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8/01/21 16:20:13
Name 아라가키
File #1 42f760ddcbfd59.jpg (98.2 KB), Download : 42
File #2 42f7410c3964a6.jpg (63.3 KB), Download : 20
출처 클리앙
Subject [유머] 이랜드....애슐리....근황....jpg




문득 떠오르는 급식의 기억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1/21 16:21
수정 아이콘
가격이 싸다는 의미인가요?...
18/01/21 16:23
수정 아이콘
애슐리 안간지 1년 좀 넘게 된것 같은데 셀프로 바뀌었다는게 유머포인트인것 같네요.
원래 셀프는 아니었거든요
18/01/21 17:11
수정 아이콘
아 너무 시대에 뒤떨어졌네요 제가 흑흑
아라가키
18/01/21 16:26
수정 아이콘
원래는 그릇을 치워줬는데 셀프로 바뀐거같아요, 학교에서 급식 놓을때 모습 생각나서 썼습니다
18/01/21 17:12
수정 아이콘
애슐리 안간지도 오래되어서 흐흐
많이 바뀌었군요
그렇구만
18/01/21 16:23
수정 아이콘
셀프접시정리와 가격인하인가보네요. 근데 셀프로 바뀐거 치고 가격다운이 상당한데요. 음식품질은 어떨런지
로하스
18/01/21 16:59
수정 아이콘
가격은 다운 안됐구요. 그냥 서비스만 다운됐어요.
그렇구만
18/01/21 18:14
수정 아이콘
어라 다른애슐리랑 헷갈렸나봅니다
티모대위
18/01/21 18:25
수정 아이콘
애슐리 퀸즈가 아마 좀더 비쌀거에요.
18/01/21 16:24
수정 아이콘
홀 직원이 아무도 없나요?
아라가키
18/01/21 16:26
수정 아이콘
다른 댓글들 보니까 직원수를 줄였다는 말이 있네요
때려주세요 하악
18/01/21 16:29
수정 아이콘
가격은 많이 착해졌네요.
로하스
18/01/21 16:59
수정 아이콘
가격 그대로입니다. 애슐리가 애슐리 클래식, 애슐리w, 애슐리 퀸즈 등
여러 종륜데 애슐리 클래식은 원래 저가격이에요. 가격은 그대로고 서비스만 다운됐어요.
때려주세요 하악
18/01/21 17:06
수정 아이콘
여러 등급이 있었군요.
주중에 2만원 가까이 내고 들어갔었던 기억이 있어서
9,900원 된거 보고 엄청 싸졌다고 생각했는데...
로하스
18/01/21 17:11
수정 아이콘
네 그게 애슐리w일거에요. 거기가 평일 저녁이 19900원인가 될겁니다.
눈물이뚝뚝
18/01/21 16:31
수정 아이콘
원래 기본 셋팅이랑 스테이크 주문 받는건 홀 직원들(알바 포함)이 했었는데
많이 바뀌었나 보네요
제가 알바했을 땐 홀 직원들은 얼굴 보고 뽑았고, 주방보다 시급도 좀더 쎘었..
완성형폭풍저그
18/01/21 16:32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을 상승시키면서 대부분의 민간기업들은 일자리 줄이기 바쁘더라고요.
국내인프라 싹 정리하고 해외이전 준비한다는 분들도 계시고 다들 어떻게하면 인건비 줄이나 엄청나게 고민하던데..
최저임금상승이 청년들의 취업난을 더 악화시키는 것은 아닌지 걱정입니다.
MyBubble
18/01/21 20:33
수정 아이콘
저도 경제는 잘 모릅니다만....
정책입안자들이 정책을 세울 때 저런 반응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 못 했을리는 없었으리라 봅니다.
오히려 최저임금 상승에는 부가가치 낮고 사람으로 쥐어짜는 산업은 퇴출시키자는 의도가 약간은 숨어있는지도 모르겠어요.
차마 "시대에 뒤떨어지는 산업은 다 죽어!" 라고 대놓고 말할 수는 없어서, 이렇게 저렇게 포장하지만,
결국 더 높은 경제성장을 위해서 산업구조의 고도화? 체질개선? 해야 되고,
그 과정에서 피해자들의 - 중소기업사장, 자영업자 - 고통은 그 보다 더 피해자들의 - 알바생, 일용직 - 지지로 넘어서려는 그림이랄까.

뭐... 딱 이런 시나리오를 계획한다기 보다는 그냥 어쩔 수 없으니 무시하겠다 정도의 스탠스가 아닌가 싶어요.
Pyorodoba
18/01/21 16:34
수정 아이콘
아 최저시급 인상의 효과일 수도 있겠군요...
schwaltz
18/01/21 16:41
수정 아이콘
같은회사 피자몰은 원래 저렇게 했었죠. 가격 낮추면서 인건비 줄이는 방향으로 가나보네요.
로하스
18/01/21 17:00
수정 아이콘
가격은 안낮췄습니다
schwaltz
18/01/21 17:11
수정 아이콘
제가 가던 애슐리보다 싸서 낮춘줄 알았네요;;;
로하스
18/01/21 17:15
수정 아이콘
네네..애슐리 종류가 많아서 그러실수 있습니다 흐흐
及時雨
18/01/22 00:42
수정 아이콘
엥 원래 그래요?
우리 동네 피자몰은 접시 가져가주던데
ANTETOKOUNMPO
18/01/21 16:49
수정 아이콘
애슐리가 이랜드 계열입니다.
얼마전에 아르바이트 급여 미지급으로 걸려서 벌금도 내고 크게 뉴스가 되었었죠.
그래서 아예 홀근무자를 없애버리고 셀프서비스로 바꾼 것 같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8/01/21 16:59
수정 아이콘
알바가 아니라 주방은 이미 최저임금 이상을 주고 있던터라 이번 최저임금 인상에 영향이 크지 않은데 반해서 홀서빙은 최저임금에 맞춰서 움직이는 경향이 강하다보니 홀서빙쪽의 영향이 크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인원을 줄여서라도 맞추려고 하고 있고, 인원을 줄이니 셀프바가 나오게 된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장기적으로는 서비스 차원에서라도 다시 홀서빙인원 늘리고 가격인상할 수 밖에 없을거라고 보고있더군요.
18/01/21 17:07
수정 아이콘
애슐리는 저가형 뷔페라서 가격을 올리면 서비스낮추는 것 이상으로 타격을 받을겁니다. 게다가 바로 내년에는 만원이 되는데 다시 서빙을 늘릴수가 없죠.
18/01/21 17:04
수정 아이콘
셀프서빙 김치버전에 당하면 다시 알바 구할것 같은데...

제대로 정리가 될거라 생각하나...
남한산성
18/01/21 17:06
수정 아이콘
셀프서빙은 상관없는데 클래식 런치메뉴에 치킨이 없어졌어..
그냥 가격을 올리지
18/01/21 17:07
수정 아이콘
http://biz.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0151148

일부매장에서 시범운영이라고 합니다. 그나저나 저희지역 애슐리는 평일저녁~주말 12900원인데 저긴 평일 9900원인대신 주말이 1천원 더 비싸군요.
18/01/21 17:12
수정 아이콘
가격이 문제가 아니라 먹을게 없어서.. 어쩌다 한번 가보고 기겁했던 기억이 있네요.
껀후이
18/01/21 17:13
수정 아이콘
피자몰이 이렇게 운영해서 좀 귀찮다 싶었는데 애슐리도 이러는군요 흠...불편하던데ㅠ 돈 더 낼테니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제도 만들어주면 좋겠어요 흑흑
힘든일상
18/01/21 17:13
수정 아이콘
프랜차이즈 직원이 줄어들어 서비스와 매출이 하락하는 만큼
개인 음식점 매출이 늘어나겠죠.
그 수요를 개인 사업자 중에서 누가 챙겨가느냐는 자기 능력이겠구요.
고타마 싯다르타
18/01/21 17:36
수정 아이콘
에슐리는 뷔페형인데 프렌차이즈말고 개인사업자가 뷔페형하는 곳이 있나요? 저는 잘 몰라서요.
완성형폭풍저그
18/01/21 17:53
수정 아이콘
누가 저가형 부페식당의 미래를 묻거든, 고개를 들어 노량진을 보게하라.
최종병기캐리어
18/01/21 19:12
수정 아이콘
전통의 식당, '함바집'이 있죠...
La La Land
18/01/21 19:30
수정 아이콘
개인사업자도 마찬가지죠 크크
복타르
18/01/21 17:19
수정 아이콘
직원착취가 기업문화인 이랜드이니 직원에게 돈을 줄바엔 잘라버리겠다 했군요. 역시 이랜드...
트리키
18/01/21 17:55
수정 아이콘
그걸 뭐라 할수가 있나요 안그래도 요즘 애슐리 분위기 안좋고 망해가는데 살릴라면 사람 줄여야죠
강미나
18/01/21 18:27
수정 아이콘
다른 곳이면 모를까 애슐리면 그런 말 해도 사실 할말없죠....
18/01/21 20:54
수정 아이콘
예수님이 직원착취하라고 가르쳤나봐요
괜히 안가는줄 아나
이제 이랜드계열은 눈길도 안줌
개구리농노
18/01/21 17:54
수정 아이콘
예전에비해 먹을게없더라구요.
네오유키
18/01/21 18:09
수정 아이콘
지금 W에서 먹고 있는데 다 치워주네요.
Cazellnu
18/01/21 18:20
수정 아이콘
애슐리 프리가 이런곳 처음에는 가성비가 괜찮았는데
시간이갈수록 이상해지더니 지금은 그냥 돈값보다 못하더군요
티모대위
18/01/21 18:26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 인상의 부작용인거죠
덕베군
18/01/22 10:37
수정 아이콘
최저인금 인상 이전에도 직원 알바할꺼 없이 돈 안주기로 유명한 회사라 하하
티모대위
18/01/22 14:41
수정 아이콘
양아치가 양아치짓을 더 할수있는 구실을 제공한 거라 생각합니다.
어떤 정책이든 부작용이 없을 수는 없습니다. 그 부작용의 존재까지 부정하려는 분들이 많이 보이긴 합니다만..
덕베군
18/01/22 15:22
수정 아이콘
정책 부작용 상관없이 이랜드는 검증된 양아치죠
티모대위
18/01/22 16:59
수정 아이콘
음 그건 논점이탈이라고 봅니다.
당장 동네 음식점도 임금인상으로 인해 밥값을 올리고 있는데요.
이랜드만 이러는 것도 아니고..
자곡동
18/01/21 18:27
수정 아이콘
이랜드 돈 없고 인식도 댓글 보시다시피 별로라......
가만히 손을 잡으
18/01/21 18:29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보다 알바비 떼먹다가 걸려서 이제 그런 짓 못하게 되었으니까요
18/01/21 18:43
수정 아이콘
불매기업이라 더더욱 안가게 되겠네요 크크
엔조 골로미
18/01/21 18:52
수정 아이콘
이랜드 양아치들은 최저임금이 어쩌구 같은 소리할 자격도 없습니다.
고타마 싯다르타
18/01/21 18:54
수정 아이콘
정부분석으로는 원래 최저임금 오르면 초반에만 흔들리지 몇달지나면 원상복귀 될거임.이라 했으니 곧 서비스바뀌겠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8/01/21 19:26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 동결됐어도 저랬을 애들입니다.
Liberalist
18/01/21 19:47
수정 아이콘
이랜드 저것들은 최저임금 인상 전에도 양아치짓 하던 놈들이라...
저걸 가지고 최저임금의 영향이 어떻느니 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죠.
보통e스포츠빠
18/01/21 19:55
수정 아이콘
양아치 기업이 또...
셧업말포이
18/01/21 20:15
수정 아이콘
애슐리 가는 코스가 보통
엄마들이 장보고 들리는 거지
애초에 찾아갈 만한 곳이 아니죠
18/01/22 07:20
수정 아이콘
인건비 갈아서 기업하는 양아치..
18/01/22 15:43
수정 아이콘
최저임금 동결되든안되든 1천원이 올랐는데 그대로일거라고 생각한게 나이브한거지 애써 비꼬는것도 참 웃기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0256 [스타1] 보는 순간 탄성이 나왔던 엔트리 [57] 좋아요11722 18/01/21 11722
320255 [게임] [스파5][스포] 벚꽃의 임신 알바생 [1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143 18/01/21 12143
320254 [기타] [아재 미터기]당신의 신데렐라는 몇년도인가요? [24] 즐겁게삽시다8430 18/01/21 8430
320252 [유머] 인터넷 예절 포스터 [14] 마스터충달10227 18/01/21 10227
320251 [유머] 얼굴보정 어플로 와우 시네마틱을 건드려보았다 2 [2] Lord Be Goja6942 18/01/21 6942
320250 [유머] 김경식 새로운 시작 [9] 블랙번 록10801 18/01/21 10801
320249 [게임] 얼굴보정 어플로 와우 시네마틱을 건드려보았다 [10] 진인환8837 18/01/21 8837
320248 [유머] 다리에 쥐 남 [28] 마스터충달11725 18/01/21 11725
320245 [유머] 이랜드....애슐리....근황....jpg [60] 아라가키19206 18/01/21 19206
320244 [유머] ??? : 일리단 저 배신자 XX [2] 안채연7791 18/01/21 7791
320243 [서브컬쳐] 한국의 흔한 고퀄리티 코스프레 [18] 홍승식11282 18/01/21 11282
320242 [방송] 디진다 돈까스를 일반돈까스처럼 먹는 유튜버.swf [42] TWICE쯔위16625 18/01/21 16625
320241 [유머] 최고의 스포츠선수 vs 영화배우 vs 가수 [50] 2003년가입자12668 18/01/21 12668
320240 [유머] 진화가 시작된 진짜 이유 [9] TWICE쯔위11501 18/01/21 11501
320239 [동물&귀욤] 개가 아가 발을 무는 위험한 상황.jpg [11] 홍승식10511 18/01/21 10511
320238 [서브컬쳐] 한 공포계 애니메이션의 여주인공 작화 변천사 [18] 네오바람8924 18/01/21 8924
320237 [유머] 오글 [16] 마스터충달8555 18/01/21 8555
320236 [동물&귀욤] 여명의 눈동자 [4] 마스터충달7543 18/01/21 7543
320235 [유머] ??? : 요즘 신입사원들은 쓸데없는 스펙만 많다. [84] swear16878 18/01/21 16878
320234 [기타] 로또 판매점 진상손님 [10] swear9911 18/01/21 9911
320233 [LOL] 페이커 챔프별 승률 [36] 쎌라비10718 18/01/21 10718
320231 [유머] 부임해서 일은 안하고 유람기나 쓰고.. [14] swear10548 18/01/21 10548
320230 [유머] 이거 방탄유리야!!!! [23] DogSound-_-*12038 18/01/21 120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