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4/25 22:55:51
Name 오후2시
Subject [일반] 뉴욕타임스 4.25.일자 기사 번역(GPT가 언론계에 미치는 영향) (수정됨)
기사 링크 : https://www.nytimes.com/2023/04/21/opinion/chatgpt-journalism.html?searchResultPosition=21

GPT가 많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AI의 가능성을 찬양하는 사람들과
그것이 일으킬 재앙을 경고하는 사람들이
논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는 GPT가 아직 의존할 만한
능력이 없음을 지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번 기사는 기자가 GPT를 겪고
자신의 일에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쓴 기사 입니다.

기사 제목
: ChatGPT Is Already Changing How I Do My Job


기사 내용
1) GPT를 처음 접한 사람들은 사소한 질문에서 시작하지만
    점점 진지한 분야에도 사용한다.
2) 기존의 혁신들은 (스마트폰, 인터넷)
    큰 변화를 일으켰지만
    하룻밤 사이에 바꾸진 않았다.
    애플의 iPhone은 공개된 지 5년 만에
    미국 성인의 절반이 소유하고
    5년 더 지나, 75% 이상의 성인이 보유했다.
3) GPT는 공개된 지 5개월도 안 됐지만
    많은 사람들이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4) 나의 경우, GPT로 할 수 있는 것과
    못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면서
    GPT가 언론인과 미디어 산업을
    대체할 수 있다고 느낀다.
5) 뉴욕타임스도 편집국에 워킹 그룹을 만들어
   GPT 활용방안을 찾고 있다.
6) 내가 GPT를 업무에 활용하는 법
6-1) 단어 검색
       글을 쓰다가 적절한 단어나 구절이
       떠오르지 않을 때 GPT가 찾아 준다.
       만약, GPT가 아니었다면
       유사한 단어를 쓰거나
       머리를 싸매고 있었을 것이다.
6-2) 글 쓰다 막힐 때
       GPT는 언제나 이용 가능하고
       무슨 의견이든 즉시 말해준다.
       이런 의견들은 글 쓰다 막힐 때
        도움이 된다.
6-3) 요약
       크고 복잡한 이슈에 대해 판단할 때
       많은 문서를 읽고
       핵심 내용을 간추려 준다.
7) 하지만 문제가 있다.
    GPT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까?
    GPT는 부정확한 정보들을 쏟아낸다.
    또한 GPT 개발자 조차
    특정 단어를 왜 우선 제안하는지,
    선택하는 성향이 무엇인지 모른다.
8)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산업에서
    GPT의 활용성은 무궁무진하다.
    인터뷰 질문을 준비하거나
    취재원 추천 등에 활용 가능하다.
9) 하지만 GPT의 신뢰도가 낮음을 고려해야 한다.
10) 취재원인 ‘Carlson’의 제안을 소개한다.
     GPT의 신뢰도는 술 취한 허풍쟁이와 같이 보자.
     대부분 틀렸지만, 때때로 진짜인 경우가 있다.
     출처를 확인하자.


기사 소감
1) 정보를 쉽고, 빠르고, 다양하게 수집할 수 있지만
    그 댓가로 정확도와 숙고의 시간을 잃어버린 것 같습니다.

2) 결국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는
    오랜 시간을 들여야 나오는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오스
23/04/26 00:09
수정 아이콘
결론은 언론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면에서 통하는 멀이죠

유튜브도 길다고 쇼츠보는 시대니까요
멍멍이개
23/04/26 00:14
수정 아이콘
정보를 어렵고 느리고 다양하지 못하게 수집해도 정확도가 올라가는지랑은 별 상관이 없어보입니다
23/04/26 08:02
수정 아이콘
"GPT의 신뢰도는 술 취한 허풍쟁이와 같이 보자." 좋은 말 같습니다.
ModernTimes
23/04/26 11:48
수정 아이콘
연구 관련 내용을 검색하면 꽤나 도움이 되면서도,
레퍼런스를 내놓으라고 하면 90%는 뻥을 치더군요.
무조건 팩트체크를 해야합니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3/04/26 11:54
수정 아이콘
gpt의 신뢰도가 낮음을 인지하고, 낮은 신뢰도에도 불구하고 얼마든지 쓰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664 [정치] 기시다 日총리 방한, 7∼8일로 확정, 기시다 지지율 50%돌파 [64] 졸업14407 23/05/01 14407 0
98663 [정치] 14개월 연속 무역적자, 7개월 연속 수출 감소 [112] 크레토스20188 23/05/01 20188 0
98662 [일반] 유튜브 구독자 1000명을 달성했습니다~ [26] 포졸작곡가10794 23/05/01 10794 20
98660 [정치] 7일간의 미국 국빈방문 왜 간건지 모르겠습니다. [45] 잉명18926 23/05/01 18926 0
98659 [일반] 박호두 매억남 관련 폭로자 구르미가 사실이 아니라고 합니다. [34] 모두안녕21417 23/04/30 21417 2
98658 [일반] 왜 주식해서 돈 잃으면 피해자라 호소 할까요? [159] VvVvV17664 23/04/30 17664 8
98657 [일반] 해군이 복원한 2022년 거북선 (데이터주의) [26] 그10번15432 23/04/30 15432 14
98656 [일반] 방금 발견한 클릭 참기 난이도 최상 글제목 [7] 닉언급금지10780 23/04/30 10780 1
98655 [일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이게 어떻게 애들영화야, 덕후 영화지. [54] aDayInTheLife10548 23/04/30 10548 8
98654 [일반] 어떤 소리든 지지해주는 전문가가 있다 [26] 상록일기12794 23/04/30 12794 14
98653 [일반] 신규 운영위원 모집 결과 +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상시 모집을 공지합니다. [21] jjohny=쿠마9283 23/04/28 9283 7
98652 [일반] (스포) 1절 2절 뇌절 4절, <존 윅 4> [11] 마스터충달8768 23/04/30 8768 9
98651 [정치] 미국 우파 재단 전문가: 한국핵무장 여론은 대가를 알게되면 깨갱한다. [30] 기찻길18830 23/04/29 18830 0
98650 [일반] 두 공의 위치와 보즈-아인슈타인 분포 [13] 포스9011 23/04/29 9011 4
98649 [일반] 이번 CFD 사태 근황(feat 대주주) [22] 맥스훼인13487 23/04/29 13487 3
98648 [일반] 성인 정보 방송을 진행하면 가족 예능에서 하차하야 하나? [97] KOZE16084 23/04/29 16084 23
98647 [일반] 진화론을 믿으면 무식하다는 소리를 듣는 사회에서.... [201] Janzisuka20584 23/04/29 20584 12
98646 [일반] 퀀트 투자 하지 마세요 [60] 밥과글18322 23/04/29 18322 26
98645 [일반] 울산 여행은 여기서 골라가면 됩니다. (봄 축제일정 추가) [36] 10212605 23/04/29 12605 11
98644 [일반] 아이들 보여주려 갔다가 어른이 더 감동한 마리오 관람기 (스포 약간) [9] PENTAX9108 23/04/29 9108 3
98643 [일반] 그래서 슈뢰딩거가 만든 상자 안에 고양이는 죽은거야? 산거야? [52] Quantumwk13215 23/04/29 13215 4
98642 [정치]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 "이것이 바로 한국대통령이 언급했던 민간인공격" [97] 기찻길19424 23/04/29 19424 0
98641 [일반] 오늘의 클릭 참기 [10] 닉언급금지8429 23/04/29 842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