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6/02/02 09:30:44
Name 에버그린
출처 http://www.fnnews.com/news/201602011308084463
Subject [기타] 무상소득
http://www.fnnews.com/news/201602011308084463
스위스, "전국민에게 295만원씩" 기본소득제 투표


이런 투표를 한다는거 자체가 놀랍네요... 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Igor.G.Ne
16/02/02 09:35
수정 아이콘
주변에 보면 벌만큼 번 양반들이 일을 더 열심히 하던데, 기본소득 생긴다고 해서 무조건 일을 안 할 것 같진 않네요
리나시타
16/02/02 09:36
수정 아이콘
안 할 사람은 안 하고 할 사람들은 저 돈을 더 모아서 불리거나 여가용으로 쓰거나...
부럽네요 295만원씩이라니!!!
iAndroid
16/02/02 09:37
수정 아이콘
이거 2013년 10월에 한번 투표한 걸로 아는데... 지금 또 하는 건가요?

https://pgr21.com/pb/pb.php?id=freedom&no=50264
스위스 기본소득제와 관련한 옛날 PGR 글입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6/02/02 09:44
수정 아이콘
그건 법안 발의를 위한 서명운동이었습니다. 그때 얘기한 투표를 오는 6월에 한다는 것이죠.
16/02/02 09:37
수정 아이콘
4만원만 더 주고 299만원... 홈쇼핑같네...
박용택
16/02/02 09:39
수정 아이콘
어차피 이민 조건이 빡센 나라라 정말 남의 얘기네요.
그리고 저렇게 국민소득제 시행하면 물가 인플레이션이 어마어마할듯.
지금도 엄청난 스위스 물가가 더 오르면 스위스로 여행가긴 더더욱 힘들겠죠, ㅠㅠ
연환전신각
16/02/02 12:23
수정 아이콘
단기적으로 물가가 오르기는 할텐데 그건 일시적으로 소비가 증가할테니 그런 것일테고 돈을 찍어서 푸는게 아니라 세금 걷어서 뿌리는 거라면 유동화폐량은 동일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진 않을겁니다.
순뎅순뎅
16/02/02 09:43
수정 아이콘
기사중에 재밌는거 발견

기본소득제 생기면 일 그만두시겠습니까? 예: 2% 상황에 따라 다르다: 8%
기본소득제 생기면 사람들이 일을 그만둘거라고 생각합니까? 예: 33%
16/02/02 09:44
수정 아이콘
본인은 아닌데 남들은 불신하는 군요.
16/02/02 10:02
수정 아이콘
제 3자 효과죠. 나는 아니지만 다른 사람이 영향을 받을거라고 생각하는거
Igor.G.Ne
16/02/02 10:04
수정 아이콘
불신이라고 볼 수도 있고 '다른사람은 나랑 같은 환경에 있어도 다른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사고방식이 박혀있는걸지도 모릅니다.
착하게살자
16/02/02 12:42
수정 아이콘
그게바로 불신아임니까 크크
Igor.G.Ne
16/02/02 12:49
수정 아이콘
거꾸로 '나는 나쁜짓을 해도 남들은 안할거야'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는 말이죠
카미너스
16/02/02 12:54
수정 아이콘
나는 남들보다 성실하고 부지런하니까요.
16/02/02 13:06
수정 아이콘
미디어쪽 이론에서 어떠한 설득적 내용에 자신보다 남이 더 영향을 받을거라 생각한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제 3자 효과라고 하죠.
사촌 동생이 포르노를 보는건 나쁜거지만 나는 봐도 돼! 같은 예를 들 수 있겠네요
순뎅순뎅
16/02/02 13:08
수정 아이콘
오호 좋은거 배워갑니다.
16/02/02 09:49
수정 아이콘
부러워할게 없는게 결국 이 돈의 대부분은 국내에서 돌텐데 그럼 결국 인플레만 발생하고 가치만 떨어지는거죠. 게다가 연 250조의 국가부채 부담은 덤!

돈은 나만 많을때 돈이니까요.
16/02/02 09:56
수정 아이콘
대신 다른 복지 정책 예산들 중, 꽤 많은 부분을 삭감해서 돈을 채워야 할거에요. 쉽지 않죠.
써니는순규순규해
16/02/02 11:35
수정 아이콘
1인당 295만원씩 주는데 다른복지가 딱히 필요할까요...
개개인에게 들어가는 복지정책의 대부분을 저거로 때워버리고
장애인을 위한 시설물등의 부대시설과 관련된 복지위주로 추가 예산이 들면 될거 같은데요.
16/02/02 12:05
수정 아이콘
기본소득을 합쳐도, 기존 복지 혜택의 일부가 깎여나가는 계층도 있겠죠. 복지 혜택을 받지 않고 있던 계층에게도 예산을 써야 하니까요.
박용택
16/02/02 10:13
수정 아이콘
헬조선은 돈 조차 돌질 않아서 ㅠㅠ
흑태자
16/02/02 10:16
수정 아이콘
돈은 은행에서 찍어준다는게 아닐텐데 인플레가 왜 발생하죠?
16/02/02 10:33
수정 아이콘
흑태자님 말씀이 맞죠. 돈을 찍어내서 만드는게 아니라 국가에서 주는 것이기 때문에 인플레가 그렇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저걸 나라가 버틸 수 있는가의 문제인데 스위스는 국민의 생산성이 낮아지지 않는다면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는거죠. 결국 돈 많이 들어오는 나라라서 가능한 정책이기에 우리 입장에선 부러워할 법 합니다.
iAndroid
16/02/02 10:38
수정 아이콘
인플레이션 위험이 있을 때는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립니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조정으로도 이게 가능한데 국가에서 직접적으로 현금을 뿌리는 것은 이것보다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날 것은 자명하죠.
16/02/02 13:51
수정 아이콘
당연히 영향은 있으나 '그렇게'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오호님이 인플레에 대해 지나치게 경제를 단순화하셔서 말씀드린 겁니다.
보로미어
16/02/02 10:53
수정 아이콘
흑태자님 iswear님 말씀을 듣고보니 이게 사실이면
스위스의 위엄 같네요.
단순히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판단할 일은 아닌 것 같네요.
솔로11년차
16/02/02 11:21
수정 아이콘
인플레가 발생하겠습니다만, 그 인플레라는 것이 통화량 증가보다 소비증진에 의한 인플레라는 뜻입니다. 이런 인플레는 환영할만 하죠.
'나만 많을 때 돈이다'라는 것에 동의합니다. 기본소득이란 건 결국 '나만 많은 사람'을 줄이는 제도 입니다. '쟤만 많은 돈'을 분배하는 것을 노리는 거니까요.
그리고 당연히 세수도 늘어납니다. 인플레만 발생하고 세수는 안 늘어날 리 없죠. 돈이 생기는 만큼 세율을 좀 더 올려도 되구요.
연환전신각
16/02/02 12:35
수정 아이콘
인플레라는건 전체 통화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겁니다.
물건은 그대로인데 돈의 총량이 많아지니까 같은 돈의 가치는 점점 내려가는거죠.

금융자본주의상에서는 경기가 좋을때 대출이 활발하고 따라서 신용 창조되는 통화량이 증가합니다.

은행은 100만원이 금고에 있을 때 통장에는 100만원이 그대로 있는 것처럼 찍히지만 실제로는 85만원 가량을 (이건 국가마다 지급 준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다르지만 한국은 아마 85%였나 80%였나로 기억) 다시 대출해주죠.

즉 통장에 100만원 찍혀 있고 대출돼서 나가는 85만원을 합치면 대출 해준 것만으로도 85만원이라는 돈이 창조됩니다.
따라서 대출이 많아질수록 총 화폐량이 많아집니다.
대출이 많다는건 경기가 좋다는 거고 경기가 좋다는건 소비가 활발하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정부가 돈을 찍어서 뿌림으로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세금 걷은 돈으로 뿌려서 소비가 늘어나고 경기가 활성화되면서 대출이 늘어 인플레이션이 발생되는 거라면 이건 문제가 아니죠.
16/02/02 09:56
수정 아이콘
복지가 과하면 국민이 나태해진다는 건 진리인 것을... 선진국 양반들은 그걸 몰라요.
시드마이어
16/02/02 10:06
수정 아이콘
???: 여러분들 이거 다 빨갱이들인거 아시죠?
하늘을 나는 고래
16/02/02 10:09
수정 아이콘
전국민 연금 복권 당첨인가요...
Cazorla 19
16/02/02 10:10
수정 아이콘
숨만쉬어도 저 돈을 준다니!?
종..종북좌빨..
신동엽
16/02/02 10:24
수정 아이콘
허경영...
16/02/02 10:31
수정 아이콘
그의 공약은 가능한 겁니까?
어린시절로망임창정용
16/02/02 10:29
수정 아이콘
이 좌빨놈들.. 무성이형이 화낸다? 우오아아아앙?
개과종굴이
16/02/02 10:40
수정 아이콘
일단 저는 놉니다;
절름발이이리
16/02/02 10:59
수정 아이콘
스위스 인당 GDP가 8만달러 정도로 한국의 3배 정도입니다. GDP랑 소득과 물가엔 각각 차이가 있지만, 어쨌건 단순 무식하게 이 비율대로 한국에 적용하면, 저건 월에 1백만원 좀 안되게쯤 주는 겁니다. 물론 이거 받고도 놀며 살 수도 있긴 합니다만..
16/02/02 11:28
수정 아이콘
2014년 IMF기준으로는 GDD (PPP) per capita는 스위스가 $58,000 vs. 한국이 $35,000 정도이니, 대충 1.5배 정도 차이죠. 그러면, 생각보다는 훨씬 많이 주는 돈입니다. 한국 체감으로 대략 인당 194만원 정도를 지급하는 셈이니, 미성년자녀 포함된 3-4인 가족 기준으로 하면 대략 400-600만원의
월소득을 보장해 주는 셈입니다. 왠만한 서울의 3-4인 가족 월수입보다 많은 돈이죠.
절름발이이리
16/02/02 12:20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명목GDP보단 구매력평가기준을 적용하는게 더 낫겠네요.
솔로11년차
16/02/02 11:26
수정 아이콘
일을 안한다라는 것이, 백수로 지낸다는 뜻은 아니죠. 일단 예술계통은 발전할 겁니다. 생계를 위해 꿈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덜 생길테니까요. 또 보다 오래 공부할 가능성도 생기구요.
어쨌든 '일'은 안하더라도, 그만큼 꿈을 포기하는 사람들은 줄어들 겁니다. 이 경우에 한정한다면, 사회적 생산량은 줄어들더라도 사회가 행복해질 가능성이 있는 거죠.
캬옹쉬바나
16/02/02 11:45
수정 아이콘
이게 정답이라고 봅니다.
옥스퍼드회장
16/02/02 15:40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보로미어
16/02/02 20:23
수정 아이콘
와 적극 공감합니다.
16/02/02 11:36
수정 아이콘
원래 일하는 사람2가 안하는 사람 8을 먹여살린다가 2:8이론이죠.
일 좋아하는 사람 2가 열심히 일해서 8을 먹여살리면 됩니다.
Arya Stark
16/02/02 12:52
수정 아이콘
하고 싶은 공부를 하기에는 좋겠네요.
16/02/02 14:39
수정 아이콘
기본소득자체가 연구가 이것저것 진행되는걸로 아는데 생각처럼 "인플레이션 폭파! 아무도 일을안해!" 같은 상황은 장기적으로는 적다고 하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7729 [기타] 여초사이트 PGR21의 현실 [28] ZZeta7882 16/03/15 7882
263669 [기타] 무상소득 [46] 에버그린11044 16/02/02 11044
263158 [기타] 일본 점프 45주년 기념 인기 캐릭터 투표 결과 [22] 캬옹쉬바나6688 16/01/26 6688
209013 [기타] [기타] MLB파크 2014 불펜의 여신 시즌1 투표 최종 결과 [46] 타나토노트6779 14/06/16 6779
207584 [기타] [기타] 선거날 봐야 할 만화(2) [3] shadowtaki5262 14/06/04 5262
207581 [기타] [기타] 선거날만 되면 봐야하는 영상 (3) 김연아4595 14/06/04 4595
207570 [기타] [기타] 선거날만 되면 봐야하는 영상 (2) [8] 눈부신날5701 14/06/04 5701
207555 [기타] [기타] 선거관련 PGR 10%에 도전 [4] 최종병기캐리어4769 14/06/04 4769
207552 [기타] [기타] 선거날만 되면 봐야하는 영상 [40] 해비6148 14/06/04 6148
206826 [기타] [기타] (게임) 잔치는 끝났다. 집으로 돌아가! [14] 아티팩터5663 14/05/28 5663
206022 [기타] [기타] 정적인 투표 독려 에세이 [13] Darth Vader6155 14/05/20 6155
203103 [기타] [기타] [계층]츠타야의 럽라 캐릭 투표! [15] 데카레드2925 14/04/22 2925
201043 [기타] [기타] [계층] 반도의 한 모바일 게임 만우절 이벤트 상품 [4] 니시키노 마키4162 14/04/01 4162
179996 [기타] [기타] 평양에 무기 투하 고민중 [5] 인터넷 그만해5672 13/10/30 5672
169848 [기타] [기타] '애니메이션을 보고 눈물을 흘린 작품' 랭킹 [25] Darth Vader8178 13/08/18 8178
168084 [기타] [기타] 애니속 최강 여성캐릭터는? [24] Darth Vader7829 13/08/05 7829
167472 [기타] [기타] 2013년 여름 시즌 애니메이션 히로인 총선거 앙케이트 결과 [11] Darth Vader6448 13/08/01 6448
167443 [기타] [기타] [주간 소년 점프] 역대 악역 만화 케릭터 랭킹 [27] Darth Vader8543 13/07/31 8543
158646 [기타] [기타] 200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 노래 Top 100 (수정) [46] 오우거12029 13/05/19 12029
157391 [기타] [기타] [단편소설] 증거 [4] 물맛이좋아요11236 13/05/09 11236
156500 [기타] [기타] 최고의 그런지(Grunge) 앨범 10선 [16] Neandertal4473 13/05/01 4473
156214 [기타] [기타] 최고의 헤비메틀 앨범 10선... [73] Neandertal6956 13/04/28 6956
155952 [기타] [기타] [LOL] SWL, WE vs IG 시상식 돌발영상 [34] 마빠이7820 13/04/25 78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