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5/07 00:30:44
Name 사람되고싶다
Subject [일반] 정말 별 거 없는 비대면 진료 후기

비염 처방을 받고 싶어서 근처 이비인후과를 찾아봤는데 토요일이라 죄다 닫았습니다.
사실 급한 건 아니라서 월요일에 할까 하다가 문득 비대면 진료 생각이 났습니다.

코로나 끝나서 다시 안될 줄 알았는데 아직 남아 있네요?
뭔가 호기심에 pgr에 글도 찾아보고(https://pgr21.com/freedom/95224) 직접 해봤습니다.
'왠지 비대면이니까 진료비도 싸고 약도 처방전 싼 곳에 가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고요.



[1. 과정]

[가. 앱 다운 및 가입]
앱은 그냥 아무거나 받았습니다. 찾아보니까 정말 대동소이한 것 같더라고요.
가입은 카카오톡이나 네이버로 바로 가능.

[나.병원 선택]
앱 메인에서 증상이나 진료과를 선택하면 바로 진료 가능한 병원들이 나옵니다.
그 중에서 아무 병원이나 선택했습니다. 전 그냥 이비인후과 전문의에 리뷰 많은 분 아무나 선택했네요.
병원 선택하면 증상을 작성할 수 있는 란이 나오고, 결제 수단을 추가합니다.

[다. 진료]
이후에는 전화가 오는데 그냥 병원에서 하듯이 진료 봤습니다.
전 증상 작성도 길게 썼고 원하는 게 명확해서 2분도 안걸리고 끝났습니다.

[라. 처방]
그러면 이제 처방전이 나오는데, 약을 받는 옵션은 총 4가지였습니다.
퀵, 당일배송, 택배, 직접수령

저는 직접수령 선택했습니다. 제일 싼 택배가 3000원이던데 5천원짜리 약에 배송비 3천원이면 수지가 안맞죠...

앱에서 근처 약국 리스트가 뜨고, 선택하면 전화 연결 됩니다. 처방받은 약 재고 있는지 확인해야 돼서요.
그렇게 전화로 확인하고 팩스 번호 받아서 입력하면 처방전이 약국으로 가게 됩니다.

그 이후 저는 그 약국 가서 평범하게 결제했고요.


[2. 장단점]

[가. 장점]
-. 진료 시간 절약
-. 원하는 시간대(주말, 새벽대에도 존재하신다 함)에 진료를 보고 약도 편하게 받아볼 수 있음
-. 비급여 약제의 경우 흔히 말하는 '성지' 등에서 싼값에 제조 가능

[나. 단점]
-. 배송비. 소량으로 받기에는 그닥 수지가 맞진 않다. 어차피 급여 약제는 가격이 정해져 있어 절감 효과도 없다.
   그렇다고 직접 약국까지 가기에는 '그냥 나간 김에 진료도 받으면 되지 않나?'란 생각이 듬.
-. 진료비가 싸지 않음. 진료비는 일반 진료비와 동일하다고 합니다.
   안그래도 비대면이라 더 짧게 느껴지는데(통화 2분 걸림) 진료비는 같습니다. 묘하게 손해본 기분.


[3. 비대면 진료를 추천하는 경우]

[가. 시간 부족]
병원 갈 시간이 부족하신 분들에겐 정말 유용할듯 합니다. 저만 해도 바쁠 땐 반차 내지 않는 이상 병원 갈 시간이 없었거든요. 근데 이건 그냥 짬 내서 전화 통화 하고 약도 배달로 받으면 되니 시간, 공간 제약이 확 줄어듭니다.

[나. 비급여 처방(탈모약 등)이 필요할 때]
비급여 약제의 경우는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특히 탈모약이 그런데 비대면 진료로 처방전 받고 흔히 말하는 '성지'에서 대량으로 구매하면 거의 한달치 가격에 1년치를 살 수 있다고까지 하더라고요. 어차피 택배로 받아보면 되니까 접근성도 좋고요.

[다. 감기, 만성질환 등 어차피 처방이 빤할 때]
저같은 경우는 만성 비염이라 어차피 처방은 빤합니다. 항히스타민제 주거나 스프레이 주거나 그렇죠. 굳이 의사 얼굴 볼 필요도 없습니다. 전 그냥 처방전만 있으면 되거든요. 단순 감기나 배탈 같은 것도 마찬가지고.
그렇지 않고 의사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면 별로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4. 후기]

참 신기하면서도 별 거 아닌 경험이었습니다.
그냥 의사랑 짧게 통화하고 약국 가서 약 받아온 게 다거든요. 기술이나 발상의 혁신이라기보단 그냥 막혀 있던 법적 제한만 풀린 느낌.

사실 저같이 급여 진료를 받는 사람의 경우는 비용 편익이 그닥 높은 편은 아닌 것 같습니다. 어차피 어딜 가나 진료비나 약값이 같으니...
대신 전술했듯이 시간이 부족하거나 비급여 약제 대량으로 사실 분들한테는 굉장히 큰 메리트겠지요.
어차피 필요한 건 처방전이지 진료 보는 요식행위가 아니기도 하고...

앞으로도 쓸거냐... 라고 한다면 쓰긴 쓸 것 같습니다.
대충 약국 근처 지나가다가 생각나면 간단히 휘리릭 통화하고 약 받아서 집 가는 정도로 쓸 것 같네요. 굳이 배송비 내거나 약 받으러 집밖에 나갈 일을 만들진 않을 거고.

뭔가 비대면 진료하면 신기술 하이테크 이런 이미지였는데, 진입장벽이고 편익이고 둘 다 미미해서 오히려 더 다가가기 쉬운 느낌이었습니다. 그냥 적당히 쓸만한 선택지 하나 더 늘어난 느낌.

굳이 찾아쓸 건 아니고, 여건 안될 때 별 기대 없이 가볍게 써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5/07 06:53
수정 아이콘
감염병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인 시기에만 예외적으로 허용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아직 심각 단계인 것 같네요). 사회 전체적인 측면에서는 논란이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개인 환자 입장에서는 선택권이 늘어나는 것이니 계속 유지되면 편리할 것 같습니다. 경험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람되고싶다
23/05/07 14:39
수정 아이콘
코로나가 참 인식상에는 종식된 것 같은데 아직 아니다보니...
진짜 딱 선택지가 늘어났다는 측면에선 긍정적이라고 봅니다. 개인적으론 루틴한 진료의 경우는 그냥 아예 풀어버려도 된다고 봐요. 대신 좀 더 고등한(?) 진료는 막고.
퍼펙트게임
23/05/07 10:32
수정 아이콘
전 탈모약을 이거로 수급중인데 편합니다.

곧 종료될수도 있는게 아쉽네요.
사람되고싶다
23/05/07 14:39
수정 아이콘
아예 제도화 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 같긴 합니다. 제 생각엔 그냥 유야무야 하다가 될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835 [정치] 공흥지구 '특혜' 없었다?…민주당 "모든 장모, 법 앞에 평등해야" [58] 베라히14005 23/05/22 14005 0
98834 [일반] 98832번글어 대한 개인적인 답변 [26] 햇빛비추는날10687 23/05/22 10687 60
98833 [일반] 운전하면서 힘든거 없으신가요?? [104] 버킷리스트13782 23/05/22 13782 2
98832 [일반] 대중교통 버스에게 바라는 점 [123] 시라노 번스타인19361 23/05/22 19361 5
98831 [정치] "한미일 정상 '2분' 회담…바이든, 尹·기시다 미국 초청" [71] 톤업선크림15798 23/05/22 15798 0
98830 [일반] <애프터썬> - 알고 있지만, 이해할 수 없는. [16] aDayInTheLife10728 23/05/21 10728 3
98829 [일반] 사형수의 면제 시효 개선입법 (98414번글 후속) [13] 이선화12492 23/05/21 12492 7
98828 [정치] 우러전의 격전지였던 바흐무트가 함락되었다는 소식이 나오고 있습니다. [91] 자급률22366 23/05/21 22366 0
98827 [정치] 윤석열 대통령 "'강제징용 가슴 아프다' 말한 기시다, 韓에 큰 반향...용기있는 결단" [28] 베라히16463 23/05/21 16463 0
98826 [일반] 나는 한자가 싫다 ( 그냥 뻘글 입니다. ) [51] 닉넴길이제한8자9746 23/05/21 9746 7
98825 [일반] 전기차 1달 타본 소감 [109] VictoryFood17391 23/05/21 17391 27
98824 [일반] [팝송] 파라모어 새 앨범 "This Is Why" [5] 김치찌개7709 23/05/21 7709 0
98823 [일반] 흑해곡물협정 가까스로 연장···러시아, 경제 피해 용납 못하는 중국-튀르키예 눈치 보기 [20] 베라히12656 23/05/20 12656 1
98822 [일반] 선교행위가 상대방의 종교선택의 자유를 빼앗는다면 불법행위일 수 있습니다 [115] 삭제됨15261 23/05/20 15261 4
98821 [일반] 독일에 온 제 1호 소녀상이 어디에 있는지 아세요 ? [19] Traumer16452 23/05/20 16452 21
98820 [정치] 후쿠시마 시찰단, 명단공개 불가, 취재 불가 [67] 어강됴리18974 23/05/20 18974 0
98819 [일반] 또나온 삼성 램 불량 이슈 [10] 랜디존슨14578 23/05/20 14578 3
98817 [정치] '바이든'인가 '날리면'인가를 가리는 정정보도 소송이 시작됐습니다. [81] prohibit17303 23/05/19 17303 0
98816 [일반] 내기에 이겨서 키스를 해봅시다. [23] 피우피우11931 23/05/19 11931 7
98815 [일반] 수가인상은 기피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127] lexicon15412 23/05/19 15412 25
98814 [일반] RTX 4천번대 요악: 70TI 아래로는 쳐다도 보지 마라 [60] SAS Tony Parker 12063 23/05/19 12063 2
98813 [정치] 재료비 내렸는데 라면 값 그대로?…영업이익 잔치 벌였다 [89] 톤업선크림16772 23/05/19 16772 0
98812 [정치] 후쿠시마 시찰단, 오염수 체취 불가, 민간참여 불가 [174] 어강됴리16043 23/05/19 1604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