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1/24 14:06:23
Name 신이치란
File #1 a94cea1d888626641712eefd5022d58e.png (263.2 KB), Download : 83
Link #1 구글
Subject [일반] 대한민국 대학교 대2병 많은 이유


우리나라 대학생 대2병:대학교 2학년 시기쯤 갈피를 못잡고 방황하는 행동



1.남자 기준 대학교 2학년 시기가 보통 군대 전역하고 복학하는 시기이기 때문

-군대에서 그간 배워놨던 지식과 학문을 포맷을 시겨놓음



2.대학전공과 적성과 무관하게 오로지 대학교 간판만 보고 들어왔기 때문에...



3.중고등학교 때와는 달리...대학교 수업은 누가 알려주는 이도 없고, 학원도 없기 때문에 내 혼자서 해결해야 한다.

-초중고수업:수동적 교육

-대학교수업:능동적 교육



4.대학교 2학녀때 수업의 난이도 질적 레벨이  수직 상승하게 된다.(공과 대학일수록 ↑ )



5.대학교 와서 캠퍼스 라이프를 즐길수 알았으나... 현실은 대1때부터 빡세게 대외활동, 취업준비,공모전 빡세게 해야하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음란파괴왕
21/01/24 14:11
수정 아이콘
저는 대학교1학년때 원인모를 우울증이 찾아오더군요. 살면서 그런 경험은 처음이었는데 입시의 후유증인가 싶었습니다.
그랜드파일날
21/01/24 14:15
수정 아이콘
대학진학률이 70%가 넘는 시점에서 대졸자들에게 진학률 30% 시절의 대졸자 프리미엄을 기대하는 것도 무리죠. 그냥 고등학교 4567학년이라 생각해야...
헤일로
21/01/24 23:01
수정 아이콘
4년제는 50%도 안됩니다.. 아마..
21/01/24 14:4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진로를 바꿨습니다
부질없는닉네임
21/01/24 14:49
수정 아이콘
저는 저래서 수시니 입학사정관이니 학생부종합전형이니 이런 거 안 좋아합니다. 현실은 대학교 2학년, 아니 1학년 2학기만 되어도 전공이 자기가 생각(or상상)한 거랑 다른 거 깨닫고 학교에 실망하는 사람이 저리 많은데
정작 고등학생들이 자소서에 이 전공, 직업은 내 천직이고 나는 이것을 위해 준비되어있다 이렇게 쓰니까요.
Janzisuka
21/01/24 14:52
수정 아이콘
전 과장3년차에 인생 첫 방황을 했던 기억이 스믈스믈
하얀마녀
21/01/24 15:05
수정 아이콘
원래 뭘하든 2년차가 제일 힘들죠.... 뭐시기 증후군도 있고..... 하지만 무리뉴 2년차라면?
김유라
21/01/24 15:10
수정 아이콘
그래도 요즘은 이런거 때문에 학생 때 진로탐색활동이 상당히 잘 갖춰져있더라고요.
저도 그래서 학생회 하던 시절에 설명회 엄청 많이 갔었습니다. 확실히 좋은거 같아요.

얘들아, 화공은 화학이 아니야! 물리야! 도망쳐!
니들이 생각하는 화학은 화학과 나온 교수/박사 아저씨들이 만들어놓은거야! 화공은 그거 생산만 한다고!
버터핑거
21/01/24 19:32
수정 아이콘
화공은 물리야! 에 깊은 동감을.... 화학공학에서는 고체 쪼가리 하나 구경 못하쥬... 모든건 액체와 기체입니다요...
답이머얌
21/01/24 20:06
수정 아이콘
설명회라는게 존재하지도 않았던 시절, 물리는 싫고 화학은 좋아서 멋도 모르고 화공과 갔다가 개피본 1인.

정말 졸업하기 힘들었습니다.
21/01/24 15:15
수정 아이콘
석2병 박2병도 주변에서 자주 봤습니다 크크
21/01/24 15:53
수정 아이콘
이거시 말로만 듣던 소포모어 징크스 입니까?!
유료도로당
21/01/24 15:56
수정 아이콘
이거 소포모어 징크스라고 해서 국가나 시대를 가리지않고 있던 유서깊은 문제아닌가요? 크크
21/01/24 16:01
수정 아이콘
학부 수업이 능동적이라니...
21/01/24 17:52
수정 아이콘
수강신청, 출석부터 능동으로 해야하는 건 사실..
아케이드
21/01/24 20:39
수정 아이콘
중고등학교에 비해서... 라는 거니까요
긴 하루의 끝에서
21/01/24 22:30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때까지만 하더라도 학교 교사, 학원 교사, 컨설팅 업체, 학부모 등 학업과 생활 양면에서 밀착 지도해주는 인물들이 존재하고, 주변 인물들 모두가 거의 동일한 길을 목표로 일과도 거의 동일하게 살아가다 보니 자연스럽게 보고 배우고 공유하며 서로 힘이 되거나 자기 관리에 도움이 되는 측면도 있고, 교육 과정과 대학 입시라는 게 정해져 있는 틀이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 생각되는 방향이 실질적으로 워낙 명확하다 보니 달리 눈 돌리거나 힘쓸 것 없이 오로지 그에만 집중하면 만사형통이고, 강의와 더불어 교재까지 기본서, 문제풀이집 등 아주 다양한 형태로 하여 목적별, 수준별로 학습 자료와 시장이 형성되어 존재하니 학습하기도 그만큼 편하기까지 하죠.

달리 말해 고등학교 때까지는 하라는 대로, 주어진 대로만 열심히 살아도 최선의 결과가 충분히 가능한데 그 이후 시점부터는 애초에 무엇을 해야하는지 일일이 가르쳐주고 지시해주는 사람도 잘 없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수동적으로만 살아서는 경우에 따라 중간도 못 가는 경우가 발생 가능할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가장 흔한 예로 딱히 하고 싶은 것도 없고, 근본적으로 스스로조차 뭘 하고 싶어하는지도 사실은 잘 모르고, 그러다 보니 세상 돌아가는 거에 대해 어느 쪽으로든 딱히 관심을 크게 기울인 예가 없어 전문적으로든 전반적으로든 잘 알지도 못할 뿐더러 뭘 어떻게 해야 이를 잘 알 수 있는지도 모르고, 그나마도 눈치껏이든 친구따라 강남 가기 식이든 어떻게든 남들 따라 이것저것 활동도 하고 경험도 쌓고 했으면 모르겠는데 그런 것도 일절 없이 그저 학교 성적만 좋을 뿐인 사람, 그렇다고 학업에 뜻이 있거나 공부하는 걸 특별히 좋아하는 것도 아니고, 그래서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여 과목을 신경써가며 그동안 수강을 했다든지 수강하는 과목 외적으로나 강의 내에서 배우는 내용 외적으로 별도의 추가 또는 심화 학습을 자발적으로 한 것도 전혀 없는 사람을 들 수가 있겠네요.

이런 사람들이 대개 기존에 해오던 것과 같이 단순히 이론 기반의 공부만 하면 되면서, 학습의 틀이나 방향도 명확하여 해당 분야를 파악하거나 준비 방법을 알아보는 데 따로 큰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되고, 수험 시장이 발달해 있어 준비하기도 용이한 필기 시험 방식의 진로를 많이들 택하죠. 다행히도 이들은 학습 머리와 성실함이 강점이기 때문에 또 잘 합격해서 무난히 잘 살아가기도 하고요.
아웅이
21/01/25 09:16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학생을 끌고가려고 했던 중등교육과 다르게
대학교는 못따라오면 그냥 놓고 가긴하죠. 알아서 따라가야 하니 그 의미에서 보면 능동적인것같아요 크크크
lck우승기원
21/01/24 16:18
수정 아이콘
대4병은 없나요.
코로나로 교환학생 날리고 비대면 수업만 들어서 무력감에 잠식당하는
21/01/24 16:31
수정 아이콘
그래서 안 다녔어!
그 닉네임
21/01/24 17:30
수정 아이콘
그래서 1학년 마치고 군대에서 수능이나 공시준비하는 후배들이 그렇게 많더군요.
VictoryFood
21/01/24 18:02
수정 아이콘
요즘 친구들은 대학 때부터 빡세게 살다보니까 대2병에 걸리는군요.
전 대학 졸업할 때까지는 계속 놀았던 기억만 있어서요. ㅠㅠ
21/01/24 18:0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는 튀고싶어서 대3병 걸렸습니다
BOHEMcigarNO.1
21/01/24 18:49
수정 아이콘
저만 그런게 아니었군요. 대2때 담배 시작하고 대3병 대4병 지금까지 못고쳤는데...
21/01/24 20:09
수정 아이콘
이런걸 일찍 고민하지 못해서 직장 8년 다니고 학교를 다시 갔습니다...
21/01/24 23:54
수정 아이콘
졸업직전병도 그럴듯해요. 중3, 고3, 대4, 군대전역직전, 29살, 서른즈음에 노래도 나왔고, 모두들 대공감.
한국인이라면 다들 병 두어개쯤은 품고 사는거 아닌가요... 그래도 제일 심각한건 중2병입니다.
아웅이
21/01/25 09:17
수정 아이콘
1년차이 선배뽕에 취하는거 말하는줄 알았는데.. 삶이 고되군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7048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745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1062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4960 4
104529 [일반]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는 내 일자리를 안정적으로 지켜줄 수 있을까? [60] 깃털달린뱀7538 25/07/14 7538 7
104528 [일반] 비트코인 최고가 경신 중 (달러, 원화 모두) [108] 덴드로븀9649 25/07/14 9649 2
104527 [정치] 박원순 성폭력 변론 영화가 못나온다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106] 카레맛똥11750 25/07/14 11750 0
104526 [정치] 이재명정부에서 첫 여성 병무청장이 나왔네요 [115] 정대만14127 25/07/13 14127 0
104525 [일반] [스포일러] 슈퍼맨(2025) 보고 온 감상 [7] 류지나5477 25/07/13 5477 3
104524 [정치] 법원의 야당 탄합 해프닝이라던가 [14] Janzisuka7368 25/07/13 7368 0
104523 [정치] 중국의 권력이상은 없다 [49] 如是我聞9640 25/07/13 9640 0
104522 [일반] <슈퍼맨> - 고전적 향취로 담아낸 고전적 히어로. (노스포) [22] aDayInTheLife3738 25/07/13 3738 3
104521 [일반] [팝송] 크리스토퍼 새 앨범 "Fools Gold" [1] 김치찌개2517 25/07/13 2517 2
104520 [정치] 의대생들 "국회·정부 믿고 전원 학교에 돌아갈 것" [115] Davi4ever14187 25/07/12 14187 0
104519 [일반] 군림천하 웹툰. [48] 진산월(陳山月)6798 25/07/12 6798 1
104518 [일반]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의 예비 조사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6] nearby5458 25/07/12 5458 4
104517 [일반] [책 나눔 이벤트] 생애 첫 펀딩을 해보았습니다. [20] Fig.12904 25/07/12 2904 6
104516 [일반] [스포있음] 최근 읽은 로판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작품 3선 - 메리 사이코, 악녀는 두 번 산다, 에보니 [19] Nybbas2539 25/07/12 2539 4
104515 [일반] 300년 안에 인류의 99퍼센트가 사라질 것이다 [61] 식별8621 25/07/12 8621 12
104514 [정치] 심심해서 혼자 만든 영화의 마지막 장면 [7] lux5998 25/07/11 5998 0
104513 [정치] 국힘, 특검 '임종득 압수수색'에 "정치 보복·야당 탄압" 반발(종합) [71] Crochen10687 25/07/11 10687 0
104512 [일반] 마을버스에서 있었던 작은 해프닝과 좋게좋게 마무리한 썰.. [5] 李昇玗4632 25/07/11 4632 15
104511 [일반] [강스포] 오징어게임3가 아쉬운 이유 [17] 페이커754153 25/07/11 4153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