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10/23 20:18:21
Name 삭제됨
Subject [기타] [기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철학가 best 30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eviathan Wakes
14/10/23 20:23
수정 아이콘
하이데거 순위가 지나치게 낮은듯. 데리다 없는 거야 그럴 수도 있다고 보는데 파르메니데스는 당연히 꼽혀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근데 저 선정한 커뮤니티라는데가 실존하긴 하는 걸까요...? 생각하면 할수록 저 커뮤니티라는 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심이 강해지네요. 일단 철학 관련 투표에 8만명이나 참여했다는 사실부터가 의심스러운...(중국에서 투표한 거면 가능할 수도 있겠는데 그러면 저런 순위는 안나올듯)
swordfish-72만세
14/10/23 20:29
수정 아이콘
30위 라캉 부터 에러네요. 역시 라캉의 마지막 보루 한국.

그리고 영미 철학에 대한 과소평가도 보이구요. 솔직히 철학사에서 존 롤스가 저기에 있는 몇몇보다는
훨씬 중요한 위치인데 말이죠.
Dr.Pepper
14/10/23 20:43
수정 아이콘
라캉 전공자가 무지 많더라구요. 크크크크
전 재미도 뭐도 잘 모르겠던데 말이죠.;;

영미철학에 대한 과소평가에 격하게 동의합니다.

그러나 부처핸썸! 에는 호응하고 싶네요.
제가 불교철.... 여기까지 하겠습니다.크크크크
마스터충달
14/10/23 20:47
수정 아이콘
제가 비 전문가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
라캉은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비 상식적이라고나 할까요...
이게 뭔 개소리야 소리가 더 많이 나오드라구요
swordfish-72만세
14/10/23 20:53
수정 아이콘
애초 철학에 맞고 틀리고는 없다지만 라캉은 무시할 수 있는게 이 사람은 과학을 건드렸고 그 철학은 거기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과학이 이젠 다 틀렸다고 선고가 떨어지는 바람에 철학도 끝장 났죠.
마스터충달
14/10/23 20:53
수정 아이콘
정신분석학의 몰락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swordfish-72만세
14/10/23 20:56
수정 아이콘
예, 애초 라캉의 철학이라는 건 그 정신분석학에 기반한 것이고 애초 라캉은 철학자는 아니니까요.
철학적인 면에서 독자적으로 뭘 팠으면 그 잔재라도 남았겠지만 애초 그런 것도 아니고 그 기반이었죠.
마스터충달
14/10/23 21:32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것들이 제가 다 절절하게 공감하는 것들이네요. 근데 비평쪽에선 아직도 라캉이 전가의 보도랄까요.
이게 희극으로는 잘 맞아 떨어지는 면이 있는데
비극적 결말에 대해, 특히 죽음에 관해 데카당스 같은 찬미가 나오는게 문제더라구요.
간단히 말하자면 허세스럽죠. 아니 라캉스럽다고나 할까요 -_-;;
프루미
14/10/24 00:25
수정 아이콘
정신분석학이 몰락했다고 라캉을 무시할 수 있으면 프로이트는 저기 왜 있는겁니까?
철학적인 면에서 독자적으로 판게 있지 왜 없습니까?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개념을 라캉이 만든거고 충분히 철학적인 면에서 독자적인거지 그게 뭐 다른 학자 주장의 아류도 아니고... 제가 라캉이 뛰어나다고 평가해서가 아니라, 라캉을 그냥 무시할 수 있다고 쉽게 말하시는게 좀 어이가 없네요... 라캉 정도면 프로이트 류의 정신분석학을 해체하는 후기구조주의 철학자 계열에 넣을 만 하죠. 푸코랑 데리다같은 사람들하고 같이요. 요즘 철학에서도 많이 다루는 걸로 알고 있구요. 한국을 무슨 라캉의 유일한 보루 취급하면서 '무시해도 된다'라고 말할 정도의 사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swordfish-72만세
14/10/24 01:07
수정 아이콘
애초 라캉이 주장하는 식의 매커니즘으로 인간의 인지 체계가 이루어지 않는다는게 증명 되었는데
문제는 이게 라캉 철학의 기둥입니다. 이게 무너졌으니 의미가 있을리가요?
앞서 말했듯 라캉은 철학자라기 보다는 심리학자이고 여기에 엄청 의존하고 있다는게 철학에 한계죠.
특이한 사람과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자 빼곤 아리스토텔레스 생물학과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을 연구하지
않는 이유와 같습니다.
14/10/24 01:37
수정 아이콘
...정신분석학이 (경성)과학이 아닌 이유는 증명불가능성에 있는데 뭐가 증명되었다는 건지요? 라캉은 심리학자가 아니라 정신분석학자이고 프로이트가 철학자로 인정된다면 라캉도 인정될 수 있지요. 아리스토텔레스와의 비교는 경성(자연)과학이 아니라 연성과학에 가깝다는 것으로 충분할 것 같은데요.
swordfish-72만세
14/10/24 02:37
수정 아이콘
그의 정신분석학을 기술하는데 사용한 과학적 기술, 수학적 차용 모두 과학계에서 통렬히 까였습니다.
그러니 라캉의 인지적 기술 자체가 틀렸기에 철학 자체도 상당히 애매한 입장이 된거죠.
애초 프랑스 포스모더니즘 자체가 어설프게 정신분석부분을 차용해서 그러햇지만
라캉은 이건 악의적일 지경으로 좀 심했어요. 또한 글 자체가 일부로 난해하게 써서 사람을 속이는 것
아닌지라는 소리까지 들었죠.
사실 인문학계에 대한 과학계의 대규모 반발을 불러온 사람이 바로 라캉이죠. 너무 지멋대로 과학지식을
인용해서요.
14/10/24 02:55
수정 아이콘
swordfish-72만세 님// 네 알겠습니다 제 답변에 대한 답은 없는 것으로 알겠습니다
예니치카
14/10/23 20:32
수정 아이콘
큭....푸코.....
근데 스피노자 사진 밑에 문구는 스피노자가 한 말 아니지 않나요?
14/10/23 20:32
수정 아이콘
한나 아렌트 없으므로 무효
14/10/23 20:36
수정 아이콘
kia...부처핸섬! '어? 아리스토텔레스가 3위? 플라톤이 2위?? 대체 1위가 누구길래...' 했더니만 석가갓. 인정합니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데카르트, 소크라테스, 공자까진 누구라도 인정할만한 top 10일듯. 저는 헤겔 순위가 생각보다 낮은 느낌이네요.
그나저나 니체의 인지도와 인기는 크크...저도 니체 좋아하지만 역사상 모든 철학자 중 top 10 안에 들 정도인가는 의문입니다. 워낙 튀는 분이라서
이런 인기투표에서 강한듯.
swordfish-72만세
14/10/23 20:39
수정 아이콘
저는 사실 못마땅합니다. 1위는 플라톤 이외에 존재할 수 없다고 봐서 말이죠.
마스터충달
14/10/23 20:48
수정 아이콘
1위를 플라톤으로 두느냐 아리스토텔레스로 두느냐로 싸우면...크크크
전 아리스토텔레스쪽으로 크크
언뜻 유재석
14/10/23 20:38
수정 아이콘
디씨질 하면서 성공하는 XX는 없어.

성공한 XX가 디씨질 하는 경우는 있어도.

-프로 야갤러
14/10/23 20:40
수정 아이콘
야갤아닌걸로...
14/10/23 20:40
수정 아이콘
저 사진은 석가모니가 아니라 다른 부처 아니었나요. 지장보살이었나
14/10/23 20:44
수정 아이콘
사르트르가..
14/10/23 20:44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사르트르 행방불명...?
swordfish-72만세
14/10/23 20:47
수정 아이콘
사실 버틀란드 러셀도 없죠. 사실 비트겐슈타인이 저렇게 고순위인데 러셀이 없다는 것도 정말 미묘. 애초 화이트해드는 듣보라고 하더라도...
14/10/23 21:18
수정 아이콘
사르트르가 없네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4/10/23 20:45
수정 아이콘
하지마.. 포기하면 편해..

-안선생
천지인
14/10/23 20:47
수정 아이콘
은하제국을 대표하는 철학자 오스카 폰 로이엔탈이 빠졌군요.
14/10/23 20:48
수정 아이콘
크큭...
14/10/23 20:49
수정 아이콘
헤겔 있나요..?
30명 중에 헤겔 못 본 거 같은데 '';;

석가모니가 1위인데, 예수는 30위 안에도 못 드는 이유가 뭘까요?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무리 못 쳐줘도 10위 안에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중요성으로 따지면 1위라고 생각하고요.
14/10/23 20:50
수정 아이콘
16번째에 있어요
14/10/23 21:0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swordfish-72만세
14/10/23 20:51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아우구스티누스랑 아퀴나스는 신학자로 좀 과소평가 당하죠. 사실 이들이 철학에 미친 영향은 생각보다 큰데 말이죠.
또한 석가갓을 넣으면서 예수가 없다는 건 또 뭔지... 애초 신학으로 뺄거 같으면 석가갓이랑 예수랑 동시에 나가야죠.
아우구스티누스랑 아퀴나스는 신학적인 부분을 빼고도 철학사에 미친게 크니 넘어가도 말이죠.
흰코뿔소
14/10/23 21:43
수정 아이콘
예수가 설한 바와 석가모니가 설한 바는 그 성격이 매우 다릅니다.
애초에 동양의 종교와 서양의 종교는 이름만 둘 다 종교라고 불리울 뿐, 그 성격이 지나치게 달라서 신학으로 묶기가 힘들죠.
swordfish-72만세
14/10/23 21:50
수정 아이콘
뭐 그렇다손 치더라도 1위는 아니죠.
솔직히 동양에서 조차 불교철학이 도미넌트한 것도 아니었는데요
흰코뿔소
14/10/23 21:51
수정 아이콘
무엇을 기준으로 순위를 나열하는가가 문제가 되는데, 학문적 영향력으로는 1위가 될 수 없긴하겠네요.
14/10/23 20:52
수정 아이콘
마호메트님도 없는 걸 보면 철학자가 아니라 종교인으로 분류한 듯 하네요.
내일은
14/10/23 20:51
수정 아이콘
커뮤니티라는게 어떤 특성을 가질 수 있어서 대표성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한국에서 철학으로 석사 이상 학위 소지자 대상으로 하면 칸트-헤겔이 초상위권이어야 할 것 같은데...
몽키.D.루피
14/10/23 20:55
수정 아이콘
플라톤 위에 석가 있는 건 솔직히 좀 에러죠. 영미철학 과소평가도 맞고 비트겐슈타인도 일단 10권 내로 들어와야 되고 샤르트르도 없는데 라캉, 베르그송은 왜 있는지 모르겠고 여러모로 의문이 드는 순위네요.
구밀복검
14/10/23 20:56
수정 아이콘
데카르트는 지나치게 고평가고 헤겔과 아퀴나스는 너무 낮네요. 석가모니도 인문학자들의 불교에 대한 판타지에 의해 거품이 낀 게 아닌가 싶고. 흄도 저거보다는 높아야 한다고 봅니다. 결국 흄의 문제의식을 정면에서 이겨내지 못한 게 칸트인데. 마르크스는 저런 순위에서 논할 필요가 없을 테고요. 사회과학적으로야 몰라도 철학사적으로는 헤겔 열화판에 불과한 걸요.
개인적으로 플-텔-아-칸-헤가 1~5위 차지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네요. 뭐 동양사상가를 쿼터에 따라 한 두 명 넣을 수도 있겠지만.
swordfish-72만세
14/10/23 20:57
수정 아이콘
정말 흄은 숨겨진 철학 본좌죠.
그리고 말씀하신 프텔아칸헤+공자, 노자 정도를 넣을까 말까가 맡다고 봅니다.
14/10/23 21:01
수정 아이콘
흄이 11위에 있길래 감동했다능...숨겨진 흄빠가 이리도 많았다니.
14/10/23 22:52
수정 아이콘
흄빠가 많다보니 HUM 옷도 많이들 입고 다니더라구요
Legend0fProToss
14/10/23 21:16
수정 아이콘
저도 공부를 깊게 하지 않아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데카르트가 왜 대단한지
모르겠습니다
14/10/23 20:58
수정 아이콘
예수는 인간 철학자가 아닌 신이라고 생각한듯. 석가모니는 본인이 신이나 신의 아들이라곤 말안했지요. 불교도 석가 숭배하는 그런 종교도 아니고.
마호메트야 딱히 철학이라도 볼만한부분이 있나 모르겠습니다. 종교지도자 중에 철학자로 부를만한 사람이 석가모니밖에 없긴 합니다.
swordfish-72만세
14/10/23 20:59
수정 아이콘
그래도 못들어 오는게 동양 철학이 아닌 한 플라톤의 안티테제로 불교철학 연구기 때문에 플라톤보다 석가갓이 철학분야에서 위에 설수 없는 겁니다.
14/10/23 21:03
수정 아이콘
재미있을 것 처럼 들리는데 조금만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불교 철학이 왜 플라톤의 안티 테제가 되는건가요?
swordfish-72만세
14/10/23 21:10
수정 아이콘
플라톤적이 사상을 근대철학까지를 이끌었고 19세기 후반부터 이에 대한 비판과 대체에 대한 연구가 전개 됩니다.
그래서 나온게 포스트 모던이나 언어철학, 등등이죠. 이런 대체제를 찾다가 동양 철학에 경도되신 몇분들이 찾은게 불교철학.
하나 종교학이라면 모르까 철학에서 마이너일 뿐이죠.

솔직히 저도 사실 정치철학쪽이라 주류 철학 이야기는 아니니 틀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몽키.D.루피
14/10/23 21:00
수정 아이콘
아 그러고 보니까 제일 중요한 인물 하나가 빠졌네요. 찰스 다윈. 과학자로 분류했나... 근데 이정도 레벨이면 철학자도 된다고 봅니다.
ohmylove
14/10/23 21:09
수정 아이콘
찰스 다윈이 들어가려면 뉴턴이나 아인슈타인도 들어가야겠죠..
14/10/23 21:14
수정 아이콘
철학적 의의가 있다 수준이지 어떠 철학을 주창한거 아니죠. 어디까지나 과학자일뿐.
14/10/23 22:45
수정 아이콘
요새 몇몇 그의 추종자들의 스탠스를 보면 저기 안낀다는걸 오히려 더 좋아할듯...
swordfish-72만세
14/10/23 21:05
수정 아이콘
계속 보다보니 영미철학에서 반드시 빠져서 안될 인물이 빠졌네요. 벤담.... 현대 사회에서 벤담의 영향을 안받은 사람 있나요?
14/10/23 21:05
수정 아이콘
제 안의 순위로는 흄은 5위 이내에 들어야하는데요. 그리고 벤담같은 공리주의자가 순위권 안에 못든 것도 불만입니다. 현대 경제학의 뿌리이자 파급력 역시 무시못할 수준인데요. 한비자나 라깡이 들어가는데 벤담이...
14/10/23 22:53
수정 아이콘
흄 짱짱맨
하이엨
14/10/23 23:02
수정 아이콘
2222
14/10/23 21:09
수정 아이콘
상위권에 니체, 마르크스, 노자 이런 분들 있는거보면 분명 언급한 사이트에서 투표한 결과는 맞을거 같습니다. 투표는 당연히 어떤 객관적 기준없이 각자의 빠심으로 골랐을테고, 그러니 널리 알려졌고 영향력있는 니체 등등이 순위가 높을 수 밖에요. 석가모니 1위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것일듯.
Legend0fProToss
14/10/23 21:18
수정 아이콘
칼포퍼 같은 아저씨들은 저기 끼는건
무리인가요
나이가 너무 어린(?)가?!
14/10/23 21:29
수정 아이콘
보드리야르가 음네...
바보왕
14/10/23 21:31
수정 아이콘
우리 아부지가 없네요
루크레티아
14/10/23 21:32
수정 아이콘
공자가 생각보단 낮군요.
명색이 전 지구의 1/3의 역사를 관통한 철학을 정립한 사람인데 말이죠.
14/10/23 21:38
수정 아이콘
데카르트 하향 필요해보이네요. 그리고 쇼펜하우어 아저씨는 편 들어주고 싶은데 그냥 거기 계셔야겠어요.
히로카나카지마
14/10/23 21:38
수정 아이콘
빠들 투표
14/10/23 21:43
수정 아이콘
러셀이 없다니..
사실 제가 아는 몇 안되는 철학자라서..
14/10/23 21:44
수정 아이콘
외쳐!
플라토
아리스토틀레
흰코뿔소
14/10/23 21:57
수정 아이콘
저는 석가모니에게 '철학자'라는 타이틀을 붙이는 것부터가 실례라고 생각하는 입장이네요.
14/10/23 22:17
수정 아이콘
라캉이 저기 왜 있지.......;
14/10/23 22:18
수정 아이콘
공자가 너무 낮네요 플라톤 아리스토틀 칸트까지는 그렇다치고 데카르트보다도 낮은 건 그저 부들부들...그리고 저런 거면 양명이나 주희도 넣어줘야지 않나 싶은데 서양 애들한테는 듣보일려나
사와시로미유키
14/10/23 22:20
수정 아이콘
라캉이 뭐하는사람인지모르지만 저 말자체는 간결하면서 공감가네요
Darwin4078
14/10/23 22:35
수정 아이콘
그냥 재미로 보는 떡밥인데 진지하게 보시는 분들이 많네요. 후덜덜..
DogSound-_-*
14/10/23 22:40
수정 아이콘
천개의 태양이 폭팔하는것과 같으니 나는 죽음의 신이 되었도다 - 오펠 하이머-
14/10/23 22:40
수정 아이콘
라캉을 30위에 둔 혜안이 돋보이네요. 덕분에 빠르게 내리고 본문보다 가치있는 댓글을 볼 수 있었습니다.
無識論者
14/10/23 22:41
수정 아이콘
이런 자료들은 1위와 맨 꼴찌에 누가 있는지만 보면 됩니다.
30위 라캉과 1위 석가모니를 보니 신뢰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는군요.
김여유
14/10/23 22:57
수정 아이콘
원 출처가 어딘지 알 수 있을까요~
14/10/23 22:58
수정 아이콘
이건 순위도 말도 안되지만 순위마다 넣어놓은 아포리즘이 진짜 할말을 잃게 만드네요.
치토스
14/10/23 23:03
수정 아이콘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
-김xx-
소인배
14/10/23 23:11
수정 아이콘
라캉 따위가 있다뇨.
삼공파일
14/10/23 23:25
수정 아이콘
비트겐슈타인 사실상 1위
할머니
14/10/24 00:07
수정 아이콘
라캉은 그래도 문학비평에 있어서는 꼭 알아야하죠.
프루미
14/10/24 00:08
수정 아이콘
라캉 따위라고 무시하는 댓글이 열명 가까이 있는듯한데요. 정말 이해가 안되네요. 개인적으로 라캉의 저 말, 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라는 내용을 정말 인상깊게 읽었습니다. 요즘 유명한 지젝도 라캉의 영향을 많이 받은걸로 알고 있고요. 30위안에 들어가는게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렇게 개무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정말 이해가 안가네요.
14/10/24 00:33
수정 아이콘
앨런 소칼의 영향인가요. 프로이트 있는 건 안까면서 라캉만 유독 까네요. 제대로 알면서 까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 별개로'인간의 욕망은 타자의 욕망이다'는 스피노자나 헤겔이 이미 한 얘기였죠
프루미
14/10/24 00:48
수정 아이콘
그런것같네요. 제생각에도 들뢰즈가 왜 없나 싶긴한데 라캉을 저렇게 까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앨런소칼은 라캉 들뢰즈 보드리야르 같은애들이 과학을 오용했다고 깐거지 철학아니라고 깐건 아닌것같은데..
구밀복검
14/10/24 03:43
수정 아이콘
철학사적 의의가 부족하니까요. 이건 프로이트든 라캉이든 융이든 지젝이든 마찬가지입니다. 정신분석학이 철학의 전통 영역, 즉 인식론, 형이상학(혹은 존재론), 논리학 등의 영역에 대해 기여한 바가 없음은 모두가 동의할 것입니다. 굳이 기여를 했다고 한다면 심리철학인데, 이미 이 분야의 경우 생명과학/인지과학/뇌신경과학/심리학 등이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인간의 마음이 작동하는 <물질적인> 원리를 밝혀내고 있고 현대의 심리철학 역시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진행된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정신분석학이 설 자리는 이제 없죠. 예컨대 인간의 자유의지 문제, 자아나 의식의 정체, 성차가 가져오는 심리적 차이 등등이 모두 과학적 연구에 의해 진행되고 있죠. 실제로 심리학계에서도 정신분석학을 업으로 삼는 사람들은 거의 멸종되다시피했고, 커리큘럼에도 없고...가령 현대 심리철학자 중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대니얼 데닛의 연구와 정신분석학 간에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습니다. 철학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의미있는 커리큘럼으로 간주되지 않고 있고요. 결국 정신분석학이 머무를 수 있는 곳은 문학이론 분야 밖에 없는데, 대저 문학이론이라는 것이 인문학이든 사회과학이든 자연과학이든 간에 <학>이 되기에는 엄밀성이 부족하여 설 자리가 마땅치 않은 온갖 교양적 사유들이 그네들만의 카르텔을 형성하는 장소임을 생각한다면, 현재 정신분석학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는 매우 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죠.
14/10/24 04:22
수정 아이콘
정신분석학을 인지과학 같은 걸로 대체할 수 있다는 생각은 정말 정신분석학이 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정신분석에 대한 반감에 빠져 하는 실수죠. 인지과학 같은 환원주의에 비하면 정신분석은 얼마나 인본주의적인가요. 실증과학이 인간심리의 평균치를 내줄진 몰라도 문제가 있는 심리상태를 호전시키지는 못하죠. 정신분석학은 기본적으로 임상의 영역이고 그밖에 인식론 존재론 논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지요. 정신의학의 약물치료를 대화치료로 바꾼 것 만으로도 정신분석의 가치는 충분합니다. 그리고 심리학은 정신분석의 상위범주가 아닙니다.
구밀복검
14/10/24 06:27
수정 아이콘
인본주의냐 환원주의냐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사실에 부합하느냐 아니냐죠. 애초에 환원주의가 반인본주의라는 식의 도식 자체가 자의적인 설정입니다. 이미 유물론이 승리한지가 오래되었고, 영혼의 존재에 대한 신념은 판타지 이상으로 자리잡기 어려운 이상, 인본주의와 환원주의를 대립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죠.

예컨대
http://www.nature.com/neuro/journal/v11/n5/full/nn.2112.html

해당 논문에서는 인간의 의식적 판단보다 실제 행동의 결정이 약 10초 가량 먼저 이루어지며, 신경 신호가 뇌에 전달되는 시간보다 한참 뒤에 의식이 활동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의 결정은 의식 이전에 이미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실증해낸 것입니다.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중추나 중심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뇌 의식은 키보드나 마우스 같은 입력기가 아니라 모니터와 같은 출력기라는 것이 입증된 거죠. 그리고 그 점에서 의식은 결정능력이 있는 게 아니라 사후평가와 합리화를 담당한다는 논지까지 나아가고요. 다시 말해, 이미 이런 식으로 과학적인 뇌/신경의 연구를 통해 인간의 <정신을 분석>하고 있으며, 실제로 정신분석 이론의 역할을 대체 - 아니 애초에 정신분석학이 그 영역을 독점적으로 담당한 적 자체가 없으니 대체라고 말할 수도 없겠으나 - 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20세기까지의 철학적/심리학적 가설과 추측을 실험 설계를 통해 직접 검증 혹은 반박하고 있는 것이 현대의 인지과학의 역사라고 봐도 무방하죠.

실증과학은 문제가 있는 심리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우울증 환자에게 전기 충격 치료를 행하면 비약적으로 상태가 나아집니다. 강박장애 있는 사람에게 세로토닌 분비를 적절히 조절하는 약물 처방해주죠. 뇌의 일부분을 절제하여 정신증적 질환을 치료하기도 합니다. 모두 뇌과학과 신경과학의 성과에서 비롯된 것이고요. 그리고 정신의학의 주류는 여전히 약물치료이며, 임상의 역할은 부수적입니다. 게다가, 심지어 임상심리학 커리큘럼에서도 정신분석의 비중은 나날히 줄고 있습니다. 그보다는 생리/생화학/의학적인 모델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죠.

정신분석 이론이 인식론 존재론 논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하셨는데, 어느 유수 대학의 어느 커리큘럼에서도 인식론이나 존재론이나 논리학을 가르치는 데에 있어 정신분석 이론을 논하진 않습니다. 특히 월드 레벨에서 노는 대학에서 그런 사례가 있다면 아마 상당한 빈축을 사겠죠. 그리고 이게 바뀔 일도 없을 겁니다. 심지어 영미권 대학들보다 트렌드에 훨씬 뒤쳐지며 그로 인해 비주류적인 이론들도 종종 다뤄지는 한국의 대학들에서조차도 정신분석을 가르치는 철학과는 없다시피하죠. 가령 존재론을 다룬다고 치면 당연히 하이데거를 다루지 프로이트를 다루진 않습니다. 위에서 사례를 들었듯이, 실상 인식론과 존재론의 새 지평을 열고 있는 것은 자연과학이고, 철학계에서는 이를 수용하여 쫓아가기도 급급한 상황입니다.

정신분석이론이 주류 이론이 될 수 없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임상에 있어 정량적인 계량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정신분석이 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설혹 병세가 호전되었다고 하더라도 이게 정신분석 때문인지 신경계의 기전이 달라져서 그런 것인지 그저 세월이 흘러서 그런 것인지 어떤지 원인을 알 수도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연금술이나 점성술과 차별화될 수 있는 어떤 실증성이 있는지 알 도리가 없습니다. 결국 유사과학 소리를 들을 수밖에 없는 것이고. 특히 기초/실험 심리학자들이 정신분석에 대해 지극히 적대적인 것은 이유가 있는 것이죠.
SugarRay
14/10/24 00:13
수정 아이콘
전 소크라테스가 맘에 안드네요. 플라톤 책에 나오는 등장인물 아닌가요 플라톤은?

차라리 파르메니데스, 홉스, 주자, 왕양명을 그 자리에 넣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22519 [유머] [유머] 아주 사소한 남녀의 다툼 [5] Anakin Skywalker6046 14/10/24 6046
222518 [유머] [유머] 흔한 네이버 티키타카.txt [11] 랑비6840 14/10/24 6840
222517 [기타] [기타] 1억 폴리곤 [15] 피들스틱9802 14/10/23 9802
222516 [기타] [기타] 인본주의 따위 [6] 좋아요6392 14/10/23 6392
222515 [스포츠] [스포츠] 어느 야구팀의 가을 신상. JPG [8] Fin.7018 14/10/23 7018
222514 [기타] [기타] 기사 식당의 백미 [19] Anakin Skywalker8859 14/10/23 8859
222512 [기타] [기타] 빙과에서 마야카가 호타로를 까칠하게 대한 이유 [31] 연의하늘23420 14/10/23 23420
222511 [기타] [기타] 논리문제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19] chamchI5932 14/10/23 5932
222510 [유머] [유머] 지하철 삼국지 다른버전 [9] 발롱도르6852 14/10/23 6852
222508 [기타] [기타] 지하철 삼국지 [51] 조홍6791 14/10/23 6791
222506 [유머] [유머] 신박한 창조경제 BM [1] 절름발이이리4393 14/10/23 4393
222505 [유머] [유머] I will find you, then [3] 아닌밤4494 14/10/23 4494
222503 [기타] [기타] 관심병사.. [30] 알수없다11242 14/10/23 11242
222501 [유머] [유머] 이 동굴에서 바다생물의 이름을 말하면 죽는다. [6] 생각쟁이7227 14/10/23 7227
222500 [유머] [유머] 이부진도 쓰는 로션 [17] 수지설현보미초아15218 14/10/23 15218
222498 [유머] [유머] 게등블로 - 심의를 거두는 자 [13] 짱구4401 14/10/23 4401
222497 [유머] [유머] ATM 수수료 고마워요 [3] 절름발이이리6287 14/10/23 6287
222496 [기타] [기타] 맛있는 타코야끼 만들기 [20] 삭제됨5692 14/10/23 5692
222495 [유머] [유머] 하루 매출 1억? [42] 축생 밀수업자10044 14/10/23 10044
222494 [유머] [유머] 정의론의 존 롤스가 주인공인 연극 줄거리 [6] swordfish-72만세5108 14/10/23 5108
222493 [기타] [기타] 군침도는 영상 [20] 아이유5717 14/10/23 5717
222492 [기타] [기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철학가 best 30 [85] 삭제됨8291 14/10/23 8291
222491 [유머] [유머] 커플들아 이젠 끝이다. [9] 축생 밀수업자7070 14/10/23 70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