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3/11/25 04:45:27
Name V.serum
Subject [기타] [기타] 유게에서 논란이 됐던 수능 문제.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합한 문장을 고르시오.

수학은 그것이 매료시킬 수 있는 사람들을 끌어들일 것이지만, 과학에 대한 저항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아무 것도 하지 못할 것이다. 과학은 원리에 있어서는 보편적이
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극히 소수의 사람에게만 전달된다. 수학은 이른바 마찰이 없
는 가장 고차원적인 유형의 소통 기술로 간주될 수 있는데, 수학과는 정반대 편에
서 과학의 성과들은 말을 사용하지 않고 그 실제적 이득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러
한 성과들은 양면적 성격을 갖는다. 과학으로서의 과학은 “말로 전달되지” 않는데,
이론적으로 말하자면 과학자들이 서로 의사소통할 때 모든 과학의 개념들은 수학화
되는 것이고, 과학이 과학적 산물을 과학자가 아닌 사람들에게 나타낼 때 과학은
상술(설득력)에 의지할 필요도 없고 사실 의지할 수도 없다. 과학이 다른 사람들에
게 말로 전달되면 그것은 더 이상 과학이 아닌 것이며, 그러한 과학자는 수학의 정
확성을 약화시키는 선동자가 되거나 그런 일을 하는 선동자를 고용해야 한다. 그렇
게 함에 있어서 과학자는 화려하면서 애매모호한 표현과 은유적 표현을 사용하기
위해서 수학적 정확성을 추구하는 자신의 욕구를 뒤집게 되고, 그리하여
Q.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능숙한 상술(설득력)에 필요한 과학적 용어를 사용하는 자신의 능력을 떨어뜨리
게 되다
2. 과학과 수학을 연관시킴에 의해서 과학에 대한 장벽을 극복하게 된다.
3. 불가피하게 수학을 잘 못하는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과학에 대한 적대감을 갖게
한다.
4. 과학과 일반 대중들 간에 벌어진 간격을 메우는 자신의 책임을 소홀히 하
게 된다.
5. 자신에게 과학자라는 자격을 부여하는 지적인 행위의 규약을 어기게 된다.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181118

이 문제의 EBS해설본 입니다...  저는 언어영역 부터 다시 공부해야될듯.... 외국어는 무슨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11/25 04:48
수정 아이콘
요새 수능 외국어, 진짜 어렵습니다.
Holy shit !
13/11/25 05:35
수정 아이콘
이건 그냥 해설본보다 원문 보는게 더 이해가 빠르고 풀기 쉽네요.
하카세
13/11/25 05:47
수정 아이콘
솔직히 너무하다 싶을정도;; ebs연계 때문에 대부분 문제가 사실상 거저주는 문제가 되니까 너무 어렵게 만드네요 -_-;
13/11/25 05:55
수정 아이콘
이걸 영어로 푼다고요? -_-;;;;
Legend0fProToss
13/11/25 05:59
수정 아이콘
막상영어로보는게 한국말보다 쉽습니다?!
전인민의무장화
13/11/25 06:28
수정 아이콘
되게 번역티가 나는데요.
탱아이유
13/11/25 07:31
수정 아이콘
제목 됐 입니다 수정 부탁 드려요
市民 OUTIS
13/11/25 08:01
수정 아이콘
수준 높네요. 영어문제로는;;

편하게 마지막 문장만 읽어야 5번답을 쉽게 고르네요. '애매모호' '은유적'은 수학을 수단으로 하는 의사소통이 아니니 2,3번은 자동탈락하고 설득술로도 불리는 수사학의 핵심 키워드가 은유니 1,4번은 탈락... 그래서 5번으로 고를 수 있을 거 같은데... 처음부터 자세히 보면 더 어려운 문제네요.
13/11/25 08:01
수정 아이콘
그때 그 외국인 반응이 이해가 됩니당
오카링
13/11/25 08:23
수정 아이콘
교과서 공부론 절대 풀 수 없고... 그래서 ebs를 봐야 하는 거군요
13/11/25 08:48
수정 아이콘
수학은 그 아름다움을 아는 사람에게는 매력적으로 다가오겠지만, 과학에 대한 거부감을 떨쳐내는 데에는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할 것이다. 과학이 보편적인 원리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말로 전달되는 부분은 굉장히 적기 때문이다. 수학은 이를테면 이견이 없는 가장 추상적인 언어(소통 기술)로 여겨지는데 비해 과학의 결실들은 이와는 정반대 편에 서서 실용적인 가치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물에 대해서는 상반된 생각이 교차한다. 과학으로서의 과학은 “말로 전달되지” 않는데, 이론적으로는 과학자들이 서로 의견을 주고 받을 때 모든 과학의 개념들은 수학으로 표현되며, 과학이 어떠한 산물로써 과학자가 아닌 사람들에게 나타낼 때에 과학은 수학에 의지할 필요도 없고 사실 그러한 것이 가능하지도 않으며 다만 상술을 쓸 뿐이다. 과학이 다른 사람들에게 말로 전달되면 그것은 더 이상 과학이 아니게 되며, 따라서 과학자는 수학의 정확성을 떨어트리는 대중을 위한 설명가가 되거나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을 고용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과학자는 애매모호한 표현과 은유적 표현을 사용하기 위해 수학적 정확성을 추구하는 자신의 욕구를 억누르게 되고, 그리하여

5. 자신에게 과학자라는 자격을 부여하는 지적인 행위의 규약을 어기게 된다.

번역본이 너무 안 읽혀져서 약간 수정해봤습니다.
13/11/25 12:31
수정 아이콘
이거 보니까 좀 알겠네요
13/11/25 08:51
수정 아이콘
영어가 더쉽다;;
광개토태왕
13/11/25 08:52
수정 아이콘
외국어는 국어영역2입니다.
13/11/25 09:25
수정 아이콘
크크크 이걸 어떻게 풀라고
13/11/25 10:09
수정 아이콘
쉽다고 생각했는데 영어문제요??
ArcanumToss
13/11/25 10:17
수정 아이콘
5번을 고르긴 했는데 영어 문제가 아니네요...
너무 어렵습니다.

제목 맞춤법이 잘못됐네요.
됬 -> 됐
수호르
13/11/25 11:26
수정 아이콘
이건 무슨... 번역본을 읽으니깐 이해할 수가 없네요 -_-;;;
이게 외국어 영역 B형 문제였던거죠?
시험 당일 문제를 풀어봤을때 상당히 난이도가 느껴졌긴 했는데.. 번역본은 읽어도 이해가 안되서 틀릴듯..ㅡㅡ;;
중요한건 확실히 고등학교 학생 수준 이상이 되는 난이도 였던거 같아요
영원한초보
13/11/25 12:12
수정 아이콘
본문 읽고 답이 없나 했는데
영어로 된거 읽으니까 답 보이네요;
이거 번역된게 더 어려워요
13/11/25 12:19
수정 아이콘
저 언어영역 만점자였는데 정말 어렵네요. 번역문 뭔 소린지..
최초의인간
13/11/25 12:42
수정 아이콘
국문으로 보니 풀만한데.. 외국어 영역이었다니 후덜덜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02763 [유머] [유머] EBS의 어느 방송 예고 음악.swf [13] Walkoff5651 14/04/18 5651
202571 [유머] [유머] EBS 새 수학 선생님에 대한 조선 일보 기사 [3] 요정 칼괴기7832 14/04/15 7832
202559 [유머] [유머] 새로나온 EBS 수학쌤이 대인기 [29] 여자친구16293 14/04/15 16293
202546 [유머] [유머] 요즘 EBS 수학의 맞춤형 교육 [3] 요정 칼괴기5102 14/04/15 5102
202537 [유머] [유머] 요즘 EBS 중학 수학 [8] 요정 칼괴기5952 14/04/15 5952
202515 [유머] [유머] EBS 중등수학의 덕심공략 [7] legend7861 14/04/15 7861
202299 [유머] [유머] 역사채널 역관광 [24] Duvet8589 14/04/13 8589
200029 [기타] [기타] EBS 다큐프라임 이번주 방영분 출연진들 [4] 니시키노 마키5266 14/03/23 5266
197902 [유머] [유머] EBS에서 제일 불쌍한 캐릭터 [14] Acecracker8235 14/03/06 8235
197582 [유머] [유머] 어린시절 EBS에서 꼭 챙겨보던 프로그램.youtube [8] 랑비6285 14/03/04 6285
195395 [기타] [기타] EBS 이다지 선생님 [14] 참치10875 14/02/16 10875
194607 [유머] [유머] [EBS] 아.. 난 일본 문화가 너무 좋아 [8] 오카링6993 14/02/11 6993
191491 [기타] [기타] 우유, 소젖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52] 짱구 !!10682 14/01/19 10682
185062 [연예인] [연예] EBS의 클라스 [4] 낭만토스7937 13/12/04 7937
183649 [기타] [기타] 유게에서 논란이 됐던 수능 문제. [21] V.serum8671 13/11/25 8671
181540 [유머] [유머] 어느 그룹의 공중파 데뷔 무대 [3] Walkoff6317 13/11/10 6317
181162 [기타] [기타] 제정신이었던 고구려의 혼례.EBS [16] 라이트닝7783 13/11/08 7783
180782 [기타] [기타] 세계사 공부 하고 가시죠 [6] 뀨뀨7719 13/11/05 7719
178404 [유머] [유머] 고... 공부가 하고 싶어요 [30] Duvet12356 13/10/18 12356
175126 [유머] [유머] 스파이 펭귄 [5] 인간흑인대머리남캐7906 13/09/25 7906
174404 [유머] [유머] 요즘 대치동 화장실 [6] 훈남아닌흔남10718 13/09/19 10718
173888 [기타] [기타] 추석특집 영화정리 [5] 성시원9263 13/09/14 9263
171716 [기타] [기타] [버티는 실험 관련] 호모 딕티우스의 탄생 [20] 타이밍승부8685 13/08/30 86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