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7/12/25 19:52:26
Name 게섯거라
File #1 1607ee502734bc9fc_(1).gif (2.00 MB), Download : 26
출처 dcfu
Subject [서브컬쳐] 빛보다 빠른 플래시의 능력


허우적 허우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en vastaan
17/12/25 19:53
수정 아이콘
연출이 80년대 전대물틱하게 쌈마이하네요
Nasty breaking B
17/12/25 19:56
수정 아이콘
비교짤로 데오퓨 퀵실버가 자주 등판하는데... 그 시퀀스 진짜 멋있더군요.
항즐이
17/12/25 20:00
수정 아이콘
X 맨 시리즈가 흥한 건 일단 우리 맨중맨 형님이 울버린을 잘 살리신 덕인데, 이 형님 뮤지컬 배우여서 액션 씬도 시원시원하지만 뛰는 것도 폼나게 잘 뛰십니다.
게섯거라
17/12/25 20:00
수정 아이콘
데오퓨 퀵실버는 mcu 퀵실버도 팀킬(혹은 자살?)했죠. 근데 플래시에 비하면 양반...
항즐이
17/12/25 20:03
수정 아이콘
MCU 퀵실버도 연출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데오퓨의 그 슬로우샷은 워낙 레전드급 띵장면이라.
항즐이
17/12/25 19: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운동안한? 서양인들 중에서 특히 뛸 때 저렇게 무릎이 안쪽으로 굽거나 발끝이 바깥으로 도는 허우적 스텝이 보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른 애들도 있어서 당황..)

아니 적어도 "잘 달림"이 아이덴티티인 역할을 맡기려면 잘 달릴수는 있는 배우를 써야 할 것 아닙니까. 그게 힘들면 CG라도 잘 먹여주던가...

본 시리즈의 맷 데이먼, MI의 톰 크루즈, 007의 다니엘 크레이그, 가까이는 MCU 캡아의 크레스 에반스 보면 뛰는 씬 만으로도 속이 시원한데..
아이유인나
17/12/25 20:00
수정 아이콘
뱃대슈는 연출이라도 간지났는데 어째 연출마저 이러시
-야나-
17/12/25 20:02
수정 아이콘
솔직히 플래시 고속질주 장면은 드라마판의 압승이라고 봅니다;
항즐이
17/12/25 20:0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그냥 배우 자체가 드라마판이 훨씬 낫다고 보는데.. 그렇지 않나요? 생김새도 캐릭터에 잘 어울리고..
-야나-
17/12/25 20:07
수정 아이콘
비슷한 연출이었으면 영화쪽 배우도 나쁘진 않았을것도 같습니다.
하지만 영화가 그따위로 만들어져서야 배우가 누구건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붉은밭
17/12/25 20:03
수정 아이콘
플래시님 축지법 쓰신다
강동원
17/12/25 20:03
수정 아이콘
펩시맨도 이것보단 쌈빡하게 뛰었다...
17롤드컵롱주우승
17/12/25 20:1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La La Land
17/12/25 20:17
수정 아이콘
저스티스리그 안봤습니다
윗짤은 많이 봤습니다

저거 영화 실제 재생 속도에요?

일부러 까려고 느리게 감은거 아닌가요
라플비
17/12/25 20:36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L728Yo7uxaQ?t=3m17s

일단 정상 속도 맞습니다.
솔직히 괜찮은 장면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플래쉬 캐릭터가 이상하게 흐느적 거리는 부분이 많습니다(...)
비익조
17/12/25 20:30
수정 아이콘
왜이리 허우적 거리냐
17/12/25 20:37
수정 아이콘
왜 저렇게 달리는 거죠? 설정이 있을거 같은데..;;;
정지연
17/12/25 20:37
수정 아이콘
어릴때 봤던 드라마판도 이거보다 멋있었던거 같은데..
그럴거면서폿왜함
17/12/25 21:03
수정 아이콘
헛 둘 셋 넷
그렇구만
17/12/25 21:07
수정 아이콘
퀵실버는 애초에 저렇게 전력질주 달리는 장면은 없지않나요? 거의 휙휙 지나갔던거 같은데
17/12/25 21:51
수정 아이콘
저건 전력질주라기보다는 내리막길에서 자기 속도를 주체못하고 허우적대는 느낌....
그렇구만
17/12/25 22:19
수정 아이콘
그건 알겠지만 표현하고 싶은건 질주였겠죠. 근데 퀵실버랑은 비교할만한 장면이 뭐가 있나 생각해본거에요.
왜냐면 퀵실버에서도 질주장면은 찍고싶었으나 저런 이유로 안찍은건 아닐까 싶기도 하거든요.
톰슨가젤연탄구이
17/12/25 21:13
수정 아이콘
차라리 빅뱅이론의 연출이 더 뛰어났는듯...
Rorschach
17/12/25 21:34
수정 아이콘
뭔가 너무 빨라서 일반적인 달리는 모습과 다르게 표현하려고 했던거라고 생각해주려면 해 줄 수는 있겠지만 처음 극장에서 볼 때도 감독이 미쳤나 싶었었어요 크크

진짜로 위의 -야나-님 말씀처럼 CW드라마가 훨씬 나아요. 저스티스리그에서는 플래시가 빠르다는걸 시각적으로 흥미롭게 보여준 장면이 없다고 봐도 될 정도. 딱 한 장면 인상적이었던게 플래시의 속도를 따라잡는 슈퍼맨의 눈동자인데 그것도 슈퍼맨의 능력이 표현된거라서...
라플비
17/12/25 22:02
수정 아이콘
심지어 그 시선을 본 플래쉬는 그저 벙찐 표정 이후부터 피하기 급급(...)
여윽시 마무리는 늘 슈퍼맨
봄바람은살랑살랑
17/12/25 22:17
수정 아이콘
올라오는거 하나하나 보니 진짜 DC는 뭐 하나가 아니라 그냥 다 문제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8851 [유머] [고전] 이과의 위엄 [13] 마스터충달9298 17/12/29 9298
318850 [게임] 한국게임 최초 3000만장 돌파 [14] Leeka11527 17/12/29 11527
318849 [동물&귀욤] 일본에만 산다는 다람쥐 [6] 마스터충달10243 17/12/29 10243
318848 [유머] 각국 모에화.jpg [8] 김괘걸9526 17/12/28 9526
318847 [유머] 약속대로 명존쎄 [6] 마스터충달9207 17/12/28 9207
318846 [LOL] 롤 지식(?) 관련, 피지알 50% 도전 [12] 신공표6062 17/12/28 6062
318845 [유머] 이 중에 가장 좋은 휴식 시간은??.jpg [38] 김치찌개8976 17/12/28 8976
318844 [유머] 진짜 솔직하게 나는 치킨 1인 1닭 가능 vs 불가능 [79] 김치찌개13680 17/12/28 13680
318843 [유머] 본인이 처음으로 가본 해외여행지는?.jpg [35] 김치찌개6954 17/12/28 6954
318842 [유머] 이젠 가려보자 아시아 음식 가장 뛰어난 지역은?.jpg [69] 김치찌개8116 17/12/28 8116
318841 [유머] 어렸을 때 관리 안 해서 제일 후회하는 것은?.jpg [37] 김치찌개8648 17/12/28 8648
318840 [유머] 피곤한 알바 [2] 마스터충달5466 17/12/28 5466
318839 [동물&귀욤] 댕댕이를 선물 받은 멍뭉이 [8] 차가운밤7230 17/12/28 7230
318838 [서브컬쳐] 고급진 플레이팅 기술 (9.8mb) [19] 한박8175 17/12/28 8175
318837 [유머] 더치페이 안 하는 이유 [30] 마스터충달11943 17/12/28 11943
318836 [기타] 이거 사기 아닌가요? [26] sand10632 17/12/28 10632
318835 [유머] 야동보다 못한 스타워즈 8.jpg [18] 공원소년16379 17/12/28 16379
318833 [기타] [코인] 물이 들어올 때 노를 저어라. [7] 물맛이좋아요8727 17/12/28 8727
318832 [기타] 아싸에게 인기 있는 음료랍니다 [68] 월간베스트11392 17/12/28 11392
318831 [기타] 페미니즘 자금원 [39] 톰슨가젤연탄구이10741 17/12/28 10741
318830 [유머] 이번 슈로대 엑스에 등장하는 여동생들 [2] 공원소년5618 17/12/28 5618
318829 [유머] [아이마스]역사는 반복된다 [10] 공원소년5246 17/12/28 5246
318828 [유머] 집에가서 기분좋은 버스기사 [2] swear7632 17/12/28 76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