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8/27 10:02:34
Name 죽력고
Link #1 https://nhicblog.tistory.com/3919
Subject [일반]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제도
란게 있습니다.

저도 얼마전 뉴스기사보고 안거라....

이게 뭐냐면

직장 다니시는 분들이 퇴직을 하고 재취업을 하지 않는 이상 이제 건강보험이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전환이 되고, 통상 지역가입 건강보험료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걸 어느정도는 막아주는 제도인데요.

퇴직하고 지역건강보험료가 직장때 납입하던 보험료보다 많다면 고려해볼만한 제도입니다.

퇴직직전 18개월동안 1년이상 직장가입을 유지할 경우 퇴직자 본인이 건강보험지사에 신청을 해서 승인이 떨어지면,

퇴직하기 전에 직장가입자로 내던 보험료로 '최대 3년'간 납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자세한건 저도 이런걸 경험해보지 못해서 어떻게 설명할순 없지만, 그래도 이런 제도가 있다는걸 처음 알았고,

아직 모르는 분들이 많을것 같아 소개해봅니다.

링크에 건강보험 블로그에 해당 게시물을 올려놓았으니 자세히 한번 읽어보셔도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27 10:09
수정 아이콘
부동산, 고급 자동차 있으신 분들은 지역가입자일 때 굉장히 건보료가 높으시더군요.
사실 굳이 지금 공부해보실 필요가 없으신게, 요건이 되는 퇴직자 분들에게 건보에서 우편이 날라옵니다. 임의계속 신청하시라고...
울산공룡
21/08/27 10:16
수정 아이콘
저도 최근에 퇴사하고 이거 날라와서 알아봤더니 좀 차이가 나서 임의계속 신청했습니다. 2~3만원정도이긴 하지만 그래도 줄어들어서 좋더라구요.
21/08/27 10:34
수정 아이콘
건보에서 알아서 안내장 날려주더군요.
닉네임을바꾸다
21/08/27 10:44
수정 아이콘
저도 안내서보고 갔다가 전 그냥 1인 지역가입자로 가면 된다고...
전환하고 환불 받았죠...동생이 직장이 있으니까 글로 부모님 옮겨갔거든요...
21/08/27 10:57
수정 아이콘
본인부담분만 내며,
직장부담분은 '아무도' 내지 않습니다.
몽키매직
21/08/27 11:05
수정 아이콘
지역가입자는 집, 자동차에 따라 건보료가 부담스러울 정도로 나오는 경우도 있어서... 자동차 명의를 자식한테 돌리는 등의 편법들이 있었죠...
이라세오날
21/08/27 11:09
수정 아이콘
이거 맞벌이거나 부모님 집에서 사는 사람은 그냥 자동적으로 상대 종속으로 들어가지 않나요?

아직 미혼이고 독립세대주인 경우 좋을 듯 합니다.
플러스
21/08/27 23:40
수정 아이콘
부모님의 피부양자로 들어가서 보험료 0원이 될수 있는 경우도 있겠지만, 부모님이 내 피부양자인 경우도 있어서...
나파밸리
21/08/27 13:30
수정 아이콘
자동차는 실제가치판단 안하고 배기량으로만 따지는게 좀 불합리하기는 하더군요
82년생 김태균
21/08/27 16:57
수정 아이콘
제가 직장인이면서 상가 임대사업자인데 만약에 직장을 관두게 되면 이 제도 이용이 가능할까요?
사업자등록이 제 앞으로 돼있어서요.
파와미
21/08/27 17:14
수정 아이콘
가능합니다.
82년생 김태균
21/08/27 17:3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176 [정치] 미국방부에 IS 타격 전권을 부여한 바이든. [20] 캬라18837 21/08/30 18837 0
93175 [일반] 칸예 웨스트의 새 앨범 donda가 드디어 나왔습니다. [10] 스킨로션14292 21/08/29 14292 3
93174 [정치] 윤석열 첫 공약 발표 "청년에게 원가주택·LTV 80%로 인상" [87] 덴드로븀24913 21/08/29 24913 0
93173 [정치] 돌고 돌아 홍준표? 다자구도 지지율 10%의 벽 돌파, 당내 지지율 26.1% [104] 구스구스21011 21/08/29 21011 0
93172 [일반] 대한민국, 최적 내정의 길은? (2) 서비스는 어떻게 대량생산할 수 있을까? [14] Cookinie16187 21/08/29 16187 15
93171 [일반] 조선시대 왕가 어린이가 입던 옷.jpg [9] VictoryFood15484 21/08/29 15484 4
93170 [일반] 멀고 먼 한반도 까지 온 퀸엘리자베스 英 항모, 기사묶음들 [38] 나주꿀18567 21/08/29 18567 2
93169 [일반] 여러분들은 무슨 신화를 제일 좋아하시나요? [43] 메가카13636 21/08/29 13636 0
93168 [일반] 4시간동안 열심히 적은 글이 날아가는 허무함(주식 얘기 살짝있는 완전 뻘글입니다) [15] 기다리다11861 21/08/29 11861 6
93167 [일반] 눈이 즐거운 웹툰소개-난약 [16] lasd24115015 21/08/29 15015 7
93165 [일반] 백신, 부작용? 그리고 응급실 [7] 로빈16285 21/08/29 16285 12
93163 [정치] 은행권, 신용대출 '연봉이내'·마통 '최대 5천만원'으로 묶는다 [92] 쁘띠도원24042 21/08/29 24042 0
93162 [정치] 임대주택에 사는 사람들은 죄다 이상한 사람들이다? [300] 분란유도자22774 21/08/29 22774 0
93160 [정치] 반난민 정서를 해결하고 난민을 수용할 수 있는 국가 [52] 양말발효학석사22943 21/08/28 22943 0
93159 [일반] 넷플릭스 신작 드라마 'D.P.' 감상 (스포일러 주의) [77] BTS21310 21/08/28 21310 4
93158 [정치] '예산낭비'라고 생각했던 서울런 정책, 알고보니 '괜찮네' [63] Alan_Baxter21058 21/08/28 21058 0
93157 [일반] 영국은 아프간 사태로 인해 발등에 불 떨어진거 같습니다 [40] elaborate21300 21/08/28 21300 3
93156 [일반] 中 리투아니아와 단교 카드 만지작, 곧 결정할 듯 [29] 아롱이다롱이16198 21/08/28 16198 4
93155 [일반] 미국이 백신접종률이 얼마나 낮은지 그래프로 한눈에 체감해봅시다 [53] 여기17375 21/08/28 17375 8
93154 [일반] [속보] 미국, 낭가르하르 주 IS 타깃 드론 공습 [58] 아롱이다롱이19847 21/08/28 19847 0
93153 [일반] 미라클 작전.. 현지 외교관들과 공군 장병들의 노고에 박수를 보냅니다. [28] 유목민14095 21/08/28 14095 48
93152 [일반] 일본, 아프간 탈출작전 자국민 1명 으로 마무리 [82] 아롱이다롱이26623 21/08/27 26623 2
93151 [일반] 활자 창작물 검열에 관한 최신 사례.JPG [54] 실제상황입니다20770 21/08/27 20770 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