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12/24 16:01:38
Name kurt
Subject [일반] 황당한 가석방 - 김교수 존속살해 사건

황당한 사면 소식을 듣고 더 황당한 가석방 이야기가 생각 났습니다.

1995년 모 사학재단 이사장이 자택에서 칼에 찔려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납니다.
범인은 장례식장에서  영정을 들고 눈물을 흘렸던 큰아들 김 교수였습니다
범행동기는 재산 상속에서 본인이 제외되었고 막대한 빚을 갚기 위해서 였습니다.

[덕원예고 이사장 피살사건]재산 상속받기 위해 범죄 저질러
https://imnews.imbc.com/replay/1995/nwdesk/article/1949669_30705.html

이 사건과 다른 존속살해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가 '공공의 적'입니다.

그런데 영화와는 달리 더 영화같은 일이 현실에서 벌어졌습니다.

[단독] 학원이사장 살해한 장남…학교 판 돈 76억 받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793885#home

무기징역을 받긴 받았는데..
20여년이 지나 가석방 조건이 되어(?) 2016년에 출소를 하게 되고

출소하자마자 어머니가 살인자 아들에게 죽은 아버지의 유산과 20년 동안
불려놓은 재산을 물려주고 몇 달 뒤에 세상을 떠납니다.

동생들이 고소, 고발을 했는데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2/24 16:12
수정 아이콘
남편을 죽인 아들에게 상당한 재산을 남기고 두둔했다는 점이 특이하네요.
자식들간의 분쟁은 그냥 흔한 유산 다툼이구요.
21/12/24 16:29
수정 아이콘
영화에서는 어머니가 아들 손톱을 숨겨주는 식이었다면
현실에서는 아들한테 재산도 주는게 참
날아라 코딱지
21/12/24 16:24
수정 아이콘
이사건이 당시 워낙 세간에 알려져서 지금도 기억하는데
큰아들뿐만 아니라 가족모두가 자수성가하고 입신양명한 아버지의
지나친 권위-가부장적 스타일에 어렸을적부터 시달려왔다는건
당시 많은 뉴스나 보두에서 팩트라고 하더군요
종교적으로도 독실한 불교도인 아버지로 인해 기독교도인 며느리도
받아야 했던 압박감이 장난아닌 수준이었다고 하고
그래서 당시는 가족들 특히 어머니가 아들을 법정에서 엄청 두둔했고
다른 형제들도 아버지로 인한 심적고통이 있었다는걸 부정하지는 않았는데
이건이 지금 이렇게 유산분배 문제로 다툼이 이는군요
뭐 적법한 절차에 따라 분배되는거라면 어쩔수없는 거겠고
존속살인인데도 가석방이 나올수 있다는거 자체는 좀 의외긴 하네요
21/12/24 16:34
수정 아이콘
말씀만 봤을땐 참작될 만한 사유는 제법 있는거 같네요.
어머니 입장에선 어떻게 보면 큰아들이 총대 매고 20년 살다 나온건데 부채의식도 제법 있었을거 같구요.
지구돌기
21/12/24 16:28
수정 아이콘
남편을 죽이긴 했어도, 어머니에게는 여전히 아들이겠죠.
이민들레
21/12/24 16:37
수정 아이콘
전혀 문제될게 없어보입니다.
21/12/24 16:42
수정 아이콘
그렇게 황당하지 않은 것 같긴해요. 음주운전으로 일가족 죽여도 5년인데요..
내배는굉장해
21/12/24 17:03
수정 아이콘
상속은 다른 문제니까요.
21/12/24 17:26
수정 아이콘
본문만 보면 뭐 이래 싶은데,
댓글 보니 이해가네요.
antidote
21/12/24 17:30
수정 아이콘
뭐 요즘 세간에 화제가 된 그 주제도 남편은 피 안섞인 남이니 애정이 없고 그래도 자식은 내 핏줄이니 사랑한다는 소리도 나왔던 것 같은데 이전 세대도 마찬가지겠죠
21/12/24 17:40
수정 아이콘
가석방은 좀 그렇긴한데....
가족의 이야기는 그 가족안에서만 아는 이야기도 많을거 같아서..
관지림
21/12/24 18:02
수정 아이콘
연쇄살인마도 아니고
아무리 존속살인이어도 범행동기와 과정이 약간의(?) 참작되는점도 있고
20년정도 살았으면 가석방한다고 해서 크게 불편하진 않네요.
하지만 글쓴이의 심정도 이해는 갑니다.
21/12/24 19:06
수정 아이콘
남편 보다야 아들이 가깝겠죠. 피 섞인 사이도 아니고 원치 않거나 조건보고 결혼했을 수도 있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524 [일반] 황당한 가석방 - 김교수 존속살해 사건 [13] kurt10677 21/12/24 10677 1
94453 [일반] 백신의 한계에 대해 처음부터 공론화시키는 게 좋지 않았을까 싶어요. [225] Gottfried18926 21/12/20 18926 44
94348 [정치] 코로나 방역 상황 관련, 김부겸 총리 페이스북 글 전문 [233] SaiNT20546 21/12/12 20546 0
94323 [일반] 쓰레기 무단투척을 하면 손목을 잘라라 [18] VictoryFood10780 21/12/10 10780 3
94312 [정치] 안철수 코로나 긴급 기자회견 내용 정리.txt [109] 호옹이 나오16967 21/12/10 16967 0
94310 [정치] 5년 전 있었던 테러방지법 필리버스터 명언 모음. [126] 김파이18944 21/12/10 18944 0
94290 [일반] 제논의 역설은 어떻게 풀렸을까? [32] 나는모른다18477 21/12/08 18477 10
94206 [일반] 법의 집행은 법조문의 문구와 의도 중 어느쪽을 따라야 할까요 [26] Regentag8082 21/11/29 8082 2
94086 [정치] 영세 자영업 퇴출 : 대성공 [94] Gottfried18360 21/11/18 18360 0
94046 [정치] 이재명 후보의 대장동 관련 거짓말 [81] 스텔19702 21/11/14 19702 0
94042 [정치] 토지공개념 정책. 서울시가 먼저 시동을 걸었습니다 [68] 도방15662 21/11/13 15662 0
94025 [정치] 이건 이준석 대표가 연구를 많이 했네요 [64] 구텐베르크18172 21/11/11 18172 0
93999 [정치] 1992년 14대 대선 당시 정주영 후보 공약 [22] 변명의 가격11864 21/11/09 11864 0
93953 [일반] 죽음과 삶에서의 죽음의 역할 (번역) [1] 아난6931 21/11/04 6931 5
93902 [정치] '정부, 출입국 얼굴사진 1억7천만건 AI업체에 넘겼다'에 대한 해명 등 [44] 残心12910 21/10/29 12910 0
93884 [일반] <소프트파워 – 조지프 나이, 2004> : 그리고 한국의 소프트파워 [1] 하프-물범8172 21/10/27 8172 6
93871 [일반] 오늘도 설거지를 한다 [56] 착한아이11098 21/10/27 11098 44
93803 [정치] 건보공단 고객센터 1600명 '소속기관 정규직' 전환 [136] rclay16243 21/10/21 16243 0
93777 [일반] [NBA] 항상 승리만을 갈구하는 자, 르브론 제임스 [87] 라울리스타14031 21/10/18 14031 17
93743 [일반] 날 끝장낼 비밀을 디지털로 보관해도 괜찮은 시대는 끝났나 [33] 오곡물티슈14441 21/10/14 14441 5
93678 [일반] 미국 혁신 및 경쟁법안에 대한 DSA 국제위원회의 규탄 성명서 (번역) [82] 아난13235 21/10/07 13235 1
93619 [일반] 우리의 민주주의는 더는 국민을 대표하지 않는다. 이렇게 그것을 고쳐야 한다 (번역) [74] 아난12260 21/10/03 12260 6
93606 [일반] 불확실성 속의 지도자의 덕목 [13] cheme12389 21/10/03 12389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