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2/22 23:47:09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1_02_22_오후_11.37.38.png (174.1 KB), Download : 79
Subject [일반] 자가 / 전세 / 월세 / 무상으로 거주하는 사람은 몇%일까? (수정됨)



2019년 통계청 자료 기준으로는 위와 같이 집계가 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58%는 '자기집에서 살고 있다' 

단, 서울은 42.7%로. 

다른 모든 행정구역은 절반 이상이 자기집에 살고 있습니다만. 서울에 한해서는 절반 이하가 자기 집에 살고 있습니다.


전세 - 보증금있는 월세 - 보증금 없는 월세 - 무상으로 임대의 경우 4가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전세 : 보증금만 있고. 매달 돈을 안내는 경우
보증금 있는 월세 : 보증금도 있고, 매달 돈도 내는 경우
보증금 없는 월세 : 보증금 없이, 매달 돈만 내는 경우
무상 : 관사, 사택등..  으로 인해 무상으로 거주하는 경우

로 

전세의 경우 '서울, 경기, 세종, 광역시' 에서 높은 비율 (특히 서울은 4명중 1명이 전세로 살고 있습니다.) 을 기록하지만
그 외 지역으로 갈수록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파트,단독주택같은 비율별로는 최신을 찾진 못했고. 2015년 자료를 보긴 했는데
2015년 기준으로 서울 41.9% / 인천 53.1% / 경기도 54.9% 의 가구가 아파트에 살고 있습니다. 


기준이 '가구' 기 때문에. 실제 사람으로 환산시에는 정확하게 맞지 않긴 합니다만.
(아빠의 집에 사는 아들은 자가에 사는 사람이 되지만
이 아들이 독립해서 월세를 살게 되면 월세를 사는 사람이 되니..)
대략적으로는 알 수 있는 자료라고 보시면 될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여수낮바다
21/02/23 00:10
수정 아이콘
보증금 있는 월세 - 이건 흔히 말하는 반전세 정도 느낌일까요?
제주에선 전세 비율이 극히 낮고, 무상 및 보증금 없는 월세가 다른 곳에 비해 특히 높네요. 이유도 궁금합니다^^;;
21/02/23 00:11
수정 아이콘
그건 반전세부터 월세까지 다 포함되는 개념.. 입니다.

보증금 10억에 월세 20을 내도 보증금 있는 월세고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20을 내도 보증금 있는 월세라서..
21/02/23 00:24
수정 아이콘
제주는 특유의 년세가 있어서 보증금 없는경우가 많은겻 같네요
Regentag
21/02/23 00:55
수정 아이콘
보증금 없이 거주기간 만큼의 월세 금액을 선납하고 사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21/02/23 01:25
수정 아이콘
반전세라는 말을 누가만든지 모르겠어요

월세면 월세지
21/02/23 02:12
수정 아이콘
월세 싫어하는 국민들의 성향을 반영한 용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648 [정치] [프랑스]前 대통령 사르코지 징역 선고 [5] 라이언 덕후13287 21/03/02 13287 0
90647 [정치] LH직원들 광명,시흥 신도시 100억 이상 사전 매입 [75] Leeka17268 21/03/02 17268 0
90646 [정치] 2.4 부동산 대책 이후. 한달이 지난 지금 결과는? [76] Leeka13863 21/03/02 13863 0
90644 [일반] KF-X 시제기 조립이 거의 다 되어가네요... [52] 우주전쟁10703 21/03/02 10703 2
90643 [일반] 미국에서 집 사기 [101] 몽키.D.루피22209 21/03/02 22209 45
90642 [일반] 'Joker' 명장면 다시 더빙해서 가져와봤습니다 ! [4] 유머게시판7750 21/03/02 7750 4
90641 [일반] 저의 나름대로의 생각들 [2] toheaven6348 21/03/02 6348 0
90639 [일반] 올해 공모주 성적을 알아보자 (균등분배기준) [15] 피쟐러10534 21/03/01 10534 0
90637 [일반] (영화 리뷰) 클로저 - 스포주의 [5] 발이시려워8037 21/03/01 8037 0
90635 [일반] (소고) 장기 두며 생각하던 것들 오랜만에 더하여 씁니다. [40] 수국9366 21/03/01 9366 2
90634 [정치] 역대 최저 출산율 '충격'...대비 없으면 국가존립 흔들 [228] 박세웅25402 21/03/01 25402 0
90633 [일반] 법없이도 살 사람 이라는 말. [11] 구미나9345 21/03/01 9345 8
90632 [일반] 과도기적 시대 pc의 시대(그리고 페미니즘) [40] 챗셔아이12692 21/03/01 12692 34
90631 [일반] 2월에 찍은 사진들 [19] 及時雨11906 21/03/01 11906 17
90629 [일반] 출산율의 원인에 대한 두가지 생각 [87] 도뿔이13356 21/02/28 13356 6
90628 [일반] '소방관 학폭' 논란…알고보니 피해자였다 [15] 블랙번 록13232 21/02/28 13232 8
90627 [일반] 3월4일에 하는 로또 분양 (고덕강일 제일풍경채) [127] 피쟐러17669 21/02/28 17669 7
90626 [일반] [단독]독일, 65세 이상에게 아스트라제네카 승인할 예정 [63] elaborate14734 21/02/28 14734 6
90625 [일반] 모병제는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132] VictoryFood17132 21/02/28 17132 5
90624 [일반] 심심해서 써보는 주식 책 추천 [17] 김유라18981 21/02/28 18981 29
90623 [일반] [번역] 딥페이크, 장난감이라기엔 너무 위험한 [63] 나주꿀20183 21/02/27 20183 9
90622 [일반] 그래도 포켓몬스터 25주년 [10] 及時雨8191 21/02/27 8191 13
90621 [일반] 20대 시절 직장 상사 이야기. [11] 공기청정기10038 21/02/27 10038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