 가장 강하고 전투를 진행하다보면 유저의 공격을 받아 점점 약해지죠. 말씀하셨듯이 턴이 지날수록 약해지지 않는다면 (빨리 털지 않으면) 그 전투는 이미 망한 전투라서 광대나 괴인이 강해져봤자 의미가 없을 가능성이 높고요. 그래서 광대의 피날레가 충분히 차지 되거나, 괴인의 데미지가 괴인의 페널티를 넘을만큼 올라갈 시점엔 이미 전투가 끝났거나 망한 전투인 경우가 많아서 두 챔프가 완전히 죽어버렸죠. 게임에 맞지않는 잘못된 디자인이죠. 사실 광대의 경우는 전투 시작사에 피날레로 적 하나 죽이고 시작하는 게 사기라는 평가가 많아서 너프되었던 건데 오히려 그 너프가 광대라는 챔프를 못쓰게 만들어 버렸죠.
18/06/20 10:10
식량은 이번에 추가된 건물 지으면 랜덤배고픔이 아예 뜨지 않습니다.
그리고 괴인은 반대 아닌가요? 변신시 센 대신 늘어나는 스트레스가 폭발하기 전에 빠르게 죽여야하는 단기결전형 캐릭터라고 생각하는데.. 광대는 피날레 변경 후 항상 약하지만요.
18/06/20 11:17
배고픔이 랜덤하게 뜨는 것만 막으면 될뿐, 없애는 걸 바라진 않았는데... 나름 재미있는 시스템이라고 생각해서요.
반대로 배고픔이 랜덤하게 뜨는 건 아무래도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거든요. 사람이 밥 먹고 나면 배 안고파야지 어떻게 그게 랜덤하게 뜨나요. 괴인은 광대없이는 사용자체가 무리죠. 그래서 광대 덕붙에 스트레스는 문제가 덜 되고요. 대신 그 스트레스 페널티(+조합 페널티)만큼 괴인이 좋은가 하면 그게 아니라는 게 문제라고 생각하고요. 괴인의 주력 스킬이 제 기억에 때릴수록 공격력이 올라가서 처음엔 그저 그렇지만 턴이 지날수록 엄청 강해졌던 걸로 기억하고요. 이런 시스템은 이 게임에 맞지 않죠. 제가 광대 너프 이전에 괴인+광대 조합을 좋아했던 유저입니다만 광대 패치 이후 안본지 오래 되었네요.
18/06/20 14:46
[괴인의 주력 스킬이 제 기억에 때릴수록 공격력이 올라가서 처음엔 그저 그렇지만 턴이 지날수록 엄청 강해졌던 걸로 기억하고요.]
괴인의 주력 스킬중에 말씀하신 점점 세지는 스킬같은건 없습니다. 괴인 처음 출시됐을때부터 그런 스킬은 없었어요. 괴인은 애초에 디자인 자체가 스트레스가 다 차기 전에 인간형으로 돌아오거나 전투를 끝내야 되는 캐릭터에요. 말씀하신 컨셉과는 반대죠. 스트레스 관리는 인간형 상태로 해야하구요. 조금이라도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가장 강력한 스트레스 힐러인 광대와 같이 써야 가장 높은 효율을 내는건 맞고, 광대가 약해서 파티가 구려지는 점은 광대가 약한게 문제지 괴인의 문제는 아니죠. 그리고 괴인 조합 패널티 삭제됐습니다. 저는 성전사랑 같이 써보려고 하네요.
18/06/20 18:14
(수정됨) 괴인 할퀴기 스킬 설명입니다. "전열의 두 명을 동시에 공격하는 공격 기술. 사용할 때마다 버프가 붙어 다음 할퀴기의 공격력이 증가한다." 버프가 아직도 있는거 같은데요. 실제로 사용해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할퀴기가 전열 두명을 공격하긴 하지만 처음엔 데미지가 생각보다 좋지는 않아요. 그래서 괴인형의 주력 스킬이지만 그리 좋다는 생각은 안들었고요. 비록 둘을 동시에 공격하긴 하지만, 다키스트 던전의 게임 특성상 둘을 평범한 데미지로 공격하기 보단 하나라도 빨리 죽일수 있는 스킬에 프리미엄이 붙죠. 대신 이 스킬을 사용해서 버프가 붙으면 괜찮아 집니다. 버프는 할퀴기만 계속 사용한다면 3번째 공격에서 2스택 쌓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도 말했듯이 다키스트 던전에서 전투는 오래 끌수록 (스톨링이 아닌 한) 손해죠. 실제로 패널티를 제외하더라도 타 챔프들에 비해 괴인의 장점을 그리 못느꼈고요. 대신 제가 할 당시엔 광대가 워낙 좋아서 광대+괴인 조합으로 하더라도 진행에는 그리 무리는 없었죠. 그리고 괴인을 쓰신다면 광대 없이는 쉽지 않아요. 그 차오르는 스트레스가 감당이 안되요.
그나저나 조합 패널티가 삭제되었다니... 차라리 조합패널티는 유지하더라도 괴인과 광대 버프를 원했었는데... 게임의 유니크한 특징들을 잃어가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18/06/20 23:55
(수정됨) 괴인의 주력 딜링 스킬은 할퀴기가 아니라 분노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할퀴기가 계속 중첩되어서 세지는게 아니라 그냥 버프를 줄 뿐이라서 주력 딜링 스킬인 아닌 할퀴기를 쓸모없이 반복 사용해야 좋아지는거구요.
광대가 사기던 시절에야 신괴괴광 조합이 당연히 괴인 정석이었지만, 광대 너프후론 그냥 사냥개조련사 넣고 단기결전형으로 굴려도 충분히 괜찮습니다. 답이 없는건 괴인이 아니라 광대에요. 괴인은 지금도 충분히 좋습니다. 사냥개조련사로 괴인 스트레스 감당이 안되신다면 둘중 하나입니다. 1. 데미지가 낮은 기술인 할퀴기로 턴을 잡아먹어서 전투가 질질 끌려서 2. 레벨이 낮아서 크리가 잘 안터져서 추가) 괴인 조합에서 광대 너프후 가장 선호되던 조합은 조련사/조련사/괴인/괴인 조합입니다.
18/06/21 14:21
자신에 맞게 게임을 커스터마이즈 하고 싶으시면 설정 파일을 좀 손보시면 됩니다. 광대버프하고 싶으시면 광대 스킬 데미지를 좀 조정하시거나... 하심 괴인/광대 조합도 가능하실 것 같습니다. 굳이 입맛에 맞는 패치를 기다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18/06/20 06:18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arkest&no=72411&page=1&exception_mode=recommend
사냥개의 성욕을 증가시켜주는 개간식도 잊으시면 안 되죠!
18/06/20 07:02
기존 번역자들에게 댓가를 지불하기 싫어서 헛수작 부리다가 싸구려로 진행해서 이렇게 된거죠.
약속도 2년이나 질질 끈거고 중국은 진작에 해줬습니다. 요즘 인디게임들 번역 잘해서 나오는거보면 그냥 얘들 마인드가 꼬우면 하지마라 수준이죠. 어거지 스텔스몹 추가하면서 고집부릴때 부터 꼰대놈들이라고 생각은 했지만.
18/06/20 07:32
걍 뭐 한국어 번역에 관심 자체가 없는거네요. 고등학생이 번역기 돌려가며 해도 이정도는 할것 같은데 전문업체는 무슨.. 아주 웃기고 있네
18/06/20 09:05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957357124468124&id=829569523913552
번역회사(?)의 변입니다. 진짜 [변]인거 같은데..
18/06/20 14:46
18/06/20 09:27
석궁 든 적이 석궁 쏘는 스킬명이 무려 '말싸움'. (Quarrel) 이거 보고 너무 웃겨서. 게임 진행이 안되더라구요..
활을 쏘면서 말싸움하면 너무 이상하지 않나요?
18/06/20 09:40
블러드
욕구는 강하다. 거부할수 없는 갈망이다. 이 목마름을 달래 주는 건 블러드 뿐. 블리치 포엠이라 해도 믿을 번역 오우야;;
18/06/20 09:40
그나마 다행인것은 빠르게 수정하겠다는 게임 개발사측의 공지가 올라왔죠. 그런데 애초에 이런 논란거리를 안 만들었으면 됬을텐데 왜 유저패치를 가지고 쓸 때 없이 번복하면서 시간을 버려서...
18/06/20 10:41
품질의 번역 갖고있다 문제. 나는 갖고있다 의문. 진위여부 의 당신의 회사 소개글. 저건 아니다 한국어 순서 그리고 적절한 용법. 조차 다른 자동 번역기 안함 저렇게 번역.
18/06/20 11:48
동업자 입장에서 얘기를 해 보자면 저렇게 되는 데는 보통 한 가지 이상의 이유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충 보면 게임 로컬리제이션을 전문으로 하는 번역회사에서 했다고 보기 힘들 수준인데, 거기에 일정이랑 비용, 원문 텍스트의 상태 문제, 게임 개발사 측 담당자의 무관심 등 여러 악재가 겹쳐서 저런 번역이 그대로 적용된 게 아닌가 싶네요...
18/06/20 12:02
인트로부분보니까 영 중 한 구글번역기가 맞는것 같던데요. 애초에 팀왈도측에서 먼저 접근해서 요청할 때는 무시하더니 공식 번역 퀄리티 대체 무엇.
18/06/20 14:19
팀 왈도가 없었으면 웃고 담 패치 기다릴텐데 이미 많은 유저들이 비공식 한글패치를 쭈욱 봐오던 상황이라 더 반응이 격한 것 같네요
전 개인적으로 영어 폰트가 끌려서 영문판으로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