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8/08 17:53:16
Name 쿠릭
Subject [일반] 새롭게 도약하는 라이프 스타일 - 2012년


2012년 무렵은 과거와는 다른 방식의 라이프 스타일을 갖춘 20대 한국인들이 뿌리내리는 시기였다.

[[문민정부(93년~) 시기 이후를 10대로 겪은 20대들]]이 사회 활동을 영위하고, 20대 동안 지방자치(95년~)를 겪으면서 달라진 대한민국의 모습을 체화하며 살아갔다.

한국에서 서울이 아닌 다른 곳은 서울보다 못 한 곳이라는 인식이 본격적으로 달라지는 시점으로 2012년을 꼽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많은 논쟁이 있었으나,
실질적으로 워싱턴D.C.같은 행정도시(공식적으로는 원안의 행정도시 디자인과는 다소 달라졌다.) [[세종특별자치시의 공식 출범하는 시점이 2012년]]이다.

소위 '마계'라는 불명예스러운 별칭을 가진 인천에서는 [[대한민국 최초 미국 대학의 캠퍼스]] 확장이 이뤄져, 한국뉴욕주립대가 송도 내에서 개교하기도 했다. 송도 뿐만 아니라, 분당, 청라 등 과거와는 다른 방식의 신도시들이 생각보다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아갔다. 이러한 신도시들은 행정적으로만 인천과 성남 등에 속해있을 뿐이지, 사실상 별개의 도시로서 인지되어 10년 넘게 지금도 별개의 고급 도시로 작동하고 있다.

송도 일대에는 아직 개발 초기인지라 송현아로 불리는 현대프리미엄 아울렛이 등장하기 이전이었는데, 해당 지역 일대에서 처음으로 대형 쇼핑몰인 스퀘어원이 들어서면서 어느정도 살아봄직한 분위기로 전환되어갔다.

이러한 국내 전반의 새로운 변화들은 20대들의 사회 생활에도 새로운 영향을 끼쳤다. 과거와는 달리 좀 더 합리적인 가격대에서 1인 가구로서 적합한 기회들이 나타나면서, 역사상 최대 규모인 [[1인 가구 비율 33%]]를 기록(2022년 현재는 40%)하게 된다. 1인 가구의 확대는 곧 햇반(많은 짤방이 양상되었던 박태환의 햇반 광고도 이 시점에 유행하게 되었다.)과 편의점 수요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표현되었으며, 패밀리 레스토랑같은 3~4인 가족을 상정한 비즈니스들은 제자리 걸음 내지 하향세를 걷게 된다.

2012년 한 해의 경제는 세계 경기의 악화 국면과 중국 경기의 호조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보합세를 이뤘는데, 중국의 시진핑 선출과 일본의 센카쿠 열도 자국 영토 선언의 여파로 한국에서는 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이 독도에 방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독도에 관심이 사기업의 광고로 까지 이어지는 등 사회 전반적으로 컸던 해였다. 독도에 대한 뜨거운 관심은 자연스레 반일 정서 및 불매 운동으로도 번져갔는데, 이후 한일 관계가 다소 악화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대외적으로는 한미 FTA 발효(아세안, 유럽연합, 미국 모두를 대상으로 FTA를 발효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아시아계 최초로 세계은행 총재에 김용 지명, [[싸이 강남스타일 빌보드 스트리밍 1위]] 기록 등의 세계적인 관심을 받을만한 이슈들이 제법 많았다. 또한, 다들 체감했듯 [[2012년 출시한 갤럭시 S3]]는 이전 시점에서 아이폰과 대항마 수준으로 불리던 것을 훨씬 넘어서서 시장 점유율 면에서 압도적인 1위를 '갤럭시'로 굳히기를 들어가는 시점이 되었다. 이 때 LG도 옵티머스 G 출시, 세계 최초 VoLTE 상용화 등으로 혼신의 힘을 다했으나 갤럭시 만큼의 이슈 몰이는 역부족이었다.

서울에서는 말이 많았던 소위 유리궁전, 서울 신청사 완공으로 오래된 건물만 있던 서울시청 일대에 새로운 활기가 생겨났다.

지엽적인 면에서는 오늘날 당연한 서비스로 여겨지는 카카오톡의 보이스톡이 이 때 처음으로 등장했다. 그런데 2012년에는 보이스톡이라는 기능이 마치 불법 무료 통화 정도의 이상한 프레이밍을 통해서 자주 기사화되었다. 이 당시만 하더라도 통신 3사가 주요 수입원이던 통화료를 카카오톡으로 인해 뺐기게 되는 그림을 막으려는 발악에서 나타난 현상이었는데,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무리수일 뿐이었다. 오히려 [['카카오톡=무료 통화']]라는 홍보 효과를 전국적으로 일으키는 결과만 발생하여, 당시 경쟁자였던 틱톡, 마이피플 등의 서비스들을 완전히 추월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과거 인터넷 시대 때 10대들이 주로 애용했던 [[버디버디, 야후 코리아를 중단시킨 해]]가 2012년이기도 했는데, [[모바일 환경에 적응할 수 없던 구식의 인터넷 비즈니스들의 서비스 종료]]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게임의 명가 블리자드에서 잊을 수 없는 [[흑역사 디아블로 3]]를 내놓으면서 다른 의미로 게임 역사의 새로운 한 획을 남기기도 했다. 사실 게임의 완성도 자체는 전작에 비해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보여졌기 때문에 폭발적인 동시접속으로 기대감을 극한까지 자아냈으나, 플레이를 한 후에는 모두 공통된 의견으로 이어지고는 했다.




여러분들의 2012년은 어떠셨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etelgeuse
23/08/08 17:57
수정 아이콘
대학원 입학..암흑기 시작…
FlyingBird
23/08/09 00:39
수정 아이콘
저도 대학원 입학.. 암흑기까지는 아니였지만, 1년차가 힘들긴 했네요.
23/08/09 09:20
수정 아이콘
대학원 2년차 암흑기의 절정...
Jedi Woon
23/08/08 18:11
수정 아이콘
제가 2013년 1월에 결혼을 했으니....결혼하기 1년 전....솔직히 그 해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도 안나네요.
런던 올림픽 하던 해였나?
23/08/08 18:35
수정 아이콘
런던 올림픽도 2012년에 있었죠. 그다지 열광적인 올림픽은 아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유리한
23/08/08 18:15
수정 아이콘
그때도 지금이랑 똑같이 ios 앱을 개발하고 있었..
잠깐 수원 내려와서 2년쯤 살다가 출퇴근 너무 힘들어서 다시 서울로 올라간게 12년 가을이네요.
23/08/08 18:26
수정 아이콘
치열했던 2개의 선거와 당내 역학관계로 인한 싸움 등 정치적으로 재밌는 일이 많았죠 크크
23/08/08 18:36
수정 아이콘
국내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죠.
도들도들
23/08/08 19:09
수정 아이콘
취업 전에 즐겁게 놀았던 마지막 해네요. 봄에는 전주영화제, 여름에는 런던올림픽, 가을에는 교토 여행, 겨울에는 라오스 여행. 연말 대선 시즌에 개봉했던 영화 레미제라블도 기억에 남네요.
10년이 지난 지금도 사는 건 크게 다르지 않지만, 같은 걸 해도 예전만큼 재미가 없네요.
23/08/08 20:28
수정 아이콘
이효리 처음처럼의 마지막해네요.
모델 바뀌고 도수 인하하면서 맛도 변한것 같아요.
23/08/08 21:37
수정 아이콘
돌이켜보니 오빤 강남스타일의 한 해였네요. 크
23/08/09 15:42
수정 아이콘
2012년 이후로 한 3년간은 강남스타일로 세계 곳곳에 도배되었던 걸로 기억하네요.
23/08/09 10:44
수정 아이콘
아직도 2010년대하면 먼 과거느낌이 안나는데.. 무려 2012년이 11년전이네요 하.. ㅠㅠ
23/08/09 15:43
수정 아이콘
2012년이 엊그제 같은데, 그때 사람들 모습이랑 지금 사람들 모습이랑 생각하면 꽤 다르죠.
라울리스타
23/08/09 20:51
수정 아이콘
24세, 군전역 후 1년 후, 취업 전 2년 전...

돈도 없고 내세울 것도 없지만 가장 혈기왕성하고 희망차게 놀던 시절로 기억합니다...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897 [일반] 최고의 스마트폰 자판은 무엇인가? [157] 반대칭고양이16918 23/09/23 16918 143
99894 [정치] 조민 ‘실버버튼 언박싱’ 영상 돌연 삭제, 정부신고로 한국서 못 본다 [106] Pikachu16901 23/09/22 16901 0
99877 [일반] [역사] 텀블러의 근본은 스탠리가 아닌 써모스 [24] Fig.19571 23/09/21 9571 7
99760 [일반] [팝송] 빌보드 선정 21세기 최고 히트곡 TOP20(남성) [26] 김치찌개9794 23/09/10 9794 12
99739 [일반] (스포 유)영화 '잠' 보고 왔습니다. [9] 계란말이6592 23/09/07 6592 0
99724 [일반] [역사] 치커리 커피를 아시나요? / 커피의 역사 [22] Fig.17460 23/09/06 7460 16
99691 [일반] MSI Z790 리프레시 메인보드 15% 가격 인상 [16] SAS Tony Parker 6596 23/09/03 6596 0
99628 [일반] 25년 연말 신혼희망타운 입주 예정자의 푸념글입니다. [34] 플래쉬9884 23/08/29 9884 0
99603 [일반] 일본의 MRJ 제트 여객기 개발의 교훈 [26] singularian11763 23/08/26 11763 18
99594 [정치]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오늘 나온 기사들 [37] 아롱이다롱이9332 23/08/25 9332 0
99552 [일반] 말리지 마세요 - 달짝지근해 [16] 새님7545 23/08/21 7545 10
99549 [일반] 오펜하이머 보고 생각나는대로 주절주절.. (스포) [24] 유료도로당6561 23/08/20 6561 4
99443 [일반] 새롭게 도약하는 라이프 스타일 - 2012년 [15] 쿠릭6564 23/08/08 6564 1
99320 [일반] 만년필 탄생의 혁신, 그리고 두 번의 뒤처짐 | 워터맨의 역사 [12] Fig.19222 23/07/26 9222 18
99298 [일반] 서이초 교사 사건 유족의 글 - 누가 죄인인가? [143] 일신15274 23/07/25 15274 21
99206 [일반] LOCKDOWN - 이세계아이돌(버츄얼 아이돌) 후기 [32] 잠잘까8645 23/07/14 8645 5
98968 [일반] 추천게시판을 재가동합니다. [3] 노틸러스5348 23/06/01 5348 6
98944 [일반] 겸손한 2만 5천불 돌파 - 2011년 [47] 쿠릭15427 23/06/07 15427 7
98924 [정치] 빌리그래함 전도대회 50주년 기념대회 [27] 안산10386 23/06/03 10386 0
98923 [일반] 오랫동안 기다린 컴퓨터 조립(컴퓨터 구입 희망하는 분을 위한 간단 팁) [21] 함초롬12841 23/06/03 12841 2
98915 [일반] 덕후들에게도 이로운(과연?) 락,메탈 공연문화 소개 (움짤주의) [13] 요하네9254 23/06/02 9254 13
98790 [일반] [역사] 그 많던 아딸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 떡볶이의 역사 [47] Fig.113216 23/05/17 13216 42
98766 [일반] 2000년대, 약소국에서 벗어나 지역강국으로 거듭난 대한민국 [136] 쿠릭16760 23/05/14 16760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